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20(2); 2020 > Article
광을 이용한 항공기 화재 진압 훈련장치 개발 연구

Abstract

The cabin crew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ensuring safe flight operations and quality services. In particular, it is their responsibility to successfully implement emergency evacuations of passenger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s a result, cabin crews undergo intense emergency training. In order to support firefighter training of cabin crew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thod of firefighter training that can be easily carried out in small spaces in the office or indoor spaces without water supplies and drainages using light as an aircraft fire suppression training device. The fire suppression training device using the light presen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a screen part, fire extinguisher part, and control part. The flame images classified as per the fire cause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by using visible light, and it is set to correspond to each fire cause. Fire extinguishing drills can be conducted using fire extinguishers that emit infrared light in a specific wavelength band.

요지

항공기 안전운항과 질적인 서비스제공을 위해 객실승무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비상사태 발생 시 승객의 비상탈출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야 하는 책임이 있다. 따라서 객실승무원들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여 강도 높은 교육훈련을 받는다. 이에 객실승무원들의 화재진압훈련을 지원하기 위해 광을 이용한 항공기 화재진압훈련 장치로서 급수시설 및 배수시설이 없는 사무실 또는 실내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화재진압훈련을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광을 이용한 화재진압훈련 장치는 스크린부, 소화기부와 제어부 로 구성하였으며,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화재 원인별로 구분되는 화염 영상을 스크린에 표시하고 각각의 화재 원인에 대응되도록 정해진 특정 파장 대역의 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 진압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1. 서 론

항공기 안전사고는 항공기 탑승객의 생명을 위험에 빠뜨리는 요인이며, 기업에 막대한 물질적, 재무적 피해를 초래하는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Lee and Seol, 2010). 이러한 항공기 사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Kim (2016)은 항공기 사고의 대부분은 하나의 원인에서 발생하기보다는 다양한 원인이 복합된 결과라고 말한다.
화재로 인한 사고의 발생은 교통사고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는 재난으로 분류된다. 화재 초기에 적절하게 사용한 소화기는 소방차 한 대의 효과와 같다. 따라서 초기 화재발생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하여 적절한 장소에 소화기를 비치하고, 식별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재발생시 초기 진압이 가능하도록 국가에서 소화기의 구입과 비치가 강제하고 있다(Oh and Choi, 2013). 특별히 항공기 시스템에 항공기 화재 감지기들이 마련되어 있는데 화재감지장치는 가스 센서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이 연기 감지기보다 먼저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Chen et al., 2007). 항공기에 발생하는 화재사고는 항공기 객실의 좁은 공간과 혼잡한 상황으로 인하여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항공기에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하여 화재진압을 시행하는 훈련은 객실승무원들의 필수 과정이다(Galea and Markatos, 1987).
Wensveen (2012)는 기업의 관점으로 본 항공사의 경쟁력은 승객을 안전하게 원하는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송해야 한다는 근본적인 서비스로 평가될 수 있다고 했다. 항공사의 경쟁력은 고객만족과 서비스 품질, 운임 및 비행시간, 지속가능경영 활동과 기업이미지 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roussaloglou and Koppelman, 1999; Lee, 2011; Hwang, 2012). 객실승무원은 비상사태에 대비한 객실 안전조치 사항을 충분히 숙지하여 승객의 비상탈출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야 하는 책임이 있다(Yoo et al., 2013).
본 연구는 객실승무원들의 화재진압훈련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며, 광을 이용한 항공기 화재 진압 훈련 장치로서 공간과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실내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충분히 반복 훈련할 수 있도록 연구되었다.

2. 이론적 배경

2.1 배경기술

본 연구는 가연물질을 이용하여 실제 화재 상황을 연출한 상태에서 소화기를 사용하여 화재 진압훈련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안전상의 문제와 특정한 장소와 공간적인 제한을 받는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 A항공사의 객실승무원 훈련용 장비 개발요청에 의해 연구 개발되었다. A항공사의 연구개발 요청 시 요구조건은 항공기 객실 내에서 승무원 안전교육 시행 시 화재진압훈련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객실 내에 비치할 수 있을 것과 화재의 원인별로 적합한 소화기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요청하였다. 또한 광의 조사각이 화점으로부터 상 방향 20도 이내, 거리는 발화지점에서 3 m 이내에서 작동할 수 있는 장비개발을 요청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A항공사의 요청에 따라 객실승무원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좁은 공간에서 여러 명이 동시에 훈련에 참여 할 수 있도록 진행되었다.
항공기 화재사고는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항공기 화재사고에 대비한 훈련은 매우 엄격하게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각 항공사는 “객실승무원훈련과정1)”을 운영하여야 하며, 최초 교육을 받은 날부터 12개월마다 한번 이상 교육훈련을 실시하도록 항공안전법과 항공안전법 시행규칙에 명시되어 있다. K항공사의 안전교육매뉴얼의 경우 “기내연기 및 화재대응 CHECKLIST”에 의해 매년 승무원 안전교육 시에 화재대응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소화기를 사용한 종래의 화재진압훈련은 운동장과 같은 야외에서 가연물질을 이용하여 실제 화재 상황을 연출하고 사용자가 직접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는 방식의 소방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 경우 훈련 도중 실제 발생된 불길에 의해 훈련 자가 다치게 되는 안전상의 문제점, 특히 여러 명의 차례대로 훈련을 실시할 경우 실제 소화기를 사용하여 소화가 되었을 때, 잔류가스로 인한 화재, 질식사고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고, 또한 혹한기, 혹서기 및 우천 시에는 훈련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 그리고 실제 화재 상황을 연출하고 실제 소화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방훈련에 소요되는 비용이 과도해지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시뮬레이터를 통한 가상불꽃 점화장치를 작동시킨 후 물을 분사하는 방식의 소화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가 개발되었다(Lee, 2003). 또한 스크린 등에 인공 화염 영상을 연출하고 훈련자가 물을 사용하는 훈련용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 진압 훈련을 하도록 구성된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장치들의 경우에도 급수시설이나 배수구가 없는 실내에서는 화재 진압 훈련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작동 시간에 따라 소화물질의 분사압력이 저하되는 실제 소화기의 작동 상태를 모사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실제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현실감을 얻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Lim, 2009).

2.2 연구의 내용

2.2.1 해결하려는 과제

본 연구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화재 원인별로 구분되는 화염 영상을 스크린에 표시하고 각각의 화재 원인에 대응되도록 정해진 특정 파장 대역의 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 진압 훈련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급수시설 및 배수시설이 없는 사무실과 같은 실내 공간에서도 실내 환경의 오염을 야기하지 않고 화재 진압 훈련을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는 광을 이용한 화재 진압 훈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2.2.2 과제의 해결수단

본 연구에 따른 광을 이용한 화재 진압 훈련장치는 수광되는 광의 세기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수광 모듈이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판 형상의 스크린부, 사용자에 의해 스크린부에 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 조사수단이 구비된 소화기부, 및 스크린부에 미리 저장된 화염 영상이 표시되도록 가시광선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수광모듈은 각각 제어부에서 조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수광하는 가시광선 수광소자와 소화기부에서 조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수광하는 적외선 수광소자로 구성되고, 제어부는 가시광선 수광소자의 출력을 이용하여 스크린부에 화염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화점위치를 인식하고, 화점위치에 배치된 적외선 수광소자 각각에 대하여 출력을 적산하여 그 결과에 따라 화염 영상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화점위치에 배치된 적외선 수광소자 각각의 출력 적산값이 모두 설정 값 이상이면 화염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적어도 일부의 출력 적산 값이 설정 값 미만이면 화염 영상의 크기를 유지하거나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 조사수단은 파장 대역이 800∼850 nm인 근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제1광 조사수단과, 파장 대역이 950∼1,000 nm인 원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제2광 조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적외선 수광소자는 제1광 조사수단에서 조사된 근적외선 광을 선택적으로 수광하는 제1적외선 수광소자와, 제2광 조사수단에서 조사된 원적외선 광을 선택적으로 수광하는 제2적외선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화염 영상은 화재 진 압시 물을 사용할 수 있는 일반 화재를 표시하는 제1화염 영상 또는 화재 진압 시 물을 사용할 수 없는 전기 화재나 유류 화재를 표시하는 제2화염 영상 중 어느 하나이고, 제어부는 제2화염 영상이 표시된 화점위치에서 제1적외선 수광소자의 출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2화염 영상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 조사수단은 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과, 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이 조사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발광모듈에서 조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키는 광량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광모듈은 적외선 LED로 구성되고, 광량제어모듈은 적외선 LED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소시켜 발광모듈에서 조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화재진압훈련장치의 개발

3.1 화재진압장치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연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그림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Figs. 12는 각각 본 연구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진압 훈련장치의 전체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고, Fig. 3은 본 연구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진압 훈련장치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Fig. 4Fig. 1에 도시한 화재 진압 훈련장치에 사용되는 수광모듈 각각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고, Fig. 5Fig. 1에 도시한 화재 진압 훈련장치에서 제어부에 의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연구에 따른 광을 이용한 화재 진압 훈련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광 조사수단이 구비된 소화기부(10, 20), 화재 진압 훈련이 수행되는 공간의 벽면 등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스크린부(30), 및 가시광선 파장 대역의 광을 이용하여 스크린부(30)에 미리 저장된 화염 영상을 표시하고 화염 영상에 소화기부(10, 20)로부터 광이 조사되는지 여부에 따라 화염 영상을 변화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1).
먼저, 소화기부(10, 20)는 화재 진압 훈련이 수행되는 공간 한쪽에 설치된 소화기 적치대(S)에 적치되는 제1소화기부(10)와 제2소화기부(20)로 구성되는데, 제1, 2소화기부(10, 20)는 각각 동일한 파장 대역 또는 서로 구분되는 다른 파장 대역의 적외선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 조사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1소화기부(10)와 제2소화기부(20)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소화기부(1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3.2 화재진압장치의 작동

3.2.1 화재진압장치의 작동예

Fig. 1과 같이 제1소화기부(10)는 실제 소화기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는 대략 원통 형상의 제1소화기 본체(11), 제1소화기 본체(11)의 상부에 연결된 제1소화기 호스(12), 제1소화기 본체(11)의 상부에 설치된 제1손잡이(14), 및 제1손잡이(14)의 한 쪽에 장탈 장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안전핀(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1소화기 호스(12)의 단부에는 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기 위한 제1광 조사수단(12a)이 구비 되는데, 제1광 조사수단(12a)은 실제 소화기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제1손잡이(14)에서 제1안전핀(13)을 제거 한 후 제1손잡이(14)를 움켜쥘 때 광이 조사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광 조사수단(12a)은 제2소화기부(20)의 제2광 조사수단과 구분되는 파장 대역의 적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데, 제1광 조사수단(12a)은 파장 대역이 800∼850 nm 인근 적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고 제2광 조사수단은 파장 대역이 950∼1,000 nm인 원적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제1, 2광 조사수단이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의 적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것은 실제 화재 발생 시 화재 원인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소화물질(또는 소화기)을 사용해야 하는 것을 사용자가 훈련을 통해 숙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목재, 종이, 섬유 등의 가연성 물질에 의한 화재(화재 분류상 A급 화재)의 경우 물을 이용하여 화재 진압이 가능한 반면에, 전기 누전 등에 의한 전기 화재나 기름 등에 의한 유류 화재(화재 분류상 B급 화재 또는 C급 화재)의 경우 물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경우 오히려 화재 피해를 악화시키기 때문에 반드시 이산화탄소와 같은 불연성 기체나 분말 소화물질을 이용하여 화재 진압을 하여야 한다(FAA, 2012).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40)가 화재 원인별로 화염 영상을 스크린부(30)에 표시할 경우 사용자가 화재 원인에 적합한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소화기부(10, 20)를 선택하여 화재 진압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2광 조사수단이 각각 다른 파장 대역의 적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경우, 제1광 조사수단(12a)에서 조사되는 근적외선 광은 A급 화재 상황에서 물을 소화물질을 사용하는 경우를 모사하기 위한 것이며, 제2광 조사수단에서 조사되는 원적외선광은 물을 사용할 수 없는 B급 화재나 C급 화재 상황에서 불연성 기체나 분말 소화물질을 사용하는 경우를 모사하기 위한 것이다.
제1, 2광 조사수단이 각각 제1소화기부(10)와 제2소화기부(20)에 구분되어 구비된 경우를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의 소화기부에 제1, 2광 조사수단이 모두 구비되어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광 조사수단을 선택하여 화재 진압 훈련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3.2.2 화재진압장치의 동작구성

이와 같이 소화기부(10, 20)의 구성에 의하여 본 연구에 따른 광을 이용한 화재 진압 훈련장치는 화염 영상을 물로 소화할 수 있는 일반 화재와 물로 소화할 수 없는 전기 화재 또는 유류 화재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사용자가 화재 종류에 대응되는 특정 파장 대역을 조사하는 소화기를 선택하여 화재 진압 훈련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제 화재 상황과 매우 유사하게 화재 원인별로 적합한 소화기를 선택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2광 조사수단은 실제 소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소화물질을 분사한 후 약 10초에서 15초 정도가 경과하면 점차적으로 소화물질의 분사압력이 낮아지면서 소화물질의 분사가 완료되는 특성을 모사하기 위하여 적외선 광을 조사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광량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2광 조사수단은 각각 특정 파장 대역의 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17)과, 적외선 광이 조사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발광모듈(17)에서 조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키는 광량제어 모듈(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광모듈(17)은 적외선 LED로 구성되고, 광량제어모듈(16)은 적외선 LED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감소시켜 발광모듈(17)에서 조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연구에 따른 광을 이용한 화재 진압 훈련장치는 사용자가 작동 후 소화물질의 분사압력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실제 소화기의 사용과 매우 유사한 화재 진압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크린부(30)는 화재 진압 훈련이 수행되는 공간의 벽면 등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스크린(31)과, 스크린(31)에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광모듈(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수광모듈(32)은 수광 되는 빛의 세기에 비례하는 전기신호(즉, 전류 또는 전압)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데, 통상의 포토다이오드, Cadmium sulfide cell (CdS), 포토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경우 수광모듈(32)은 소화기부(10, 20)에서 조사하는 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에 의한 출력과 제어부(40)에서 조사하는 가시광선 파장 대역의 광에 의한 출력이 구분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수광모듈 각각은 Fig.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32d)에 가시광선 파장 대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수광하는 가시광선 수광소자(32a), 제1광 조사수단(12a)에서 조사되는 근적외선 광을 선택적으로 수광하는 제1적외선 수광소자(32b), 및 제2광 조사수단에서 조사되는 원적외선 광을 선택적으로 수광하는 제2적외선 수광소자(32c)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가시광선 수광소자(32a), 제1적외선 수광소자(32b), 및 제2적외선 수광소자(32c)의 전방에는 각각 수광되는 광의 파장 대역 선택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수광소자가 수광하는 광의 파장 대역에 대응되는 대역 필터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3.2.3 화재진압장치의 수광모듈

다음으로, 제어부(40)는 스크린부(30)에 미리 저장된 화염 영상이 표시되도록 가시광선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한 후, 가시광선 수광소자(32a)의 출력을 이용하여 스크린부(30)에 화염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인 화점위치를 인식하고, 화점위치에 배치된 적외선 수광소자(32b, 32c) 각각에 대하여 출력을 적산하여 그 결과에 따라 화염 영상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40)는 화점위치에 배치된 적외선 수광소자(32b, 32c) 각각의 출력 적산 값이 모두 설정 값 이상이면 화염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적어도 일부의 출력 적산 값이 설정 값 미만이면 화염 영상의 크기를 유지하거나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화염 영상은 화재 진압 시 물을 사용할 수 있는 일반 화재(즉, A급 화재)를 표시하는 제1화염 영상 또는 화재 진압 시 물을 사용할 수 없는 전기 화재나 유류 화재(즉, B급 화재 또는 C급 화재)를 표시하는 제2화염 영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제어부(40)는 제2화염 영상이 표시된 화점위치에서 제1적외선 수광소자의 출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2화염 영상의 크기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 화재 상황에서 화재의 종류가 B급 화재 또는 C급 화재인 경우에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물을 분사함으로써 화재에 의한 피해가 확산되는 현상을 모사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재 원인에 적합한 소화물질을 선택하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3.2.4 화재진압 출력장치의 제어

본 연구에 따른 광을 이용한 화재 진압 훈련장치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구성과 이에 대한 제어부(40)의 동작 제어방법을 Fig. 3의 블록도와 Fig. 5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소화기부(10)의 경우 사용자가 제1안전핀(13)을 제거하고 제1광 조사수단(12a)이 스크린부(30)에 표시된 화염 영상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1손잡이(14)를 움켜쥐면 내부의 스위치모듈(15)이 작동되면서 발광 모듈(17)이 동작되어 적외선 광을 조사하게 되는데, 발광모듈(17)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량 제어모듈(16)에 의하여 시간에 따라 광량이 감소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스크린부(30)는 스크린(31)에 조사되는 광의 세기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수광모듈(32)과, 수광모듈(32) 각각의 출력을 제어부(40)로 전송하는 제1통신모듈(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수광모듈(32)의 출력은 미리 주어진 수광모듈 각각의 인식코드나 일련번호 등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어부(40)는 수광모듈 각각의 인식코드나 일련번호, 또는 이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수광모듈 각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린(31) 상에 광이 조사되는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40)는 제1통신모듈(33)로부터 수광모듈(32) 각각의 출력을 수신하는 제2통신모듈(41), 수신된 출력을 이용하여 스크린(31) 상에서 광이 수광된 위치인 수광 위치를 판단하여 인식하는 수광 위치 판단모듈(42), 수광모듈 각각의 출력을 시간에 따라 적산하는 광량적 산모듈(43), 스크린부(30)에 표시될 초기 화염 영상과 광량적 산모듈의 적산 결과에 따라 수정된 화염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생성모듈(44), 가시광선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여 생성된 화염 영상이 스크린부(30)에 표시되도록 하는 영상송출모듈(45), 및 이들 각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40)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40)는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초기 화염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스크린부(30)에 송출하여 스크린(31) 상에 화염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S10). S10 단계에서 초기 화염 영상의 생성 및 송출은 각각 앞서 설명한 영상생성모듈(44)과 영상송출모듈(45)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화염 영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급 화재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영상이거나 B급 화재 또는 C급 화재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영상일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일예로서 초기 화염 영상이 화재 진압 시 물을 사용할 수 없는 B급 화재인 경우로 가정한다. 또한, 화염 영상은 필요에 따라서는 매 훈련시마다 각각 다른 화재 원인에 의한 화염 영상이 스크린(31)의 다른 위치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1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40)는 수광모듈(32)의 가시광선 수광소자(32a)의 출력을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스크린 상에서 화염 영상이 표시된 위치인 화점위치를 판단하게 되는데(S20, S30), 이는 수광 위치 판단모듈(42)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수광모듈에 포함된 가시광선 수광소자(32a) 중 출력을 전송한 가시광선 수광소자(32a)의 인식코드나 일련번호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S3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40)는 화점위치에 포함된 제1적외선 수광소자(32b)와 제2 적외선 수광소자(32c)의 출력을 검출하고(S40), 수광위치 판단모듈(42)에 의해 화점위치에서 제1적외선 수광소자(32b)의 출력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S50 단계의 판단결과 제1적외선 수광소자(32b)의 출력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이면, 제어부(40)는 사용자가 B급 화재에 적합한 제2소화기부(20)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광량적산모듈(43)에 의해 화점 위치에 배치된 제2적외선 수광소자(32c) 각각의 출력을 시간에 따라 적산하게 된다(S60). 이때, 적산시간은 필요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실제 소화기가 소화물질을 유효하게 분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10초 내지 20초로 설정하였다. S6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40)는 영상생성모듈(44)에 의해 적산결과에 따라 수정된 화염 영상을 생성하게 되는데(S70), 본 실시 예에서는 화점위치에 배치된 제2적외선 수광소자(32c) 각각의 출력 적산 값이 모두 미리 정해진 설정 값 이상이면 화염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적어도 일부의 출력 적산값이 설정 값 미만이면 화염 영상의 크기를 유지하거나 증가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설정 값은 실제 소화기를 화점에 분사하는 경우 화염이 소화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동안 수광소자에 광이 정상적으로 조사될 때의 광량 적산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광의 조사위치가 해당 수광소자의 위치와 정확히 일치할수록 광량 적산 값이 설정값에 도달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고, 소화기부를 이용하여 광을 조사한 초기일수록 광량의 감소가 없어서 광량 적산값이 설정 값에 도달하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자는 화재 진압 초기에 정확히 소화기를 화점에 분사하는 훈련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S70 단계에서 화염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은 화염 영상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출력 적산 값이 설정 값 미만인 제2적외선 수광소자의 수가 많을수록 화염 영상의 크기는 증가하게 된다. S7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40)는 수정된 화염 영상을 스크린부(30)에 송출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화재 진압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S80).
한편, S50 단계의 판단결과 화점위치에서 제1적외선 수광소자(32b)의 출력이 검출된 경우이면 제어부(40)는 사용자가 B급 화재에 적합지 않은 제1소화기부(10)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화재 상태가 확대된(즉, 화염 영상이 확대된) 수정된 화염 영상을 생성하고(S75), S80 단계를 수행한다.

4. 결 론

항공기 화재사고는 인명과 재산사의 막대한 손실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모든 항공기는 항공기 화재 감시장치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시 초기 화재진압을 위한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연기감지기(Smoke Detectors)의 경우 화장실과 수화물실 등에 발생하는 연기의 존재에 대해 감시한다. 화염 감지기(Flame Detectors)는 적외선과 자외선을 이용할 수 있는 광 감지기의 두 가지 형식으로 화염을 감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MOLIT, 2016). 이처럼 항공기 자체적으로 화재 발생에 자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본 연구는 항공기 객실승무원들의 화재진압 훈련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공간적 제한을 받는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 A항공사의 요청으로 진행되었다. 결과적으로 그동안 가연물질을 이용하여 실제 화재 상황을 연출하고 사용자가 직접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이나 시뮬레이터를 통한 가상불꽃 점화장치를 작동시킨 후 물을 분사하는 방식의 소화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에 비해 광을 이용한 화재진압장비는 실제 항공기 객실 내에 간단하게 비치하고 객실에서 진행하는 승무원 안전훈련, 즉 항공기비상사태에 대비한 종합적인 훈련에 여러 명이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영상을 통한 훈련의 한계점이 있기에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광을 이용한 화재진압장치”(특허번호: 제10-1937590호, 2019.01.04.)를 연구논문 형식으로 변경 투고합니다.

Notes

1) 항공안전법 제76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18조에서 정한 객실승무원의 자격을 획득하기 위하여 본 기준에서 정한 교육을 실시하는 훈련과정을 말한다.

Fig. 1
Fire Suppression Device
kosham-20-2-71f1.jpg
Fig. 2
Fire Suppressor Operation
kosham-20-2-71f2.jpg
Fig. 3
Block Diagram of Operation of Fire Suppression System
kosham-20-2-71f3.jpg
Fig. 4
Structure of Light Receiving Module of Fire Suppression System
kosham-20-2-71f4.jpg
Fig. 5
Control Method of Fire Suppression System
kosham-20-2-71f5.jpg

References

Chen, SJ, Hovde, DC, Peterson, KA, and Marshall, AW (2007) Fire detection using smoke and gas sensors. Fire Safety Journal, Vol. 42, No. 8, pp. 507-515.
crossref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2012). Aviation maintenance technician handbook - General: FAA-H-8083-30. Newcastle, WA, USA: Aviation Supplies & Academics, Incorporated.
crossref
Galea, ER, and Markatos, NC (1987) A review of mathematical modelling of aircraft cabin fires. Applied Mathematical Modelling, Vol. 11, No. 3, pp. 162-176.
crossref
Hwang, HJ (2012) Impacts of customers’ perception to the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 on the corporate image of airline.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Vol. 24, No. 1, pp. 219-238.
crossref
Kim, CY (2016). Aviation human factors and maintenance safety. Seoul: Node Media.
crossref
Lee, DH (2003). Simulator device for training fire fight. Patent Application 10-0379177-0000.
crossref
Lee, KS, and Seol, ES (2010)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viation accidents in major countries. Journal of the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Vol. 8, No. 2, pp. 87-100.
crossref
Lee, MS (2011) Th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in cabin service quality of domestic low-cost airline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Vol. 26, No. 5, pp. 399-413.
crossref
Lim, SH (2009). A simulation system for shifting type practical exercise of putting out a fire. Patent Application 10-0923076-0000.
crossref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6). Airframe for AMEs. Seoul: Jinhan M&B.
crossref
Oh, JH, and Choi, JJ (2013) Comparative study on Korean standards and international standards of fire extinguisher to improve performance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Vol. 9, No. 12, pp. 125-140.
crossref
Proussaloglou, K, and Koppelman, FS (1999) The choice of air carrier, flight, and fare class. Journal of Air Transport Management, Vol. 5, No. 4, pp. 193-201.
crossref
Wensveen, JG (2012). Air transportation: A management perspective. Ashgate Publishing Co.
crossref
Yoo, KI, Yoo, KE, and Lee, CK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s on cabin safety actions in aircraft accidents: Focused on cabin crew safety performances & passenger perceptions of cabin safety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Vol. 21, No. 4, pp. 126-136.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