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6(5); 2016 > Article
아파트 옥내소화전 사용요령표지판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bstract

The Jong-Am apartment is the first apartment in Korea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And currently an apartment is much fast increasing than a detached house, so an apartment which is normal trend these days. However the increasing apartment has been making the increasing fire event which also have been making social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indoor fire hydrant using method sign among fire facilities, because it is important for fire suppression. And research subject is an indoor fire hydrant using method sign of apartment (more than 10 stories) of 42 apartment complex. And survey and analysis were conducted for 82 indoor fire hydrant using method signs that are each two in one apart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percentage of unattached indoor fire hydrant using method sign is 12%, the percentage of the size which is 21×16 [W×H (cm)] is 21%, the percentage of an sign material made with paper is 71%, also it doesn’t have stored light function, the percentage of the bad condition sign which needs to be replaced with the new one immediately is 28%, and the percentage of the sign which doesn’t have foreign language is 73%. So improvement of law and system that are the fire facility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mplementation will be needed in my opinion.

요지

우리나라는 해방이 후 1959년 종암아파트 건립을 시작으로 지금은 아파트가 단독주택의 보급률을 앞질러 주거의 주류가 되었다. 하지만 아파트 보급률 증가와 더불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아파트화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방시설 중 화재진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용요령표지판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조사는 아파트 (10층 이상) 단지(41개)에 설치된 표지판으로 하였고 또한 각 단지별로 2개씩 총 82개의 표지판을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사용요령표지판의 미부착이 12%이고 표지판 (가로×세로) 크기는 21×16 cm가 21%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재질은 내구성과 내 변색성에 취약한 종이재질이 71%이고, 축광기능의 재질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표지판 상태의 경우 28%가 즉시 교체가 필요하고, 외국어 병기 표기는 73% 가 미흡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소방시설 설치시공 및 유지관리점검의 이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 서론

정부에서는 전쟁이 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성장위주의 경제 정책과 수출 주도형 성장 전략을 실행하게 되었다. 그 결과 산업화 및 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어 인구가 농촌에서 도시로 빠르게 이동하였다. 이러한 도시의 인구밀집 현상으로 인해 주택문제를 발생시켰고 이를 해결하고자 지어 진 것이 아파트이다 (Son, 2004). 아파트는 건축법상 5층 이상 의 공동주택으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해방이 후 1962 년 지어진 서울 마포구 도화동의 마포아파트가 주택공사에 의해 건설한 최초의 단지형 아파트이고 본 아파트의 건립을 시작으로 지금은 아파트가 단독주택의 보급률을 앞질러 주거 의 주류가 되었다. 그리고 근래 들어 주거공간의 편의를 위해 주상복합 아파트가 많이 시공되고 있다. 하지만 아파트 보급 률 증가와 더불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아파트화재이다(Hong, 2014). 이러한 대표적인 최근 화재사고로는 2015 년 1월 10일 경기도 의정부시에 있는 도시형 생활주택인 대봉그린아파트이고 본 화재발생으로 인접한 도시형 생활주택 인 드림타운아파트, 해뜨는 마을 아파트와 단독주택 등에 불이 옮겨 붙어 5명이 사망하고 125 명이 부상한 사고이다. 그리고 최근 들어 아파트건물이 대형화와 고층화로 인해 화재시 대형 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Hong, 2004; Jung, 2011; Kim, 2011; Kim, 2013; Kim, et al., 2015). 이러한 화재 상황에서 초기 화재진압에 사용되는 것이 옥내 소화전설비이다 (Baek, 2000; Mun and Rie, 2011). 하지만 옥내소화전설비는 일반적으로 초기소화에 사용되는 소화기와 달리 약간에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고 일반인 쉽게 접할 수 없는 설비로 인해 법에서는 반드시 사용요령을 기재한 표지 판(외국어 병기)을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파트 화재발생 시 초기 소화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용요령표지판을 중심으로 설치 및 유지관리 실태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2. 연구방법

2.1 연구의 이론

옥내소화전설비는 소방법상 초기 소화의 목적으로 실내에 설치된 소화설비를 말한다. 그리고 옥내소화전설비의 구성은 수원, 가압송수장치, 호스, 앵글밸브, 배관, 전원, 관창, 소화전 함, 소화전 위치표시등, “소화전”표시, 소화전 사용요령표지 판(외국어 병기) 등으로 되어 있다. 옥내소화전설비의 설치 규정은 첫째,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옥내소화전 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25 m 이하가 되도록 한다. 둘째, 바닥으로 부 터의 높이가 1.5 m 이하로 한다. 셋째, 호스는 구경 40 mm(호스릴 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에는 25 mm) 이상의 것으로서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에 물이 유효하게 뿌려질 수 있는 길이로 한다. 넷째, 호스릴 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 그 노즐에는 노즐을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치를 부착한다. 다섯째, 위치표시등은 옥내소화전함의 상부 또는 그 직근에 설치하되 적색등으로 한다. 여섯째, 옥내소화전설비의 함에는 그 표면에 “소화전”이라는 표시와 그 사용요령을 기재한 표지판 (외국어 병기)을 붙인다 (National Fire Safety Code 102, 2015). Fig. 1 은 옥내소화전함의 제작규격 및 외관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Fig. 1
Indoor fire hydrant
KOSHAM_16_05_149_fig_1.gif

2.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6 년 3월 1일부터 2016 년 4월 30일까지 아파트(10 층 이상) 단지(41개)에 설치된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용 요령 표지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각 단지별로 2개씩 총 82개의 사용요령표지판을 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조사 기준은 “화재안전기준 (NFSC 102) 의 옥내소화전설비” 기준에 따라 진행을 하였다. 조사항목은 옥내소화전설비 사용요령표지 판의 부착유무, 표지판 (가로×세로)의 크기 (cm), 재질의 상태, 설치높이 (cm), 표지판의 상태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 우 나쁨), 영문표기의 상태, 그림표기의 상태, 축광(야광)유무, 글자크기 (cm), 글자의 색체 등을 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Fig. 2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옥내소화전 사용 요령 표지판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재질은 좋이, 코팅필름으로 코팅된 좋이, 스테인레스, 축광(야광)아크릴로 되어 있다.
Fig. 2
Selling types of indoor fire hydrant using method sign in market
KOSHAM_16_05_149_fig_2.gif

3. 결과

3.1 옥내소화전 사용요령표지판의 조사 및 분석결과

Fig. 3은 아파트 단지에 설치된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용요령 표지판을 일부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Table 1 은 옥내소화전 설비의 사용요령 표지판을 조사 및 측정 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 3
Attached indoor fire hydrant using method signs
KOSHAM_16_05_149_fig_3.gif
Table 1
The result of survey and analysis of the indoor fire hydrant using method sign
No. Sign Sign size(cm) (WxH) Material Attac. height (cm) Sign condition Foreign language Picture Stored light of sign Word size(cm) (WxH) Word color
1 No sign - - - - - - - - -
2 No sign - - - - - - - - -
3 Attached 21x16 Paper 115 Good English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Red, Black
4 Attached 21x16 Paper 109 Good English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Red, Black
5 Attached 23x18 Metal 119 Good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6 Attached 23x18 Metal 118 Normal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7 Attached 23x18 Metal 98 Normal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8 Attached 23x18 Metal 97 Normal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9 Attached 23x18 Metal 97 Normal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10 Attached 23x18 Metal 108 Good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11 Attached 23x18 Metal 109 Good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12 Attached 23x18 Metal 97 Normal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13 Attached 21x16 Paper 121 Normal English No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Blue, Black
14 Attached 21x16 Paper 120 Normal English No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Blue, Black
15 Attached 21x16 Paper 101 Very good English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16 Attached 21x16 Paper 103 Very good English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17 No sign - - - - - - - - -
18 No sign - - - - - - - - -
19 Attached 17x12 Paper 113 Bad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Black
20 Attached 17x12 Paper 111 Bad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Black
21 Attached 21x16 Paper 116 Very good Engl., Japan., Chin.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Red, Black, Blue
22 Attached 21x16 Paper 116 Very good Engl., Japan., Chin.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Red, Black, Blue
23 Attached 21x16 Metal 121 Normal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24 Attached 21x16 Metal 122 Normal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25 Attached 21x16 Paper 113 Goo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26 Attached 21x16 Paper 114 Goo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27 Attached 21x16 Paper 112 Goo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28 Attached 21x16 Paper 112 Goo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29 No sign - - - - - - - - -
30 No sign - - - - - - - - -
31 Attached 21x16 Paper 115 Normal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32 Attached 21x16 Paper 114 Normal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33 Attached 21x16 Paper 103 Ba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34 Attached 21x16 Paper 103 Ba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35 Attached 25x20 Paper 110 Bad English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Blue, Black
36 Attached 25x20 Paper 111 Bad English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Blue, Black
37 Attached 21x16 Paper 98 Normal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38 Attached 21x16 Paper 99 Normal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39 No sign - - - - - - - - -
40 No sign - - - - - - - - -
41 Attached 21x16 Paper 115 Normal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42 Attached 21x16 Paper 115 Normal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No. Sign Sign size(cm) (WxH) Material Attac. height (cm) Sign condition Foreign language Picture Stored light of sign Word size(cm) (WxH) Word color
43 Attached 21x16 Paper 116 Very good Engl., Japan., Chin.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Red, Black, Blue
44 Attached 21x16 Paper 116 Very good Engl., Japan., Chin.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Red, Black, Blue
45 Attached 25x20 Paper 108 Very bad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46 Attached 25x20 Paper 111 Very bad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47 Attached 21x16 Paper 101 Good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48 Attached 21x16 Paper 102 Good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49 No sign - - - - - - - - -
50 No sign - - - - - - - - -
51 Attached 20x13 Co. paper 113 Ba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Black
52 Attached 20x13 Co. paper 113 Ba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Black
53 Attached 21x16 Paper 115 Normal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54 Attached 21x16 Paper 116 Normal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55 Attached 21x16 Paper 113 Ba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56 Attached 21x16 Paper 112 Ba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57 Attached 21x16 Paper 105 Normal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58 Attached 21x16 Paper 105 Normal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59 Attached 21x16 Paper 121 Good Engl., Japan., Chin.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Red, Black, Blue
60 Attached 21x16 Paper 120 Good Engl., Japan., Chin.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Red, Black, Blue
61 Attached 21x16 Paper 107 Good Engl., Japan., Chin.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Red, Black, Blue
62 Attached 21x16 Paper 107 Good Engl., Japan., Chin.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Red, Black, Blue
63 Attached 21x16 Paper 105 Good Engl., Japan., Chin.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Red, Black, Blue
64 Attached 21x16 Paper 104 Good Engl., Japan., Chin. Picture No stored light 0.5x0.5 Red, Black, Blue
65 Attached 27x17 Paper 103 Very bad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Black
66 Attached 27x17 Paper 103 Very bad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Black
67 Attached 21x16 Paper 105 Good English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68 Attached 21x16 Paper 105 Good English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69 Attached 21x16 Paper 105 Ba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70 Attached 21x16 Paper 104 Ba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71 Attached 16x15 Paper 115 Very ba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72 Attached 16x15 Paper 115 Normal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73 Attached 19x19 Co. paper 92 Normal English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74 Attached 19x19 Co. paper 92 Normal English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75 Attached 16x15 Paper 107 Normal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76 Attached 16x15 Paper 107 Normal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77 Attached 21x16 Paper 120 Very bad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78 Attached 21x16 Paper 119 Bad No fo. language No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79 Attached 21x16 Paper 124 Ba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80 Attached 21x16 Paper 123 Normal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ue
81 Attached 21x16 Paper 108 Ba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82 Attached 21x16 Paper 109 Bad No fo. language Picture No stored light 1x1 Red, Black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용요령 표지판 부착상태에 대한 조사 결과의 경우 부착이 88%, 미부착이 12% 로 나타났다. Fig. 4 는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용요령표지판 (가로×세로)의 크기 (cm) 에 대한 조사결과를 나타내었다. 조사결과 21×16 크기가 60% 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23×18 크기가 10%, 16×15 와 25×20 크기가 5%, 17×12, 19×19, 20×13, 27×17 크기가 2% 로 나타났다. 그리고 표지판 미 부착이 12% 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표지판크기는 21×16 크기로 나타났다.
Fig. 4
The size of indoor fire hydrant using method sign
KOSHAM_16_05_149_fig_4.gif
Fig. 5는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용 요령 표지판의 재질을 나타낸 것이다. 조사결과 가장 많은 재질은 종이가 71%이고 그 다음 금속(스테인레스 등) 재질이 12%, 코팅필름으로 코팅된 종이 재질이 5%로 나타났다. 그리고 표지판 미부착이 12%로 조사되었다. 종이 재질의 경우 색체와 다양한 무늬를 삽입할 수 있어 옥내소화전 사용에 대해 이해도를 높이는데 효과적 이다. 하지만 주기적으로 관리 (교체 등)을 하지 않을 경우 색 체가 탈색되고 또한 쉽게 손상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리 고 재질에 축광 기능이 없을 경우 야간 또는 채광이 없는 곳 에서 정전화재 등이 발생 시 옥내소화전 사용요령표지판의 내용이 보이지 않으므로 유명무실 해진다. 따라서 내구성 미흡으로 인한 유지기간 단축과 조도저하 상황에서 옥내소화전 사용요령표지판의 인지미흡을 최소화하기 위해 축광성 및 내 구성재질 그리고 내변색성 잉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Fig. 5
The material of indoor fire hydrant using method sign
KOSHAM_16_05_149_fig_5.gif
Fig. 6은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용 요령 표지판의 설치높이를 나타낸 것이다. 조사결과 1.1 m 가 35% 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 1m가 32%, 1.2 m 가 11%, 0.9 m 가 10% 로 나타났다. 그리고 표지판 미 부착이 12%로 조사되었다.
Fig. 6
The height of indoor fire hydrant using method sign
KOSHAM_16_05_149_fig_6.gif
Fig. 7은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용요령표지판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조사기준의 경우 “매우 우수 (Very good)” 는 상태 양호, “우수(Very good)”는 색체가 약간탈색, “보통(Normal)”은 약간에 스크래치 및 소화전과 접착이 불량, “미흡(Bad)”은 일부 문자가 지워지고 표지가 회손, “매우 미흡(Very bad)”은 심하게 회손 및 색체의 탈색으로 문구이해가 어려운 것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보통(Normal)”이 30%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우수(Very good)”가 23%, “미흡(Bad)”이 21%, “매우 우수(Very good)”와 “매우 미흡(Very bad)”이 각각 7%로 나타났다. 그리고 표지의 미 부착은 12%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28%의 옥내소화전 사용요령표지판이 즉시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7
The condition of indoor fire hydrant using method sign
KOSHAM_16_05_149_fig_7.gif
Fig. 8 은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용요령표지판에 표기된 외국어를 나타낸 것이다. 소방법기준에 따라 반드시 표지판에는 외국어를 병기하도록 되어 있다. 조사결과 외국어 병기표시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 61%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영어가 표기 된 표지판이 15%, 영어·일본어 ·중국어의 표기가 12%로 나타났다. 그리고 표지판 미부착이 12% 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73%의 옥내소화전 사용요령표지판에 외국어 병기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8
The language type of indoor fire hydrant using method sign
KOSHAM_16_05_149_fig_8.gif
표지판 문구에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의 경우 그림이 있는 것이 54%, 없는 것이 34%로 나타났고 미 부착은 12%로 조사되었다. 그림은 비상 시 신속하게 이해를 돕는데 중요하므로 포함되는 것을 권장한다. 그리고 축광 (야광)기능이 있는 옥내소화전 사용요령표지판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글자 (가로×세로) 크기(cm) 의 경우 1×1 이 63% 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0.5×0.5 가 25% 로 나타났다. 그리고 표지판이 없는 곳은 12%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피난유도등 형식기준과 같이 옥내 소화전 사용요령표지판의 크기도 대형, 중형, 소형으로의 구분이 필요하고 또한 Fig. 9 의 축광형 유도표지와 같이 국가검정(KFI) 대상품목으로의 지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Fig. 9
KFI approved label on sign
KOSHAM_16_05_149_fig_9.gif
Fig. 10
The word color of indoor fire hydrant using method sign
KOSHAM_16_05_149_fig_10.gif
Fig. 10은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용요령표지판에 글자 색체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조사결과 파랑색·검정색 글자의 표지판 그리고 적색·파랑색 글자의 표지판이 각각 32%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 적색·검정색·파랑색 글자의 표지판이 12%, 검정색 글자의 표지판이 7%, 파랑색·검정색 글자의 표지판이 5%로 나타났다. 그리고 표지판의 미 부착이 12%로 조사되었다. 특히 강조를 하기 위한 적색글자의 색체의 경우 가장먼저 탈색되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결론

본 연구는 아파트 (10층 이상) 단지(41개)에 설치된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용요령표지판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각 단지 별로 2개씩 총 82개의 표지판을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전체 옥내소화전설비 중 사용요령표지판의 미 부착이 12%이고, 표지판 (가로×세로) 크기의 경우 21%가 21×16 cm 사이즈로 나타났다. 표지판 재질의 경우 종이가 71% 이고 그 리고 축광 (야광)기능의 재질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좋이 재질은 내구성이 미흡하여 쉽게 손상이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용요령표지판 설치높이는 1.1m 가 35%로 가장 많았고, 표지판 상태의 경우 28%가 미흡하여 즉시 교체가 필 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지판에 외국어 병기표기의 경우 미 부착된 사용요령 표지판을 포함하여 73%가 소방법을 미충족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그림의 표기는 34%이고, 글자(가로×세로) 크기는 1×1cm 가 63%로 나타났다. 글자색체의 경우 파랑색·검정색과 적색·파랑색 표지판이 32%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구를 강조하기 위한 적색 글씨의 경우 대부분 탈색되어 글자확인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2. 따라서 옥내소화전 사용요령표지판을 유도표지와 같이 “축광표지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용이 되 어 내구성, 축광성 및 내변색성의 성능을 검증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옥내소화전 사용요령표지판 크기의 경우 피난 유도등과 같이 대형, 중형, 소형으로의 규격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옥내소화전 사용요령표지판의 외국어 병기표기와 부착을 높일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References

1. Baek, C.S (2000) Component of Indoor Fire Hydrant Equipment.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1, No. 3, pp. 28-51.
crossref
2. Hong, G.E (2004). (A) Study on the Fire Safety Planning and Application for a High-Rise Apartment.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crossref
3. Hong, U.S (2014). Study of Securing Space for Effective Evacuation in Case of Occurrence of Fire in Apartment House.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crossref
4. Jung, J.Y (2011) (A) Cause analysis of the fire accident of a high-rise multi-purpose apartment building in Busan. Master's degree, Pusan National University.
crossref
5. Kim, H.S, Min, B.R, and Choi, S.M (2015) Fire cause analysis on high-rise apartment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5, No. 432, pp. 23-28. 10.5659/JAIK_SC.2015.31.12.23.
crossref
6. Kim, J.W (2013) A Study on Risk Management Measurers about High-rise APT. The Korean Sociali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9, No. 2, pp. 178-187.
crossref
7. Kim, Y.K (2011) The Research and Study on the Problems of Fire Suppression on High-rise Apartment and the Rescue. Master's degree, International University of Korea.
crossref
8. Mun, S.J, and Rie, D.H (2011) Survey Analysis of the Management of Fire Fighting Equipment.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5, No. 6, pp. 98-103.
crossref
9. National Fire Safety Code 102 of the indoor fire hydrant equipment, 2015.
crossref
10. Son, J.M (2004) Seventy Years'History of Korea Apartment. Public Officials Benefit Association, Vol. 39, No. 428, pp. 109-126.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