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7(4); 2017 > Article
기상청 공중음파 관측소 표준 배경잡음 모델 개발 예비 연구

Abstract

The infrasou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air, so the characteristics are changed by temperatures, humidity, and wind of the air. It is difficult to obtain high quality infrasound signals due to the background noise. The main sources of the background noise are human activities and wind. The development of a background noise model that quantifies the frequency band is important in the design of filters to improve the signal-to-noise ratio.
In order to secure the quality of the infrasound signals. In this paper, we obtain the power spectral densities for the year of the 2015 infrasound recordings of Yanggu and Cheolwon station, and develop the model that obtained by maximum density per frequency in the upper 95% and lower 5% regions. Power spectral density analysis showed that the Yanggu station had relatively higher noise levels than the Cheolwon station and exceeded the international standard background noise model in certain frequency bands. The analysis of the meteorological data for the year of 2015 shows that the wind interfered the signal due to the high altitude of the station.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ckground noise model to obtain high quality infrasound data.

요지

공중음파는 대기를 통해 전달되어 온도, 습도, 바람 등에 의해 도달신호의 특성이 변하게 된다. 특히, 관측소에 상시 작용하고 있는 배경잡음으로 인해 양질의 공중음파 신호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배경잡음의 원인은 인간 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노이즈 및 바람에 의한 영향을 큰 원인으로 들 수 있다. 실제 확인하고자 하는 공중음파 신호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배경잡음의 주요 주파수 대역 등을 확인하고 정량화하는 배경잡음모델 개발은 원하는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높이기 위한 필터 등의 설계에 있어서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상청 양구와 철원의 2015년도 공중음파 기록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를 구해 상위 95%와 하위 5%의 영역내의 주파수 별 최대 밀도를 구한 배경잡음 모델을 구하였다. 파워 스펙트럼 밀도 분석 결과 철원 관측소에 비해 양구 공중음파 관측소가 상대적으로 높은 잡음수준을 가지고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는 국제 공중음파 표준 잡음 모델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도의 기상데이터 분석을 통해 양구의 높은 관측소 고도로 인한 바람의 영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양질의 공중음파 기록을 확보하기 위한 배경잡음모델 결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 서론

초저음파는 섭씨 20도의 대기로 이루어진 매질에서 약 343 m/s의 속도로 전달된다(Evers and Haak, 2009). 초저음파를 관측할 경우에는 이러한 대기의 특성에 따른 전달 속도와 전달경로에 관련된 모델을 이용하여 음원으로부터 측정하고자 하는 장소까지의 전달 경과 시간을 계산한다. 초저음파의 생성원은 지진에 의한 현상(Arrowsmith et al., 2012), 화학약품 폭발(Evers et al., 2007) 및 지하에서의 핵실험(Whitaker, 2008), 인공지진 생성과 관련된 광산 활동(Hagerty et al., 2002), 화산 폭발(Matoza et al., 2007), 지진해일(Le Pichon et al., 2005)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공중음파 관측 자료는 지진 관측 자료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지구물리 현상과 서로 연관된 분석결과를 보여준다. 대기와 해양, 태풍과 번개, 바다 표면과 해양 바닥에 전달되는 진동에 의한 주파수 생성 등 다양한 지구물리 현상에 의한 에너지의 여기 작용(excitation)에 의해 초저음파가 생성되고, 전달매질을 거쳐 센서에 기록된다. 공중음파는 대기를 통해 전달되는 특성으로 인해 진행방향의 대기매질의 온도, 습도 및 방향 등의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지진학적인 관점에서는 핵실험과 같은 인공지진에 의해서도 공중음파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에 의한 인공지진 발생위치를 찾아내기 위한 방법 등으로 공중음파 자료가 사용되고 있다.
초저음파를 측정하는 가장 중요한 관측기관은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기구(CTBTO, Comprehensive Nuclear Test Ban Treaty Organization)이며, 이 기관에서 국제 모니터링 관측망(IMS, International Monitoring System)을 고정식 관측망의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고정식 초저음파 관측망은 공중음파 센서와 기상센서, 통신망, 지진센서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초저음파 관측망은 전 지구에 걸쳐 최대한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CTBTO Preparatory Commission, 1996; Christie and Campus, 2009).
지구 대기권을 포함한 지구 내부에서의 핵실험에 의한 효과적인 관측기술은 지진파 측정기술을 포함해서 초저음파 관측기술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rachet et al., 2009).
IMS 관측망에 포함된 60여개의 초저음파 관측망의 주요 관측 주파수 대역은 약 0.01~5 Hz (Arrowsmith et al., 2012) 로 알려져 있다. 해당 관측망을 통해 진행된 최근 연구는 운석(Revelle et al., 2004), 오션 스웰(ocean swell) (Garces et al., 2004, 2009; Hetzer et al., 2009), 수중 잡음(surf noise) (Arrowsmith and Hedlin 2005), 지진해일(Le Pichon et al., 2005), 지진(Olson et al., 2003; Mutschlecner and Whitaker, 2009), 태풍으로 인한 번개와 관련된 음파 처프(chirp) 신호(Liszka and Hobara, 2006; Blanc et al., 2009)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공중음파는 북한의 핵실험을 모니터링하여 인공지진의 발생 사실을 확인하기 위한 중요한 지구물리학적 방재관련 수단이다. 잡음의 수준보다 실제 관측하고자 하는 신호의 세기의 적정분석 수준을 파악하고, 관측소의 정량적인 감지능력 등을 파악하는 등의 목적으로 공중음파 배경잡음 모델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상청 철원, 양구의 공중음파 관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배경잡음 모델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2015년도에 1년간 기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배경잡음 모델을 개발한다. 개발한 모델과 국제 표준 배경잡음 모델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분석하고 공중음파 분야에 필요한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

2. 기상청 공중음파 관측망

우리나라에서는 기상청이 국가기관으로 유일하게 국내 및 주변국가에서 발생하는 인공지진 관측 업무를 위해 강원도 양구와 철원에 각각 2012년, 2013년 고정식 초저음파 관측소를 설치하였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도 양구와 철원에 각각 고정식 지진-음파(공중음파, infrasound) 관측소를 운영하고 있다(Che et al., 2010). 기상청 관측망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관측망은 양구의 경우 12 km, 철원의 경우 40 km의 거리에 인접해 있다.
양구와 철원에 위치한 초저음파(공중음파) 관측망은 음파센서, 지진파센서(광대역), 대기센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자료는 모두 실시간으로 기상청의 수집 서버에 전송되고 있다.
Fig. 1은 배경잡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012년 4월 13일에 기록된 기상청 공중음파 양구 관측소에 기록된 시계열자료를 확인한 결과이다. 배경잡음으로 인해 신호 대 잡음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Fig. 1
Time Series of Yanggu Infrasound Station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13 April 2012
KOSHAM_17_04_049_fig_1.gif
Fig. 2는 이 신호를 0.8~3.8 Hz 구간의 주파수 대역 통과 필터를 적용한 결과이다.
Fig. 2
Result of Applying the Band Pass Filter in the Range of 0.8Hz to 3.8Hz to the Fig. 1
KOSHAM_17_04_049_fig_2.gif
만약 이와 같이 배경잡음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경우 이 자료를 중첩(stacking)시켜(Fig. 3) 신호 대 잡음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경잡음의 주요 주파수 대역을 정량적으로 구하기 위해 배경잡음모델 연구가 필요하다.
Fig. 3
Result of Stacking the Signals of Fig. 2
KOSHAM_17_04_049_fig_3.gif
공중음파 관측망에 기록되는 배경잡음은 기상청 공중음파 관측망에 기록된 초저음파의 배경잡음 특성 등은 그 기록된 주파수 특성이나 관측형태가 아직 연구된 바가 없어 수집된 초저음파의 품질 상태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상현상과 관련된 공중음파의 기록계에 수집된 자료의 주파수 특성 연구를 통해 다양한 연구 분야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상청 공중음파 관측망에 기록된 배경잡음은 공중음파 자료 분석을 방해하는 중요 요소이며 공중음파 자료 품질개선을 위해 배경잡음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3. 결과 및 분석

관측소의 배경잡음과 관련된 연구는 Cho et al.(2009)가 기상청 지진관측소를 대상으로 표준 배경잡음 모델을 개발한 바 있으며 이때 사용한 확률밀도함수 방법을 적용하여 공중음파 관측소의 공중음파 관측 기록에도 적용하였다. 국제규격의 공중음파 관측소(IMS)에 대한 배경잡음모델을 구하는 방법도 확률밀도 함수를 구하는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한다(Bowman et al., 2005). 확률밀도 함수를 분석하기 위해 양구 관측소와 철원 관측소의 2015년도 기록된 연속자료를 사용하였다. 기상청 공중음파 관측소는 양구와 철원에 각각 15개씩의 공중음파 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각각의 공중음파 센서 중 가장 연속기록 상태가 좋은 양구의 1번 센서와 철원의 7번 센서에 관측된 공중음파 기록을 1일 4번의 구간으로 나누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1시간 간격으로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1개의 관측소당 180초의 시간 창(time window)을 적용하여 10%씩을 중첩시켜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하루의 시간을 00~01시, 06~07시, 12~13시, 18~19시로 나누어 인간 활동과 관련이 있는 시간대(12시, 18시)와 인간 활동에 의한 잡음이 덜 할 것으로 생각되는 시간대(0시, 06시)로 구분하였고 이를 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로 구분하여 잡음특성을 확인하였다. 봄으로 구분한 기간은 2015년 3월 15일~6월 15일, 가을은 2015년 9월 15일~12월 15일로, 겨울은 2015년 12월 15일~12월 30일과 2015년 1월1일~3월15일까지의 두 구간을 합산하였다.
스펙트럼 분석결과를 이용해 중첩된 확률 밀도 함수를 구하고 최젓값 5%와 최곳값 95%에 해당하는 자료를 경곗값으로 하여 해당 주파수에서의 최대 밀도 진폭 값을 이용한 모델 값을 도출하였다.
확률 밀도 함수를 이용해 양구와 철원의 공중음파 관측소에 대하여 중첩된 파워 스펙트럼 밀도를 분석한 결과는 Figs. 4, 5와 같다. 분석 결과에서 상위 영역의 하얀색 실선과 하위 영역의 하얀색 실선 및 중간 영역의 하얀색 점선은 국제 공중음파 관측소 표준 잡음 모델(Global Noise Model, GNM)을 도시한 것이다. 국제 기준과 비교하여 해당 관측소의 배경잡음 정도가 어떤지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다.
Fig. 4
Power Spectral Density of Yanggu Infrasound Station
KOSHAM_17_04_049_fig_4.gif
Fig. 5
Power Spectral Density of Cheolwon Infrasound Station
KOSHAM_17_04_049_fig_5.gif
양구(Fig. 4)의 경우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는 국제 표준 모델을 초과하는 등 다소 높은 잡음 특성을 보이고 있다. 철원(Fig. 5)의 경우는 공중음파 잡음 모델의 상위 경계를 초과하지 않고 양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배경잡음 수준을 보이고 있다.
양구와 철원의 확률밀도함수로부터 계절별 및 4개의 구간으로 나눈 시간대의 최대(95%), 중간(50%), 최소(5%)대역에 해당하는 밀도의 최댓값을 각각 모델로 추출하여 구한 각 관측소의 배경잡음모델은 Figs. 6(양구), 7(철원)과 같다.
Fig. 6
Infrasound Background Noise Model of the Yanggu Station
KOSHAM_17_04_049_fig_6.gif
Fig. 7
Infrasound Background Noise Model of the Cheolwon Station
KOSHAM_17_04_049_fig_7.gif
HNM (High Noise Model)과 LNM (Low Noise Model)을 구하기 위해 Figs. 67의 확률밀도 함수의 최소와 최댓값을 추출하여 Fig. 8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LNM의 경우 양구와 철원 유사한 음압에 위치하고 있지만, 국제 기준보다 다소 낮게 나타난다. HNM은 양구 관측소가 1 Hz 이상에서 철원 관측소와 국제 기준보다 음압이 높게 나타난다. 또한 점선으로 표시한 MNM (Median Noise Model)도 양구관측소가 높게 나타난다.
Fig. 8
HNM and LNM of the Yanggu and Cheolwon Station
KOSHAM_17_04_049_fig_8.gif
확률밀도함수 분석 결과에서 양구와 철원의 배경잡음 수준이 다른 이유는 공중음파 관측소의 위치에서 기인한 것이 가장 크다고 판단된다. 이는 양구 관측소는 산의 정상에 위치하고 있어 바람 등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나, 철원 관측소는 산의 골짜기에 있어 바람 등에 의한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도록 되어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기록시간 동안 같이 기록된 기상데이터를 확인하였다.
Fig. 9는 철원과 양구 관측소의 풍속 확률 분포를 계절 별로 나타낸 것이다. x축은 풍속 구간을, y축은 이에 따른 확률 분포를 나타내며, 각 데이터의 좌측은 철원, 우측은 양구이다.
Fig. 9
The Wind Velocity of the Cheolwon (CW) and Yanggu (YG) Station
KOSHAM_17_04_049_fig_9.gif
Figs. 10, 11은 양구와 철원 관측소의 풍속, 풍향과 빈도를 계절 별로 나타낸 것이다.
Fig. 10
The Direction and Velocity of the Wind in the Yanggu Station
KOSHAM_17_04_049_fig_10.gif
Fig. 11
The Direction and Velocity of the Wind in the Cheolwon Station
KOSHAM_17_04_049_fig_11.gif
Figs. 9, 10, 11에서 나타나듯이 양구는 철원에 비해 초속 3m/s 이상의 바람이 보다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철원과 달리 양구는 다양한 곳에서 계절별로 바람이 불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양구는 봄과 겨울에 북동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우세하며 여름과 가을은 북동과 남서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동시에 우세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4. 결론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공중음파 관측망의 초저음파 기록양상의 주파수 특성에 관련된 분석을 통해 배경잡음 특성 및 기록특성을 확인하고 향후 기상청 공중음파의 주파수 영역 및 배경잡음의 저감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확인하기 위한 노력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중첩된 확률 밀도 함수를 구하고 이로부터 각 관측소의 배경잡음모델을 구하였다. 배경잡음모델을 구하기 위해 데이터 확보의 한계로 인해 1년 간의 데이터만을 사용하였으나, 향후 보다 긴 시간의 시계열 자료를 적용하고자 한다. 배경잡음의 원인이 되는 주요 원인으로 계절에 따른 바람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향후 추가 연구에서 바람의 주요 방향에 따른 배경잡음 기록의 주파수 대역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원인에 따른 배경잡음의 주파수 대역을 구하고자 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기상청 기상 See-At 기술 개발사업(KMIPA 2017-4040)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Arrowsmith, S.J, Burlacu, R, Pankow, K, Stump, B, Stead, R, Hayward, C, and Whitaker, R (2012). A seismoacoustic study of the 2011 January 3 Circleville earthquake.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Oxford University Press, Vol. 189: No. No. 2, p 1148-1158. 10.1111/j.1365-246X.2012.05420.x. doi:10.1111/j.1365-246X.2012.05420.x.
crossref
Arrowsmith, S.J, and Hedlin, M.A.H (2005) Observations of infrasound from surf in southern Californi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2, No. No. 9, pp. L09810 doi:10.1029/2005GL022761. 10.1029/2005GL022761.
crossref
Blanc, E, Le Pichon, A, Ceranna, L, Farges, T, Marty, J, and Herry, P (2009). Global scale monitoring of acoustic and gravity waves for the study of the atmospheric dynamics. Infrasound Monitoring for Atmospheric Studies. Springer, Dordrecht, Netherlands: p 647-664. 10.1007/978-1-4020-9508-5. doi:10.1007/978-1-4020-9508-5.
crossref
Bowman, J.R, Baker, G.E, and Bahavar, M (2005) Ambient infrasound nois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2, No. No. 9, pp. L09803 doi:10.1029/2005GL022486. 10.1029/2005GL022486.
crossref
Brachet, N, Brown, D, Le Bras, R, Cansi, Y, Mialle, P, and Coyne, J (2009). Monitoring the Earth's atmosphere with the global IMS infrasound network. Infrasound Monitoring for Atmospheric Studies. Springer, Dordrecht, Netherlands: p 77-118. 10.1007/978-1-4020-9508-5. doi:10.1007/978-1-4020-9508-5.
crossref
Che, Il, Young, Lee, Hee-Il, Jeon, Jeong-Soo, , Shin, In, and Cheol, (2010) State-of-the-art Studies on Infrasound Monitoring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Vol. 13, No. No. 3, pp. 286-294.
crossref
Cho, Beom-Jun, Sheen, Dong-Hoon, Jo, Bong-Gon, Park, Sun-cheon, and Hwang, Eui-Hong (2009) Development of a standard background noise model for broadband seismic stations of KMA. Journal of the Geol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45, No. No. 2, pp. 127-141.
crossref
Christie, D.R, and Campus, P (2009) The IMS infrasound network:Design and establishment of infrasound stations. Infrasound Monitoring for Atmospheric Studies, Springer; Dordrecht, Netherlands: pp. 29-75. 10.1007/978-1-4020-9508-5. doi:10.1007/978-1-4020-9508-5.
crossref
CTBTO Preparatory Commission (1996). Comprehensive Nuclear Test-Ban Treaty (CTBT). Vienna.
crossref
Evers, L.G, Ceranna, L, Haak, H.W, Le Pichon, A, and Whitaker, R.W (2007) A seismoacoustic analysis of the gas-pipeline explosion near Ghislenghien in Belgium.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97, No. No. 2, pp. 417-425. 10.1785/0120060061. doi:10.1785/0120060061.
crossref
Evers, L.G, and Haak, H.W (2009) The characteristics of infrasound, its propagation and some early history. Infrasound Monitoring for Atmospheric Studies, Springer; Dordrecht, Netherlands: pp. 3-27. 10.1007/978-1-4020-9508-5. doi:10.1007/978-1-4020-9508-5.
crossref
Garcés, M, Willis, M, Hetzer, C, Le Pichon, A, and Drob, D (2004) On using ocean swells for continuous infrasonic measurements of winds and temperature in the lower, middle, and upper atmospher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1, No. No. 19, pp. L19304 doi:10.1029/2004GL020696. 10.1029/2004GL020696.
crossref
Garcés, M, Willis, M, and Le Pichon, A (2009) Infrasonic observations of open ocean swells in the pacific:Deciphering the song of the sea. Infrasound Monitoring for Atmospheric Studies, Springer; Dordrecht, Netherlands: pp. 235-248 doi:10.1007/978-1-4020-9508-5_7. 10.1007/978-1-4020-9508-5_7.
crossref
Hagerty, M.T, Kim, W.-Y, and Martysevich, P (2002). Infrasound Detection of Large Mining Blasts in Kazakstan. Monitoring the Comprehensive Nuclear- Test-Ban Treaty: Data Processing and Infrasound. Birkhäuser Basel, Basel: p 1063-1079. 10.1007/978-3-0348-8144-9_9. doi:10.1007/978-3-0348-8144-9_9.
crossref
Hetzer, C.H, Gilbert, K.E, Waxler, R, and Talmadge, C. L (2009) Generation of microbaroms by deep- ocean hurricanes. Infrasound Monitoring for Atmospheric Studies, Springer; Dordrecht, Netherlands: pp. 249-262 doi:10.1007/978-1-4020-9508-5. 10.1007/978-1-4020-9508-5.
crossref
Le Pichon, A, Herry, P, Mialle, P, Vergoz, J, Brachet, N, Garcés, M, Drob, D, and Ceranna, L (2005) Infrasound associated with 2004-2005 large Sumatra earthquakes and tsunami.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2, No. No. 19, pp. L19802 doi:10.1029/2005GL023893. 10.1029/2005GL023893.
crossref
Liszka, L, and Hobara, Y (2006) Sprite-attributed infrasonic chirps-their detection, occurrence and properties between 1994 and 2004. Journal of Atmospheric and Solar-Terrestrial Physics, Vol. 68, No. No. 11, pp. 1179-1188. 10.1016/j.jastp.2006.02.016. doi:10.1016/j.jastp.2006.02.016.
crossref
Matoza, R.S, Hedlin, M.A.H, and Garcés, M.A (2007) An infrasound array study of Mount St. Helen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Vol. 160, No. No. 3-4, pp. 249-262. 10.1016/j.jvolgeores.2006.10.006. doi:10.1016/j.jvolgeores.2006.10.006.
crossref
Mutschlecner, J.P, and Whitaker, R.W (2009) Some atmospheric effects on infrasound signal amplitudes. Infrasound Monitoring for Atmospheric Studies, Springer; Dordrecht, Netherlands: pp. 455-474. 10.1007/978-1-4020-9508-5. doi:10.1007/978-1-4020-9508-5.
crossref
Olson, J.V, Wilson, C.R, and Hansen, R.A (2003) Infrasound associated with the 2002 Denali fault earthquake, Alask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0, No. No. 23, pp. 2195 doi:10.1029/2003GL018568. 10.1029/2003GL018568.
crossref
Revelle, D.O, Brown, P.G, and Spurný, P (2004) Entry dynamics and acoustics/infrasonic/seismic analysis for the Neuschwanstein meteorite fall. Meteoritics & Planetary Science, Vol. 39, No. No. 10, pp. 1605-1626. 10.1111/j.1945-5100.2004.tb00061.x. doi:10.1111/j.1945-5100.2004.tb00061.x.
crossref
Whitaker, R.W (2008). Infrasound Signals from Ground- Motion Sources. Proceedings of the 30th 2008 Monitoring Research Review: Ground-Based Nuclear Explosion Monitoring Technologies. pp. 912-920.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