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6(5); 2016 > Article
WPT, RCPT 및 SEM을 사용한 고온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bstract

Previous experimental studies on concrete under high temperatures have mainly concentrated on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ncrete. However,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on durability properties of concrete after fire damage. In this study, the reduction of the durability is investigated using a water permeability test (WPT) and rapid chloride permeability test (RCPT). Additionally,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bservation is presented from concrete samples used in the current research.

요지

현재까지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콘크리트의 고온 특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고온에서 수행된 콘크리트 특성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역학적인 특성에 집중되어 있어 화재 후, 콘크리트의 내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수분투수성(Water Permeability Test: WPT)과 염화물투수성 (Rapid Chloride Permeability: RCPT)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온도 시나리오 하에 고온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내구적인 특성을 관찰하고자 수행되었다. 부가적으로,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통한 콘크리트 의 마이크로 구조 변화를 분석하였다.

1. 서론

화재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특성은 크게 역학적 특성과 내구 적 특성의 관점에서 고려될 수 있다. 콘크리트는 화재에 대해 비교적 안전한 재료로서 여겨져 왔으나, 건물의 고층화에 따 른 콘크리트의 고강도화는 더 이상 콘크리트가 화재에 안전 한 재료가 아니라는 것이 Chan et al. (1999), Hertz(2003), Peng et al. (2006) 등의 연구에서 조사되었다.
화재와 같은 급격한 온도증가에 콘크리트가 노출될 때, 콘크리트 내부의 골재는 온도증가와 함께 팽창하는 반면, 시멘트 페이스트는 약 150°C에 이를 때 까지 팽창한 후, 다시 수축한다. 시멘트 페이스트의 초기 팽창은 온도증가와 함께 시멘트 페이스트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상변화로 인한 기공압 의 상승에 기인하며, 수축은 기체로서 증발된 물의 손실에 의해 발생된다. Lee and Kim(2007) 의 연구에서는 온도 증가에 따른 시멘트 페이스트와 골재의 서로 다른 메커니즘은 콘크리트의 균열증가와 함께 큰 체적 변화를 유발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화재와 같은 고온에 콘크리트가 노출될 때, 콘크리트 구조 물의 잔존수명이 급격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고 온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특성을 파악하고 콘크리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변수를 고려한 연구들이 Guo and Waldron(2000), Cheng(2004), Kodur and Sultan(2003)등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 되어져 왔다. 그러나 화재 후,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구조물의 잔존수명에 크게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는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에 집중되어 왔다. Poon(2001)이 고강도 콘크리트와 보통강도 콘크리트에 관한 강도 특성과 내구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그의 연구는 화재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가열과 냉각에 관한 온도변수를 고려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온도조건에 따른 콘크리트의 내구 성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실험변수는 가열 속도, 최대 노출 온도, 최대 노출온도에서의 노출 시간 그리고 냉각속도이다. 시험체의 내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분투수성 (Water Permeability Test: WPT) 과 신속 염화물투수성 (Rapid Chloride Permeability: RCPT) 실험이 수행되었다. 부가적으로,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통한 콘크리트의 마이크로 구조 변화가 관찰되었다.

2. 시험체 준비 및 실험계획

2.1 시험체 준비

본 연구에서는 포틀랜드 시멘트 Type I/II 가 사용되었으며, 굵은골재와 잔골재는 비중 2.76 의 화강암을 사용하였다. 콘크리트 배합에 있어 혼화재는 고려하지 않았다. 콘크리트 배합 에서 사용된 물/시멘트 비는 0.67 이었고, 측정된 슬럼프 치는 37±10 mm, 공기량은 2±0.5% 였다. 골재의 최대 크기는 20 mm 였다. Table 1 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콘크리트의 배합비를 보여준다.
Table 1
Mixing Ratio of Concrete
W/C (%) S/a (%) Mixing Design (kg/m3) Comp.Strength (MPa)
Cement Fine Agg. Coarse Agg. 28days
67 45 356 848 1032 22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Aggregate
Aggregates Specific gravity Fineness Modulus Absorption (%) Comp.Strength (MPa)
Fine Agg. 2.76 2.20 0.53 -
Coarse Agg. 6.50 0.78 131
실험에서 사용된 시험체는 100×200 mm 콘크리트 실린더를 온도 23°C, 상대습도 93% 의 조건하에 3주 동안 양생 후, 콘크리트 절단기 (wet-saw machine) 를 사용하여 실린더 상부와 하부 40 mm 를 제거한 후, 100 mm×50 mm 의 크기로 절단 하였다. 절단된 실린더는 상기 명시된 조건하에 다시 5주동 안 양생되었다.

2.2 실험계획

본 연구에서 수행된 WPT 실험변수는 가열속도 (2°C/min, 15°C/min), 최대 노출온도 (200°C, 400°C, 600°C), 최대 노출 온도에서 노출시간 (2시간, 4시간) 그리고, 냉각속도 [서냉각 (slow cooling), 자연냉각 (natural cooling) 및 수냉각 (water cooling)] 이다. 고려된 냉각조건에서 자연냉각 (natural cooling) 은 시험체가 완전하게 실내온도 (Room temperature)로 냉각 될 때까지 가열로 안에 남겨지는 것이며, 서냉각 (slow cooling)은 냉각 속도를 자연냉각보다 느리게 조절한 것이다. 수냉각 은 최대온도에서 고려된 노출시간의 경과 후, 20°C의 물탱크 안으로 옮겨져 10분 동안 물 속에서 냉각된 것이다. Fig. 1은 본 실험에서 사용된 실험변수에 대한 개요도를 보여준다. RCPT 실험은 실험의 장시간 소요로 인해 15°C/min 의 가열속도와 2시간의 노출 시간은 실험변수에서 제외하였다.
Fig. 1
Schematic of Temperature Scenarios
KOSHAM_16_05_119_fig_1.gif

3. WPT 실험방법 및 결과분석

3.1 실험방법

WPT 실험은 고온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마이크로 구조 및 내구적 특성변화를 예측하는데 있어 유용한 실험방법이다. 본 실험을 위해 Ludirdja et al. (1989)의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장비를 근간으로 하여 간단한 실험장비가 제작되었다. Fig. 2는 WPT 실험을 위한 실험장치 단면을 보여준다.
Fig. 2
WPT Test Set-up Detail
KOSHAM_16_05_119_fig_2.gif
총 8주에 걸쳐 양생된 100 mm×50 mm 의 콘크리트 실린더는 실험계획에서 제시된 각각의 온도 조건에 종속된 후, 콘크리트 시험체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ASTM C 1202 의 진공 프로세스에 근거하여 3시간 동안 공기 진공상태에 종속 된 후, 1시간 동안 물 속에서 진공상태로 놓여진다. 진공을 위해 사용되는 물은 내부 공기의 제거를 위해 끓여진 후, 상온으로 식혀져야 한다. 모든 진공 프로세스가 수행된 후, 시험체는 실험 시작 전 18시간 동안 물속에 놓여진다. 실험장비와 시험체 조립 절차는 Fig. 3 에 보이는 바와 같다. 시험체를 통과한 물의 양은 피펫의 눈금을 통해 정기적으로 측정되며, 동시에 초기 물의 양만큼 채워진다.
Fig. 3
Procedure of Test Set-up
KOSHAM_16_05_119_fig_3.gif

3.2 실험결과 및 분석

Fig. 4 는 15°C/min 의 가열속도와 2시간의 노출시간에 종속 된 일련의 시험체 R15_D2 에 대한 실험결과이며, Fig. 5는 2°C/min 의 가열속도와 4시간의 노출온도에 종속된 일련의 시험체 R2_D4 에 대한 실험결과이다. 그림에서 세로축은 시험 체를 통과한 누적된 물의 양(Q)이며, 가로축은 시간 (min) 이다. Fig. 4Fig. 5 에서 (a), (b), (c)는 동일한 냉각조건 하에 상이 한 최대 노출온도에 따른 결과이며, (d), (e), (f)는 동일한 최 대 노출온도 하에 상이한 냉각조건에 따른 결과를 보여준다. 실험결과에서 보이는 초기 비선형 곡선은 부분적으로 비워진 공극 내부로의 흡수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결과로 부터, 초기 구배는 노출온도와 냉각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 하였으며, 특히 수냉각에 종속된 시험체중 최대온도 400°C와 600°C에 노출된 시험체는 물의 누적 양과 시간의 관계는 선 형이었다. 따라서, 급속한 냉각은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심각 한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냉각속도의 증가에 따른 콘크리트의 강도와 강성 저하에 관 한 Lee and Kim(2007) 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실험 결과로 부터 다쉬의 법칙 (Darcy’s law) 을 적용함에 의해 각 시험체의 투수계수가 획득될 수 있다. Eq. (1) 을 적분함에 의해 Eq. (2)가 획득된다.
Fig. 4
Test Result of R15D2
KOSHAM_16_05_119_fig_4.gif
Fig. 5
Test Result of R2D4
KOSHAM_16_05_119_fig_5.gif
(1)
V=KpAh/L
(2)
QL/(Ah)=Kpt  
여기서, V: 단위 면적당 dQ/dt(m/sec), Q: 시험체를 통과한 물의 누적 양 (m3), A: 시험체의 단면적 (m2), L: 시험체의 두께 (m), h: 물의 높이 (m), Kp : 투수계수 (mm/sec).
Eq. (2)를 적용하여 투수계수를 획득하기 위해 시간에 따른 누적 투과량의 선형 안정화 부분을 고려하여, QL/(Ah)와 시간 에 대한 선형 회귀분석이 수행된다. Fig. 6Fig. 7은 R15_D2 와 R2_D에 대한 선형 회귀분석의 결과이며, 획득된 1차 함수의 기울기가 각 시험체의 투수계수로서 정의된다. Table 3Table 4는 R15_D2 와 R2_D4 시험체의 투수계수를 요약한 것 이다. 실험 결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투수계수는 노출온도 와 냉각속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노출온도와 냉각속도의 증가는 콘크리트 표면과 내부온도 사이의 온도차를 급격하게 증가시켜 열응력에 의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저하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수냉각에 종속 된 시험체의 경우 400°C이상의 노출온도에서 다른 냉각조건 에 비해 내구성이 급격하게 감소한다는 사실을 보였다. 이러한 사실은 온도효과에 따른 콘크리트의 내구성 저하가 강도 와 강성에 관한 역학적 특성의 저하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내구성에 관한 변화는 콘크리트의 마이크로 구조의 변화와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6
Regression Analysis of R15D2
KOSHAM_16_05_119_fig_6.gif
Fig. 7
Relative Water Permeability of R2D4
KOSHAM_16_05_119_fig_7.gif
Table 3
Coefficients of Water Permeability for R15 D2
Temperature (°C) Kp(10-10m/s)
Slow Cooling Natural Cooling Water Cooling
25 1.28 1.28 1.28
200 1.33 1.72 2.48
400 3.03 3.15 236.67
600 4.47 5.62 2416.67
Table 4
Coefficients of Water Permeability for R2_D4
Temperature (°C) Kp(10M-10m/s)
Slow Cooling Natural Cooling Water Cooling
25 1.28 1.28 1.28
200 1.44 1.82 3.73
400 2.32 2.55 438.33
600 3.15 3.85 3283.33
Fig. 8Fig. 9는 서냉각과 자연냉각 하에 R15_D2 와 R2_D4 시험체의 투수계수를 비교한 것이다. 그림으로부터, 400°C이상의 온도에 노출된 시험체의 경우, 내구성 저하는 최대 노출온도에서의 노출시간보다 가열속도에 크게 영향 받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00°C에 노출된 시험체는 가열속 도와 노출시간에 영향 받지 않았다.
Fig. 8
Relative Water Permeability(Slow Cooling)
KOSHAM_16_05_119_fig_8.gif
Fig. 9
Relative Water Permeability(Natural Cooling)
KOSHAM_16_05_119_fig_9.gif

4. RCPT 실험방법 및 결과분석

4.1 실험방법

RCPT 실험은 염화이온의 투과성을 빠르게 예측할 수 있는 실험방법으로 콘크리트의 염화이온 투과성이 쿨롱(Coulomb) 의해 제시되며, 그 수치가 큰 경우 내구성이 감소함을 나타낸다.
실험은 ASTM C 1202-94 의 실험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그러나 온도증가에 의한 콘크리트의 손상으로 인해 사용전압 은 ASTM C 1202-94 에서 제시된 60volt아닌 30volt 가 사용되었다. 사용된 장비는 G사의 PPOOVE’IT 시스템이다. 시험체의 양생조건과 크기는 WPT 실험에서 행해진 시험체와 동일하며, 진공 프로세스는 2.1장에서 서술된 바와 같다. 각각 의 온도조건에 4개의 시험체가 사용되었으며, 사용된 총 시험 체의 개수는 40개였다.

4.2 실험결과 및 분석

Fig. 10은 상이한 냉각조건 하에 수행된 R2_D4 시험체의 RCPT 실험결과를 보여준다. 200°C와 400°C에 노출된 시험체의 냉각속도에 따른 영향은 WPT 실험결과와 같이 냉각속도의 증가에 따라 쿨롱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600°C에 노출된 시험체의 경우 냉각속도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10
Comparison of RCPT Test Result by Cooling Condition(R2_D4)
KOSHAM_16_05_119_fig_10.gif
흥미있는 결과로서, WPT 실험결과와 달리 200°C와 400°C 의 최대 온도에 노출된 시험체의 경우 쿨롱의 양이 거의 유사하며 오히려 400°C에 노출된 시험체가 200°C에 노출된 시험 체에 비해 그 수치가 낮게나타났다.
비록 그 차이가 작다 할지라도, 400°C에 노출된 시험체가 200°C에 노출된 시험체에 비해 쿨롱의 수치가 낮게 나타난 결과의 타당성을 설명하기란 쉽지 않다. 더구나, 400°C에 노출된 서냉각, 자연냉각, 수냉각 시험체 모두가 200°C에 노출된 시험체 보다 더 낮은 수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그 실험결과를 시험상의 오류로도 볼 수 없다.
획득된 실험결과의 타당성을 설명하기 위해 이온의 크기와 온도 증가에 따른 콘크리트 기공의 크기 변화를 고려해 볼 수 있으나, Poon(2001) 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노출온도의 증가 에 따라 콘크리트 기공의 크기는 커지기 때문에 그 실험결과를 이온과 콘크리트 기공의 크기 변화로도 규명할 수 없다.
Joshi et al. (1999)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Cathode chamber와 Anode chamber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학적 작용은 아래와 같다.
Cathode chamber: (3)
(3)
Na++eNa2Na+3H2O 2Na++ 2OH+ H23CaO·AlO·Ca(OH)·12HO+2Cl3CaO·Al2O3·CaCl212H2O+ 2OH
Anode chamber: (4)
(4)
4OH2H2O+4e+O2
상기 화학식으로부터, RCPT 실험에서 콘크리트 시험체를 통과하는 전류는 염화이온 뿐만 아니라, 수산화이온에 의해 영향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본 실험에서 발생하는 수산화 이온의 양이 염화 이온의 양 에 비해 적게 발생할지라도, 수산화이온 (OH-) 의 전기전도성은 20×10-3S.m2/mol로 염화이온 (Cl-) 의 전기전도성 7.63×10-3S.m2/mol에비해 약 3배 더 크다는 사실로 인해, 수산화 이온의 효과가 전류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를 명백하게 이해하기 위해 수산화이온과 염화이온의 전기적 특성 및 실험에서 사용된 용액과 온도증가에 따른 콘크리트의 상변화에 의한 화학적 변화, 그리고 그 화학성분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에 의한 마이크로 구조의 고찰

Lin et al. (1996) 의 연구에서는 실제 화재와 실험실 화재 조건 하에 콘크리트의 마이크로 구조에 대한 변화를 조사하기위 해 SEM 과 Stereo Microscopy 실험을 수행하였다. 온도의 급 격한 상승에 의한 콘크리트 내·외부의 온도구배에 의한 균열, 수산화칼슘의 분해, 석회암의 생석회화 (calcinations), 석영의 상변화 등을 고찰하였다. Wang et al. (2004)의 연구에서는 SEM 고찰로부터 하중재하 하에 고온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균열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마이크로 구조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사용된 샘플의 크기는 직경 15-20 mm 이다. 가열속도는 2°C/min, 최 대 노출온도는 500°C, 700°C, 그리고 900°C이며, 냉각방법은 자연냉각이다. Fig. 11-14 는 각 온도조건에 노출된 마이크로 구조를 보여준다.
Fig. 11
Unheated Specimen(3000X)
KOSHAM_16_05_119_fig_11.gif
Fig. 12
Temperature Exposure 500°C (2500X)
KOSHAM_16_05_119_fig_12.gif
Fig. 13
Temperature Exposure 700°C (5000X)
KOSHAM_16_05_119_fig_13.gif
Fig. 14
Temperature Exposure 900°C (2400X)
KOSHAM_16_05_119_fig_14.gif
Fig. 11 은 비가열 시험체의 C-S-H, CH, 그리고, 수화물 사이에 위치한 가는 봉 형태의 Ettringite 을 보여준다. Fig. 12 는 500°C노출 후 전반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Ettringite 와 시멘트 내부의 CH 사이에서 발생된 균열을 보여준다. 이러한, CH사이의 균열은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과 내구적 특성의 저하와 긴밀한 관계성을 갖는다. Fig. 13는 700°C노출된 후의 C-S-H, CH, Ettringite 의조직을 보여준다. 콘크리트 내부의 시멘트에서 발생된 심각한 수축균열과 C-S-H 의 하니컴(honeycomb) 형상이 Fig. 14 에서 관찰되었다.

6. 결론

1. WPT 실험에서 투수계수는 노출온도와 냉각속도의 증가 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400°C이상에 노출 된 시험체에서 수냉각에 종속된 시험체는 다른 냉각조건에 종속된 시험체에 비해 투수계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WPT 실험결과로부터 400°C이상의 온도에 노출된 시험체의 경우, 내구성 저하는 최대 노출온도에서의 노출시간보다 가열속도에 크게 영향 받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 RCPT 실험결과에서 200°C와 400°C에 노출된 시험체의 냉각속도에 따른 영향은 WPT 실험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600°C에 노출된 시험체의 경우 냉각속도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시험체에 대한 마이크로 구조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SEM 의 분석 결과, 최대 노출온도 500°C노출 된 시험체의 경우 CH 사이에서 심각한 균열을 관찰되었다. 또한, 900°C노출 된시험체에서 심각한 수축균열과 C-S-H의 하니컴(honeycomb) 형상이 관찰되었다.

References

1. Chan, S.Y.N, Peng, G.F, and Anson, M (1999) Fire behavior of high-performance concrete made silica fume at various moisture contents. ACI Material Journal, Vol. 96, No. 3, pp. 405-409.
crossref
2. Cheng, F.P, Kodur, V.K.R, and Wang, T.C (2004) Stress-strain curves for high strength concrete at elevated temperature.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rg., ASCE, Vol. 16, No. 1, pp. 84-90. 10.1061/(ASCE)0899-1561(2004)16:1(84).
crossref
3. Guo, J.S, and Waldron, P (2000) “Development of the stiffness damage test (SDT) for characterization of thermally loaded concrete”. Materials and Structures, Vol. 33, pp. 483. pp. 491. 10.1007/BF02480525.
crossref
4. Hertz, K.D (2003) Limits of spalling of fire-exposed concrete. Fire Safety Journal, Vol. 38, No. 2, pp. 103-116. 10.1016/S0379-7112(02)00051-6.
crossref
5. Joshi, R.C, Chatterji, S, Achari, G, and Mackie, P (1999) “Technical note: re-examination of ASTM C1202”.
crossref
6. Kodur, V.K.R, and Sultan, M.A (2003) Effect of temperature on therm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concrete.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rg, ASCE, Vol. 15, No. 2, pp. 101-107. 10.1061/(ASCE)0899-1561(2003)15:2(101).
crossref
7. Ludirdja, D, Berger, R.L, and Young, F (1989) Simple method for measuring water permeability of concrete. ACI material Journal, pp. 433-439.
crossref
8. Lee, J.-S, and Kim, J.-K (2007) Mechanical Properties of Granite Concrete After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de of Korea, Vol. 23, No. 10, pp. 99-106.
crossref
9. Lin, W.M, Lina, T.D, and Powers-Couche, L.J (1996) Microstructures of Fire-damaged concrete. ACI Materials Journal, Vol. 93, No. 3, pp. 199-205.
crossref
10. Poon, C.S, Azhar, S, Anson, M, and Wong, Y.L (2001) “Comparison of the strength and durability performance of normal-and high-strength pozzolanic concretes at elevated temperatur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1, pp. 1219-1300. 10.1016/S0008-8846(01)00582-8.
crossref
11. Peng, G.-F, Yang, W.-W, Jie, Z, Liu, Y.-F, Bian, S.-H, and Zhao, L.-H (2006) “Explosive spalling and residual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toughened high-performance concrete subjected to high temperatur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6, pp. 723-727. 10.1016/j.cemconres.2005.12.014.
crossref
12. Wang, X.S, Wu, B.S, and Wang, Q.Y (2004) “Online SEM investigation of microcrack characteristics of concretes at various temperatur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5, pp. 13851390.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