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6(4); 2016 > Article
서울 지하철 역사 출입구 캐노피 유형화에 관한 연구

Abstract

Seoul metro is the major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to carry20 million Seoul metropolitan citizens which is comfortable and efficient. But it is not easy to see the shape of subway station located under ground except ground entrance of subway station. There were variety design for subway station entrance with the times. The design decision factor of subway station entrance design were city policy, cityscape, user recognition, harmony with neighbor business, safety, durability, maintenance efficiency, etc. There were no clear and systematic method to decide form of the entrance of subway station. Therefore it could be useful to research fundamental study about installation and maintaining the entrance of subway station. Through this study data of canopy design of subway station are collected and categorized to find attribute of design. As a result, 230 entrance cases of Seoul metro line no. 2 were collected and analyzed.

요지

서울의 지하철은 2000만명의 수도권 시민들을 쾌적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주요 대중 교통 수단이다. 지하철은 그 역사가 대부분 지하에 자리를 하고 있어 전체의 모습을 볼 수 가 없으며 지상에 노출된 입구만이 인지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지하철 입구의 형태는 지하철 노선과 건립시기에 따라 다양한 지하철 입구 디자인이 사용되고 있다. 지하철 출입구의 디자인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각종정책, 도시미관, 인식성, 주변 상권과의 조화, 안전 방재성, 내구성, 유지관리성에 대한 판단 등이다. 지하철 입구의 디자인의 결정은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해왔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지하철 입구의 형태를 결정하는 캐노피의 형태를 체계적으로 설치, 관리하기 위한 기본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지하철 입구의 형태를 캐노피 디자인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총 230개의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사 입구를 전수조사하고 이를 유형화하였다.

1. 서론

서울 지하철은 1974년 서울역과 청량리 구간이 최초로 개통한 이후로 9개 노선에 총연장 길이 311km와 311개 역으로 구성된 세계적인 규모를 갖고 있다. 매일 약 700만명의 시민이 지하철을 이용하고 있으며 각 환승역을 제외하고 출발역과 종착역의 출입구를 평균적으로 약 45,000명의 시민이 출입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지하철 역사에서 이용자들이 처음 만나게 되는 것이 지하철 입구이며 지하철 노선과 건립시기에 따라 다양한 지하철 입구 디자인이 적용되고 있다. 지하철 출입구의 디자인은 각종정책, 도시미관, 인지성, 주변 상권과의 조화, 안전 방재성, 내구성, 유지관리성 에 따라 결정되어 왔다. 지하철 입구의 중요성과 많은 시민들이 사용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그동안 지하철 입구 디자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없었고 기본적인 유형분류도 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지하철 입구의 형태를 캐노피 디자인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유형화 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기존 선행연구와 기준을 분석하여 지하철 역사 출입구 캐노피 디자인의 변천과정을 고찰하였고 지하철 역사 출입구를 전수조사 하여 분류기준을 설정하여 유형화하였다. 조사의 범위는 효율적인 연구를 위하여 지하철 2호선의 역사 출입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2. 지하철 캐노피의 이론적 고찰

2.1. 선행연구의 고찰

지하철 출입구 캐노피 디자인 관련 연구로는 김민희의 “지하철역 캐노피의 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2009)”가 있다. 이 연구는 조사 대상 지역의 지하철 출입구 사례수가 적고 캐노피 설치 율이 낮아 캐노피 형태와 주변 환경을 유형화 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지하철 출입구 유형화 연구로는 이창의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지하철 역사 진출입 시설 개편방향 연구(2009)”가 있다. 지하철 출입구 유형화 연구는 지상보도 위 출입구를 최소화하고 주변 건축물과 통합하는 관점이 주요주제이며 이를 보편화 하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로는 김범식의 “공공디자인 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2009)”, 이양병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 방법론에 관한 연구(2011)”, 조정형의 “공공디자인의 효율적 적용을 위한 공공시설물 평가Tool 개발에 관한 연구(2010)”가 있다. 이들 연구는 다양한 공공시설물을 다루고 있어 지하철 역사 출입구를 평가하기에는 일반화된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인 선행연구가 디자인과 기능분석 관점의 연구이며, 지하철 출입구 캐노피를 유형화하기에는 선행 연구 자료가 많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2. 지하철 출입구 캐노피 정의 및 특성

지하철 출입구의 법적 정의에 대해서는 국토해양부령(2012) 제456호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제2조 정의에, 지하도출입시설과 출입구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지하도출입시설”이라 함은 지상의 도로 등에서 지하공공보도시설로 들어가거나 지하공공보도시설에서 지상의 도로 등으로 나오기 위하여 설치된 시설로서 출입구와 출입구부터 출입계단 또는 출입경사로가 끝나는 부분까지의 시설을 말한다. “출입구”라 함은 지하도출입시설 중 지상의 도로 등에 접하는 부분을 말한다.
캐노피는 미술대사전(1998, 한국사전연구사)에서 천개(天蓋), 차양, 현관, 문턱, 창문, 니치(龕), 침대, 제단, 설교단, 능묘 등의 위쪽을 가리는 지붕처럼 돌출된 것, 혹은 덮개라 정의한다. 다시 말해서 벽체 없이 만들어진 지붕을 말한다.
지하도 출입시설과 캐노피라는 용어를 조합하여 보면 지상의 도로 등에서 지하철 대합실로 들어가거나 지상의 도로 등으로 나오기 위하여 설치된 출입구와 출입구로부터 출입계단 또는 출입경사로가 끝나는 부분까지의 시설의 벽체가 없는 지붕덮개를 의미한다.
지하철 출입구 캐노피는 대중교통이용자가 지하철을 타기 위해 접근할 때 첫 번째로 접하는 곳으로 공간의 구분을 분리하는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 주 기능은 차양, 눈, 비 등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지만 지상의 도로 등에서 역사 대합실로 들어오고 나가는 중요한 공간을 만들어 주고 있다. 또한 지상의 도로 등과 접하고 있어 가로 환경측면으로는 도시가로 공공시설물로 도시가로의 한 부분이 된다. 기능적인 필요성 이외에공간과 공간을 연결해주는 상징성, 인지성 등이 필요하며 또한 도시가로환경과의 조화성과 도시경관과의 통일성 등이 요구되어진다. 더 나아가 그 도시를 반영한 정체성이 요구되어 지는 시설물이다.

2.3. 지하철 출입구 캐노피의 설치 근거

건설교통부령(2012) 제456호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의 제8조 지하도출입시설의 구조 및 설치기준(Table 1)에 따르면, ‘출입구에는 빗물 등이 직접 지하공공보도시설 내부에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안전한 구조의 지붕 또는 덮개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라고 되어있다.
Table 1
Guide of structure and installation of underground path entrance1)
Object Structure and installation guide
Installation of entrance  - More than 1 entrance at a gate facility
 - Wider than 2m width for each entrance
 * If there is 1 entrance, wider than underground corridor width
 - 1 More than up/down escalator at a direct connecting gate to underground plaza
Ground pedestrian entrance  - Wider than 3m for ground pedestrian way except entrance
 * If there is no interruption for pedestrian traffic, 2 m width could be allowed
Distance of entrance  - Closer than 100m
 * It could be extended within 20 m
Roof and covered facility  - Every entrance should be installed with roof or covered facility
 * It could be waved with city planning committee deliberation
서울시 지하철 1기(1호선)은 서울역~청량리간(도심지 경유) 9 km(왕복 18 km 복선으로) 1971년 5월 12일 기공식을 시작으로 1974년 8월 15일 개통되었다. 1호선을 건설할 때 적용되었던 캐노피의 디자인이 3,4호선 건설 당시까지 반영되었다. 1호선 출입구 캐노피 구조는 기존 출입구 콘크리트 난간 위에 철골조로 되어있으며, 마감은 지붕재는 FRP, 천장재는 AL 스팬드럴, 측면테두리 및 기둥 마감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계획되었다(Figure 1).
Fig. 1
subway entrance canopy plan for Seoul subway line 12)
KOSHAM_16_04_007_fig_1.gif
1977년 2호선 1단계 개통부터 1999년 8호선 2단계, 2000년 6, 7호선 호선 2단계 개통까지 서울시 지하철 출입구 캐노피 디자인에 관련된 정책은 소극적으로 추진되었는데 에스컬레이터가 없는 역사 출입구의 경우 민원 등의 이유로 캐노피 미설치를 원칙으로 한 경우가 있다. 2000년에 들어서는 지하철 부문에서는 지하철 정거장 환경디자인 가이드라인(2008), 지하철 출입구 캐노피 부문에서는 2010 공공시설물 표준형디자인 매뉴얼(2011)을 제시하였다.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의 내부자료를 통해 2015년 서울시 지하철 출입구 캐노피 현황을 보면 Table 2와 같다.
Table 2
Subway entrance canopy in Seoul
Lines Number of entrance to the ground Roof
Roof No roof Roof installation ratio (%)
Seoul Metro Line 1 69 49 20 71.0
Line 2 291 272 19 93.5
Line 3 172 113 59 65.7
Line 4 160 110 50 68.8
Sub 692 544 148 78.6
City Rail Corp. Line 5 230 81 149 35.2
Line 6 172 48 124 27.9
Line 7 279 167 112 59.9
Line 8 72 19 53 26.4
Sub 753 315 438 41.8
Total 1452 865 587 59.6
서울시 지하철 1~8호선 출입구 캐노피는 외부출입구 1452개소 중 865개소가 설치되어 설치율이 59.6%이다. 서울메트로는 78.6%, 도시철도공사는 41.8%이다. 유형을 분류할 때 서울메트로의 경우 기존, 표준형, 경량, 미설치로 구분하고 있으며 서울도시철도공사의 경우 개방형, 밀폐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 1,2기 건설당시 다수의 캐노피, 이후 표준형 캐노피 디자인 개발 전 설치된 다양한 캐노피가 존재하고 있다. 지하철 운영기관에서는 신규 설치 및 개량 시 지하철 영업 중에 공사를 해야 되는 점, 인근 상가들의 민원, 예산부족 등 캐노피 디자인 개선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3. 지하철 출입구 캐노피 유형 분류

3.1. 지하철 출입구 캐노피의 유형 분류

3.1.1 주요 유형 분류

서울지하철 2호선 역사는 크게 지하역사와 지상역사로 구분할 수 있다. 서울지하철 2호선 역사와 출입구수는 총 50역 291개소이고 이중 지하역사 36역 230개소, 지상역사 14역 61개소이다. 캐노피 설치율은 93.4%로 291개소 출입구 중 272개소(기타 건축물형 포함)가 설치되어 있다(Table 3).
Table 3
Subway entrance canopy in Seoul Metro line 2
Total Basic type Glass type Panel type Light weight Building type Uninstalled
A: panel B: Panel&glass C: Standard
Underground 230(36st) 127 56 27 (A:5, B:7, C:15) 5 2 13
Ground 61(14st) 4 3 12 (A:3, B:9) 18 18 6
Total 291(50st 131 59 27 (A:8, B:16, C:15) 23 20 19
지하철 출입구 캐노피의 유형 분류는 아래와 같다.
① 1980년대 건설당시 설치한 캐노피를 기본형(basic type), ② 지붕재 기준으로 유리로 된 캐노피를 유리형(glass type), ③ AL복합패널, 스테인레스 스틸 위 불소수지도장 등 지붕재가 금속패널로 된 캐노피를 패널형(panel type), ④ 지붕재가 패널과 유리가 복합적으로 사용된 캐노피를 패널+유리형(panel & glass type), ⑤ 서울시에서 표준형으로 2010년 설계되어 이후 설치되고 있는 캐노피를 표준형(Seoul city standard type), ⑥ 폴리카보네이트, 비닐천막 등 경량 자재가 사용된 캐노피를 경량형(light weight type), ⑦ 건물(역사 등)이 캐노피 역할을 하는 캐노피를 건축물형(building type)으로 분류하였다.
서울시 표준형 캐노피와 패널+유리형의 경우 지붕재가 금속패널로 설치되어 있기에 패널형에 속해했어 크게 분류하면 기존형, 유리형, 패널형(패널, 패널+유리, 표준형 포함), 경량형, 건축물형으로 구분이 가능하다(Figure 2).
Fig. 2
Subway Station Underground Entrance Canopy Types
KOSHAM_16_04_007_fig_2.gif
지하역사 출입구 총 230개소 중 건축물형과 미설치를 제외한 캐노피는 215개소이고 이 중 기존형 캐노피는 127개소로 59.1%를 차지하고 있어 건설당시 기존 캐노피가 현재까지 대부분 교체 없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건설 후 신설된 캐노피는 88개소이고 이 중 유리형이 56개소로 63.6%를 차지하고 그 뒤로 패널형이 27개소로 30.7%를 차지하고 경량형이 5개소로 5.7%를 차지한다. 표준형의 경우 서울시 표준형 캐노피 디자인이 2010년에 제정되고 2011년 이후 설치된 것을 감안하면 패널형 중 표준형 캐노피는 빠르게 보급되어 설치되고 있다.
지상역사 출입구는 총 61개소이고, 건축물형과 미설치를 제외한 캐노피는 총 37개소이다. 이 중 경량형이 18개소로 48.6%를 차지하고 있고 그 뒤로 패널+유리형 9개소 24.3%를 차지하여 두 번째로 많이 설치되고 있다. 지상역사의 경우는 서울시 표준형 캐노피가 없으며 건설당시 설치된 기존 캐노피는 현재 4개소가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지하역사 캐노피와 비교해 볼 때 출입구의 78.6%가 브리지 형태로 되어 있고 고층 대합실로 연결 되어 있어 지붕재로 유리 같은 자재보다는 금속패널과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경량자재가 선호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Figure 3).
Fig. 3
Subway Station Ground Entrance Canopy Types
KOSHAM_16_04_007_fig_3.gif

3.1.2 유형별 개방과 차폐

캐노피의 양 벽면은 유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개방형(Open)과 유리가 설치되어 있는 차폐형(Closed)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유형별 개방과 차폐 현황은 아래 Table 4와 같다.
Table 4
Entrance types with side opening
Types Total Open(O) Close(C)
Underground Basic Type 127 127 -
Glass Type 56 2 54
Panel Type 27 5 22
L-weight Type 5 2 3
Sub 215 136 79
Ground Basic Type 4 4 -
Glass Type 3 - 3
Panel Type 12 2 10
L-weight Type 18 5 13
Sub 37 11 26
Total 252 147 105
지하역사 캐노피의 개방 유·무를 분석한 결과 총 215개소 중 개방형 136개소, 차폐형 79개소로 개방형이 63%를 차지한다. 기존형 127개소는 전부 개방형으로 설치되어있고 유리형 56개소 중 2개소가 개방형 54개소가 차폐형, 패널형은 27개소 중 5개소 개방형 22개소가 차폐형이다.
기존형 건설 후에 신설된 캐노피 88개소 중 79개소(89.7%)가 차폐형으로 설치되었다. 지하철 건설 후 편의시설인 에스컬레이터 등이 설치되면서 눈·비오는 날 전도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주로 차폐형으로 설치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냉방기 설치 등 공조시설의 향상으로 여름에 공기순환이 그리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지상역사 캐노피의 개방 유무를 분석한 결과 총 37개소 중 차폐형이 26개소로 70.2%를 차지한다. 기존형 4개소 중 4개소 모두 개방형이고 유리형은 3개 모두 차폐형, 패널형은 12개소 10개소가 차폐형, 경량형은 18개소 13개소가 차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상역사 캐노피의 경우도 신설된 총 33개소 캐노피 중 개방형 7건 차폐형 26개소로 차폐형이 78.8%를 차지한다. 지상역사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눈·비오는 날 전도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주로 차폐형으로 설치되었음을 고려할 수 있다.

3.1.3 유형별 횡단면 형태

캐노피 횡단면을 유형별로 구분하면 크게 수평형(Flat), 곡면형(Arc), 박공형(Gable)으로 구분할 수 있다(Figure 4).
Fig. 4
types of entrance cross section
KOSHAM_16_04_007_fig_4.gif
캐노피 횡단면에 따른 분류 현황은 Table 5와 같다.
Table 5
Numbers with types of entrance cross section
Types Total Flat Type(F) Arc Type(A) Slope Type(G)
Underground Basic Type 127 127 - -
Glass Type 56 41 13 2
Panel Type 27 27 - -
L-weight Type 5 - 5 -
Sub 215 195 18 2
Ground Basic Type 4 - - 4
Glass Type 3 3 - -
Panel Type 12 12 - -
L-weight Type 18 - 18 -
Sub 37 15 18 4
Total 252 210 36 6
지하역사 캐노피의 횡단면을 분석한 결과 전체 215개소 중 수평형이 195개소, 곡면이 18개소 박공이 2개소로 수평형이 전체에 90.6%를 차지한다. 기존형 127개소 모두 수평형이고 유리형은 56개소 중 41개소가 수평형, 13개소가 곡면형, 2개소가 박공형이다. 패널형 27개소는 모두 수평형, 경량형 5개소는 모두 곡면형이다.
캐노피에 사용되는 주요자재인 패널과 유리가 유연성이 없는 자재이기 때문에 수평형으로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강남역 8개소, 이대입구역 4개소, 문래역 1개소는 마감재가 유리임에 불구하고 곡면으로 설치되어있고 양천구청역의 경우에는 박공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경량형 5개소 전부 곡면형인데 이는 지붕 사용자재가 경량형인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비닐천막지로 사용되어 구조적인면과 누수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곡면으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상역사 캐노피의 횡단면을 분석한 결과 전체 37개소 중 수평형이 15개소, 곡면이 18개소 박공이 4개소로 수평형과 곡면형의 수가 거의 비슷하다. 기존형 4개소는 전부 박공형, 패널형은 모두 수평형이다. 경량형은 모두 곡면형이다.
기존형 캐노피는 지상역사 지붕과 같은 피복 강판 박공형으로 설치되었다.
경량형 18개소 모두가 곡면형인 것은 지하역사와 마찬가지로 주요 자재가 폴리카보네이트와 비닐천막으로 잘 굽어질 수 있는 자재가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3.1.4 유형별 종단면 형태

캐노피 종단면을 유형을 구분하면 Figure 5와 같이 크게 수평형(Flat), 곡면형(Arc), 경사형(Slo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Fig. 5
types of entrance longitudinal section
KOSHAM_16_04_007_fig_5.gif
캐노피 종단면에 따른 분류 현황은 Table 6과 같다.
Table 6
Numbers with types of entrance longitudinal section
Types Total Flat Type(F) Arc Type(A) Slope Type(G)
Underground Basic Type 127 127 - -
Glass Type 56 7 41 8
Panel Type 27 26 1 -
L-weight Type 5 5 - -
Sub 215 165 42 8
Ground 37 - - 37
Total 252 165 42 45
지하역사 캐노피의 종단면을 살펴보면 전체 215개소 중 수평형이 165개소 곡면형이 42개소, 경사형이 8개소로 수평형이 전체에 76.7%를 차지한다. 기존형, 패널형, 경량형 204개소 중 203개소가 수평형이다. 하지만 유리형의 경우 곡면형과 경사형이 각각 41개소, 8개소로 전체의 87.5%를 차지하고 있어, 곡면형과 경사형과 같이 경사가 진 형태가 주로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리형의 경우는 곡면형과 경사형이 많이 사용 되었는데 유리를 지붕재로 사용할 때 특성상 우수 배수 시설 설치가 어렵고 먼지 등 오염에 취약성이 있어 곡면형과 경사형이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추측하게 된다. 또한 패널형을 곡면형과 경사형으로 설치할 경우 출입구 캐노피 인근 상가 등 시설들의 인지도가 낮아질 수 있기도 하다. 지상역사 캐노피의 경우 캔틸레버 형태의 구조적 특성상 전부 경사형이다.

4. 결론

캐노피의 주요 유형은 기존형, 유리형, 패널형, 경량형으로 구분된다. 지하역사 출입구 총 230개소 중 건축물형과 미설치를 제외한 캐노피는 215개소이고 이 중 기존형 캐노피는 127개소(59.1%)이고 건설당시 기존 캐노피가 대부분 교체 없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하철 건설 후 신설된 캐노피는 88개소이고 이 중 유리형이 56개소(63.6%), 패널형이 27개소(30.7%), 경량형이 5개소(5.7%)이다. 지상역사 출입구는 총 61개소이고, 건축물형과 미설치를 제외한 캐노피는 총 37개소이다. 이 중 경량형이 18개소(48.6%), 패널형 12개소(32.4%), 유리형 3개소(8.1%)이다. 기존 캐노피는 현재 4개소(10.8%)이다.
지하역사 캐노피 주요유형별 개방과 차폐를 분석한 결과 총 215개소 중 개방형 136개소, 차폐형 79개소로 개방형이 63%를 차지한다. 하지만, 지하역사 건설당시 기존형 지하역사 127개소, 지상역사 4개소는 개방형이지만 기존형 후에 신설된 지하역사 출입구 캐노피 88개소 중 79개소(89.7%)가 차폐형으로 설치되었다. 지상역사의 경우도 신설된 총 33개소 캐노피 중 개방형 7건, 차폐형 26개소로 차폐형이 78.8%를 차지한다. 건설당시는 개방형을 건설하였지만 신설되고 있는 캐노피의 경우 주요 유형과 상관없이 차폐형이 주를 차지하고 있다.
지하역사 캐노피의 횡단면을 분석한 결과 전체 215개소 중 수평형이 195개소, 곡면이 18개소 박공이 2개소로 수평형이 전체에 90.6%를 차지한다. 기존형 후에 신설된 패널형 22개소는 모두 수평형이고 경량형 5개소는 모두 곡면형이다. 유리형은 56개소 중 41개소(73%)가 수평형이고 13개소가 곡면형, 2개소가 박공형이다. 지상역사 캐노피의 횡단면을 분석한 결과 전체 37개소 중 기존형 4개소는 박공형, 경량형 18개소는 곡면형, 패널형 12개소와 유리형 3개소는 모두 수평형임을 알 수 있다. 신설된 캐노피 횡단면 형태는 주로 수평이고 경량형만 모두 곡면형으로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지하역사 캐노피의 종단면을 살펴보면 전체 215개소 중 수평형이 165개소 곡면형이 42개소, 경사형이 8개소로 수평형이 전체에 76.7%를 차지한다. 기존형, 패널형, 경량형 204개소 중 203개소가 수평형이다. 하지만 유리형의 경우 56개소 중 곡면형과 경사형이 모두합쳐 49개소로 87.5%를 차지하고있다. 유리형의 경우 지붕 우수처리시설 설치가 어려워 구배로 인한 배수와 유리 지붕재 내오염성 등 기능적인 요인으로 인한 특성으로 파악된다. 지상역사 캐노피는 역사 특성 상 전체 37개소 모두 경사형이다.
전반적인 서울 지하철 역사의 지상 출입구의 디자인을 캐노피의 관점으로 조사하고 이를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이용자들의 만족도 및 개선의견을 수렴하여 향후 보다 안전하고 도시경관에 기여하는 지하철 입구를 만드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사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한계가 있을 것이며 서울 지하철이 2개의 회사로 분리되어 있어 건설이력과 향후 건설 방향도 확인하기 어려운 부족함이 남아 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학술연구비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Notes

1) 건설교통부령(2012) 제456호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의 제8조 지하도출입시설의 구조 및 설치기준.

2) 2006.1. 도시철도 기술자료집, 서울메트로

References

Art Dictionary (1998) Korea Dictionary Research Institute.
crossref
Cho, C.-H (2010). Study on developing valuation tool of public design facilities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public design. Chosun University, Ph.D Degree Thesis.
crossref
Kim, B.-S (2009). A Study on Design Quality Indicators for Public Design. Chung-Ang University, Master Degree Thesis.
crossref
Kim, M.-H (2009).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ubway Station Canop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aster Degree Thesis.
crossref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www.law.go.kr.
crossref
Lee, C, et al (2009). Strategies for Reorganizing the Subway Entrance System in Seoul to improve pedestrian Environment. Seoul Development Institute.
crossref
Lee, Y.-B (2011).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ology for Designs of Public Facilities. Chosun University, Master Degree Thesis.
crossref
Metro Rail Technical Handbook (2006) Seoul Metro.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