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6(2); 2016 > Article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과 사용의도: 비사용자를 중심으로

Abstract

We investigate attributes of mobile simple payment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s and intention to use among non-users of mobile simple payment. Mobile simple payment is a simple payment method by log in or finger scan on mobile devices. The attributes are investigated wi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is examined by structure equation model. Attributes of mobile simple payment are safety for payment, trigger of excessive consumption, convenience,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limitation of free use, and generality. Safety for payment, convenience, and generality positively influence intention to use.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trigger of excessive consumption negatively affect intention to use.

요지

최근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간편결제가 각광받고 있다. 모바일 간편결제를 사용함으로써 해킹이나 전산상의 오류 혹은 의도적인 개인정보 유출에 따라 발생하는 피해는 사회적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간편결제 비사용자를 중심으로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과 그 속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이 결제의 안전성, 과잉 소비 유발, 편의성, 개인정보 유출, 자유로운 사용의 제약, 범용성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밝혀냈다. 결제의 안전성과 편의성, 범용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개인정보 유출과 과잉 소비 유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사용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서론

2015년 국정감사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4년까지 1억 3024만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었다. 이는 연간 5명 중 3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개인정보 유출은 사회적으로 큰 혼란을 일으킬 수 있으며, 사회적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회적 재난이란 인간의 부주의나 기술의 잘못된 사용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성 재난이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범죄성 재난에 따라 국가의 운영체계나 국민의 생활이 마비되는 등의 사회적 피해를 말한다(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한국방재학회, 2014). 사회적 재난의 예로는 지난 2013년 3월에 발생한 사이버 테러를 들 수 있다. 특히 금융기관의 개인정보 유출은 사회적 재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금융기관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된 대표적인 사례로는 2014년 KCB 신용평가사 직원이 카드사에서 파견 근무를 하던 중 개인정보를 유출하여 대출중개업체에 판매한 사건을 들 수 있다. 이를 통해 KB 국민카드, 롯데카드, NH 농협카드에서 1억 건이 넘는 개인정보가 유출되었다. 최근의 사례로는 2015년 8월 POS(판매정보관리시스템)를 해킹하여 카드를 복제하는 사건이 있었다.
금융기관의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사회적 피해가 발생한지 얼마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결제 방식이 아닌 스마트폰을 통해 간단한 본인 인증 후 결제를 하는 모바일 간편결제가 각광받고 있다. 국내의 모바일 간편결제 시장 규모는2014년 1분기 2조 8220억에서 2015년 4분기 7조 3950억으로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사용인구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통계청, 2015). 스마트폰을 통해 결제를 함으로써 지갑을 휴대하지 않아 편리하다는 큰 장점이 있지만 개인정보 유출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게다가 모바일 간편결제의 보안에 대해 철저한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가 국내외에서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사용자를 중심으로 모바일 간편결제가 어떠한 속성으로 이루어졌는지 알아볼 것이며, 그 속성을 통해 모바일 간편결제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2. 이론적 배경

2.1 모바일 결제와 모바일 간편결제

모바일 간편결제를 정의하기 전에 모바일 결제에 대한 정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모바일 결제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결제 방식으로서 결제 중개사를 통해 결제를 하거나 결제 중개사 없이 직접 결제를 하는 결제 방식의 변화를 말하며, 사용방식에 따라 모바일 신용카드, 휴대폰 결제, 모바일 교통카드, 모바일 뱅킹, 전자지갑, 모바일 간편결제로 나눌 수 있다(Mallat, 2007; Lu, Yang, Chau, and Cao, 2011; Kim, Mirusmonov, and Lee, 2010; Dahlberg, Mallat, Ondrus, and Zmijewska, 2008).
모바일 간편결제란 모바일 결제의 한 종류로서 모바일 간편결제 어플리케이션에 자신의 금융 정보와 함께 가입을 한 후, 스마트폰에서 간단한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 결제 대행사를 통해 결제하는 방식을 말한다. 즉, 기존의 모바일 결제에서 사용하는 인증 방식과는 달리 간단한 본인 인증을 거쳐 온/오프라인에서 결제를 할 수 있다는 것이 모바일 간편결제의 가장 큰 특징이다.
모바일 간편결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개인 금융 정보는 암호화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의 결제 정보 사용 동의에 따라 결제가 진행된다. 국내의 모바일 간편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는 네이버 페이, PAYCO, 카카오페이, 삼성페이, 페이나우, Paypin 등이 있으며, 국외의 모바일 간편결제로는 PayPal, Ali-Pay, 삼성페이, Apple Pay, Android Pay 등이 있다.

2.2 모바일 결제의 속성과 사용의도

모바일 결제에 대한 선행 연구에서는 모바일 결제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모바일 결제의 속성이 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Cabanillas, Fernandez, and Leiva, 2014; Lu, Yang, Chau, and Cao, 2011; Schierz, Schilke, and Wirtz, 2010; 이수연, 2016). 연구 결과로는 호환성과 보안성, 유용성, 사용 용이성, 이동성, 상대적 이점, 편재성, 혁신성, 이미지와 같은 긍정적인 속성이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인지된 노력, 인지된 위험, 보안 위험성과 같은 부정적인 속성은 사용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 결제에 대한 속성은 모바일 결제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며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는 경우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부정적인 태도가 형성되는 경우사용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결제에 대한 신뢰 또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결제에 대한 신뢰가 높을 경우 사용의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신뢰가 낮을 경우 사용의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모바일 결제의 여러 속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선행 연구는 진행되었지만, 모바일 간편결제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모바일 간편결제의 사용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어떠한 이유로 모바일 간편결제를 사용하지 않는지 비사용자를 중심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본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 1, 2를 제시한다.
연구문제 1.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연구 방법 및 결과

3.1 사전 조사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 1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은 무엇인가?’를 해결하기 위해 사전 조사로서 델파이 조사를 실시했다.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기 위해 금융업 종사자 12명이 실무전문가로서 모집되었으며, 학계 전문가로서 정보 통신 관련교수 7명과 박사 12명이 모집되었다. 델파이 조사는 실무 전문가와 학계 전문가 31명에게 실시되었으며, 총 3회 실시되었다. 1차 조사에서는 반개방형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바일 간편결제를 사용함으로써 느낀 장점 및 단점, 느낀점에 대해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1차 조사결과를 문항화하여 문항이 적절한가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했으며,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될 경우 자유롭게 의견을 서술하도록 했다. 3차 조사에서는 2차 조사 결과에 따라 평균이 낮은 문항 제거 및 수정 후, 각 문항별로 평균을 참고하여 문항이 적절한가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사전 조사 결과, 최종적으로 모바일 간편결제 속성에 관한 18개의 문항이 도출되었으며, 아래의 표 1과 같다.
Table 1
Items from preliminary test
No. Items
1 Looking for password of mobile simple payment is hard.
2 Cancellation of mobile simple payment is difficult.
3 If password for mobile simple payment is forgotten, mobile simple payment can’t use.
4 If your smart phone is lost, registration of mobile simple payment is not easy.
5 Process of mobile simple payment encourages impulse buying.
6 Process of mobile simple payment encourages excessive consumption.
7 Mobile simple payment makes to lose a sense of economy.
8 Using mobile simple payment is convenient.
9 Mobile simple payment can use in moving.
10 Process of mobile simple payment is easy.
11 Because certificate verification doesn’t use, using mobile simple payment is convenient
12 If server of mobile simple payment is hacked, personal information on mobile simple payment is possible to leak.
13 If your smart phone is lost, personal information is leaked by mobile simple payment.
14 Using mobile simple payment, personal information is possible to leak.
15 If password for mobile simple payment forgets, mobile simple payment can’t use.
16 If telecommunication network is destroyed, mobile simple payment can’t use.
17 Mobile simple payment can freely use in on-line and off-line.
18 Infrastructure to use mobile simple payment has been built up.

3.2 본 조사

3.2.1 연구문제 1의 결과

사전 조사를 통해 도출된 18문항으로 모바일 간편결제를 사용하지 않는 340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구 통계학적 특성은 표 2와 같다.
먼저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 적재량 0.5미만의 문항과 중복 적재되는 문항이 있는지 살펴봤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표 3와 같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8개의 문항이 6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요인별 신뢰도는 0.6이상으로 나타났다. 누적 분산 설명력은 75.170%로 높은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roup Percentage(%)
Sex(%) Male(n=169) 49.7
Female(n=171) 50.3
Total(n=340) 100.0
Age(%) 20-29(n=80) 23.5
30-39(n=86) 25.3
40-49(n=87) 25.6
50-59(n=87) 25.6
Total(n=340) 100.0
Table 3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em Factor
SFP TEC C PIL LOF G
Q1 .836
Q2 .790
Q3 .776
Q4 .717
Cronbach’s α .831
Q5 .919
Q6 .884
Q7 .851
Cronbach’s α .912
Q8 .801
Q9 .793
Q10 .778
Q11 .674
Cronbach’s α .793
Q12 .854
Q13 .845
Q14 .797
Cronbach’s α .885
Q15 .885
Q16 .857
Cronbach’s α .854
Q17 .859
Q18 .837
Cronbach’s α .677
E 2.735 2.582 2.549 2.422 1.717 1.526
V 15.193 14.344 14.159 13.456 9.541 8.478
T.V. 15.193 29.537 43.696 57.152 66.693 75.170
*E: Eigen-value, V: Variance, T.V.: Total Variance

* C: Convenience, G: Generality, PIL: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TEC: Trigger of Excessive Consumption, SFP: Safety For Payment, LOF: Limitation Of Free use.

다음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모바일 간편결제 속성에 관한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18문항을 통해 실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후 모델 적합도가 기준에 적합한지 살펴보았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표 4과 같다.
Table 4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stimate Stdz. Estimate S.E. C.R. P
Q1 SFP 1.000 .758
Q2 .919 .730 .073 12.609 .000
Q3 1.018 .708 .083 12.238 .000
Q4 1.186 .783 .088 13.439 .000
Cronbach’s α .831
Q5 TEC 1.000 .967
Q6 .903 .874 .036 24.987 .000
Q7 .853 .811 .040 21.343 .000
Cronbach’s α .912
Q8 C 1.000 .632
Q9 1.200 .773 .112 10.702 .000
Q10 1.260 .791 .117 10.809 .000
Q11 .992 .603 .110 9.019 .000
Cronbach’s α .793
Q12 PIL 1.000 .904
Q13 .918 .857 .045 20.184 .000
Q14 .894 .790 .050 17.949 .000
Cronbach’s α .885
Q15 LOF 1.000 .808
Q16 1.152 .922 .092 12.534 .000
Cronbach’s α .854
Q17 G 1.000 .671
Q18 1.145 .762 .224 5.105 .000
Cronbach’s α .677

χ2(CMIN)= 177.906, DF= 120, P= .000, CMIN/P= .000, CMIN/DF= 1.483, RMR .050, GFI= .947, AGFI= .925, NFI= .943, CFI= .981, RMSEA= .038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8개의 문항이 6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모델 적합도는 CMIN/P를 제외하고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CMIN/P의 경우 χ2통계량의 특성 상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영가설이 채택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대개 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으로 모델 적합도를 검증한다. χ2를 자유도로 나눈 값은 2 이하인 경우 모델이 적합하다고 판단하며, CMIN/DF는 1.483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적합도 평가와 함께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을 정확하게 측정하는지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개념신뢰도(CR)를 통해 집중타당성을 평가했으며, 평균분산추출값(AVE)을 통해 판별타당성을 평가했다. 집중타당성의 경우 CR값이 .7이상이면 집중타당성이 있다고 평가하며, 판별타당성의 경우 AVE값이 각 요인간의 상관계수 제곱 값보다 높으면 판별타당성이 있다고 평가한다.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의 결과는 표 5와 같다.
Table 5
Verification for validity
Factor Correlation
SFP TEC C PIL LOF G
SFP 1.000
TEC .379 (.144) 1.000
C .169 (.029) .300 (.090) 1.000
PIL .534 (.285) .423 (.179) .379 (.144) 1.000
LOF .455 (.207) .224 (.050) .394 (.155) .505 (.255) 1.000
G .186 (.035) .167 (.028) .398 (.158) .184 (.034) .233 (.054) 1.000
CR .835 .868 .783 .874 .807 .660
AVE .864 .898 .818 .903 .863 .744

*CR: Construct Reliability, AVE : Average Variance Extracted.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의 경우 모두 기준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18문항이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18개의 문항이 도출됨에 따라 각 문항의 특성을 고려하여 6개 요인의 요인명을 명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요인 1은 결제의 안전성으로 요인 2는 과잉 소비 유발, 요인 3은 편의성, 요인 4는 개인정보 유출, 요인 5는 자유로운 사용의 제약, 요인 6은 범용성으로 명명할 것이며, 연구문제 1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은 무엇인가?’는 해결되었다.

3.2.2 연구문제 2의 결과

연구문제 2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간편결제 속성 척도와 Venkatesh and Bala(2008)에서 사용된 사용의도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그림 1, 표 6과 같다.
그림 1과 같이 모델 적합도는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분석 결과 표 6에서 나타나듯이 결제의 안전성과 과잉 소비 유발, 편의성, 개인정보 유출, 범용성이 사용의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모바일 간편결제를 사용함으로써 편리하다고 느낄수록 사용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모바일 간편결제를 통해 결제를 하는 것이 기존의 결제 방식과 같이 안전하며 다양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느낄수록 사용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모바일 간편결제를 사용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유출과 과잉 소비에 대한 우려가 증가할수록 사용의도가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1
Result of SEM
KOSHAM_16_02_191_fig_1.gif
Table 6
Results of path analysis
Estimate S.E. C.R. P
ITU SFP 0.368 0.119 3.096 .002
ITU TEC -0.337 0.067 -5.001 .000
ITU C 0.607 0.129 4.712 .000
ITU PIL -0.436 0.103 -4.242 .000
ITU LOF -0.104 0.074 -1.413 .158
ITU G 0.4 0.111 3.601 .000
Q4 SFP 1.154 0.092 12.556 .000
Q3 SFP 1
Q2 SFP 0.902 0.076 11.929 .000
Q1 SFP 0.982 0.08 12.325 .000
Q11 C 1.012 0.109 9.277 .000
Q10 C 1.25 0.114 10.937 .000
Q9 C 1.173 0.109 10.727 .000
Q8 C 1
Q7 TEC 1
Q6 TEC 1.057 0.054 19.664 .000
Q5 TEC 1.169 0.054 21.517 .000
Q14 PIL 1
Q13 PIL 1.023 0.059 17.366 .000
Q12 PIL 1.106 0.061 18.067 .000
Q16 LOF 1
Q15 LOF 0.876 0.069 12.62 .000
Q18 G 1
Q17 G 0.92 0.145 6.349 .000
Q19 ITU 1
Q20 ITU 1.052 0.035 29.759 .000
Q21 ITU 1.019 0.043 23.918 .000

*ITU: Intention To Use

4. 결론

연구 결과 편리함이 사용의도를 가장 크게 증가시키는 반면에 개인정보 유출이 사용의도를 가장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모바일 간편결제를 사용함으로써 편리하지만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 때문에 모바일 간편결제 사용을 망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금융감독원에서 모바일 간편결제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보안성 심의 제도를 폐지하였지만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법적 제도는 수립되지 않았다. 금융기관의 지난 개인정보 유출 사례와 같이 모바일 간편결제를 사용함으로써 개인정보가 유출될 경우 사회적 재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더욱 철저한 보안 시스템을 구축해야할 것이다. 또한 모바일 간편결제를 통해 개인정보가 유출된 후 대응을 하는 것이 아니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법적 제도의 수립 및 보완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학문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간편결제 비사용자를 중심으로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을 도출한 첫 번째 연구이다. 둘째, 비사용자 중심의 모바일 간편결제 속성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을 제시하였다. 셋째, 모바일 간편결제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유출을 사회적 재난의 관점으로 해석한 첫 번째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세 가지의 실무적 함의를 갖고 있다. 첫째, 모바일 간편결제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의 경우 어떠한 이유로 사용하지 않는지를 논하였다. 둘째,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사회적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모바일 간편결제 보안 시스템의 강화 필요성을 밝혀냈다. 셋째, 모바일 간편결제에 관한 법적 제도의 수립 및 보완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모바일 간편결제 사용자 중심의 연구와 모바일 간편결제의 사용 유무에 따른 비교 연구를 진행해야할 필요가 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서울 산업 진흥원의 연구비 지원(미디어 거버넌스를 활용한 지역사회 내 리스크 평가)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Cabanillas, F.L, Fernandez, J.S, and Leiva, M.L (2014) Antecedents of the adoption of the new mobile payment systems: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35, pp. 464-478. 10.1016/j.chb.2014.03.022.
crossref
2. Dahlberg, T, Mallat, N, Ondrus, J, and Zmijewska, A (2008) Past, present and future of mobile payments research: A literature review.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7, No. Issue 2, pp. 165-181. 10.1016/j.elerap.2007.02.001.
crossref
3. Kim, C.S, Mirusmonov, M, and Lee, I (2010) An empirical exam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5, No. Issue 3, pp. 310-322. 10.1016/j.chb.2009.10.013.
crossref
4. KOSHAM (2014).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isaster. Fundamentals of disaster management. Goomibook, Seoul: p 26-27.
crossref
5. KOSTAT (2015) Categorizing items, the volume of business on mobile. Annual retail sales and trend of online shopping in December, 2015) pp. 30.
crossref
6. Lee, S.Y (2016). A Study on the Intention of the Use of Mobile Payment Services :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M.A.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crossref
7. Lu, Y, Yang, S, Chau, PYK, and Cao, Y (2011) Dynamics between the trust transfer process and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services: A cross-environment perspective. Information & Management, Vol. 48, No. Issue 8, pp. 393-403. 10.1016/j.im.2011.09.006.
crossref
8. Mallat, N (2007) Exploring Consumer Adoption of Mobile Payments- A Qualitative Study. The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Vol. 16, No. Issue 4, pp. 413-432. 10.1016/j.jsis.2007.08.001.
crossref
9.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2016). Social disaster, Disaster Information. Retrieved from http://www.ndmi.go.kr/promote/knowledge/human.jsp.
crossref
10. Schierz, P.G, Schilke, O, and Wirtz, B. W (2010) Understanding consumer acceptance of mobile payment services: An empirical analysis.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9, No. Issue 3, pp. 209-216. 10.1016/j.elerap.2009.07.005.
crossref
11. Venkatesh, V, and Bala, H (2008) Technology Acceptance Model 3 and a Research Agenda on Interventions. Decision Sciences, Vol. 39, No. No. 2, pp. 273-315. 10.1111/j.1540-5915.2008.00192.x.
crossref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 Crossref
  •    
  • 2,208 View
  • 39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