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품질관리 확인사항 선정을 위한 관련 자료 분석 및 검증시험에 관한 연구: 방화댐퍼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ed Materials Analysis and Validation Tests for the Selection of Check Points at the Quali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s: Focused on Fire Damper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Hazard Mitig. 2017;17(6):277-28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7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9798/KOSHAM.2017.17.6.277
서희원*, 김대회**, 최동호
* Member, 1 Ph.D. Candidate, Department of Disaster Scienc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2 Senior Researcher, Fire Resistance Research Team, Fire Insurers Laboratories of Korea
** Member, Senior Researcher, Fire Resistance Research Team, Fire Insurers Laboratories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Member, Principal Researcher, Fire Resistance Research Team, Fire Insurers Laboratories of Korea (Tel: +82-31-887-6681, Fax: +82-31-887-6680, E-mail: cdh1118@hanmail.net)
Received 2017 September 27; Revised 2017 September 28; Accepted 2017 October 11.

Abstract

현재 국내에서는 관련 건축법에 의거하여 화재확산방지설비 중 하나인 방화댐퍼가 현장에 시공되도록 하고 있으며, 현장 시공 시 시공사 및 감리자가 시공에 관한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방화댐퍼의 경우 성능인정과 관련된 명확한 규정이 없는 상태로 현장 시공 시 관련 성적서 내용과 상이한 구조의 방화댐퍼가 설치될 수 있는 등 현장품질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건축물의 화재안전 확보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화댐퍼를 대상으로 현장품질관리 시 확인하여야 하는 사항을 선정하기 위하여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확인사항에 대한 검증시험을 수행하였다.

Trans Abstract

Based on the building regulations, buildings are required to have fire dampers which are one of the opening protectives that prevent the spread of fire. These fire dampers are required to get accreditation before they are used for buildings. In construction sites, contractors and inspectors are supposed to assure the quality of the installation of these fire dampers. However, because there is no specific regulation related to performance recognition for fire dampers, the quality of the installed fire dampers are often different from the quality of those that were tested for accreditation. Thus, to select check points for fire dampers at the quali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s, related materials are analysed and validation tests are carried out for check points.

1. 서론

방화문과 방화셔터의 현장품질관리와 관련한 연구(Seo et al., 2016)를 통하여 현장품질관리의 필요성 및 현장품질관리 확인사항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현장에서의 품질관리 문제는 대두되어 현재까지도 많은 아파트 단지에서 세대에 설치된 방화문의 내화성능 확보 여부에 대한 성능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에 따라 입주자가 건설업체 및 방화문 제조업체에 대한 소송을 제기하는 등 현장에 설치된 화재확산방지설비의 화재안전성 확보 여부에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여기서, 화재확산방지설비란 건축물 내부에서의 화재가 인접 방화구획 또는 공간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방화문, 방화셔터, 방화댐퍼 등과 같은 설비를 말하며 방화설비 또는 연소확대방지설비 등의 용어로도 쓰이고 있다.

방화댐퍼와 같은 화재확산방지설비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성능인정 성적서 내용과 동일하게 현장에 설치될 수 있도록 관리 주체가 제대로 된 현장품질관리를 하여야 한다. 특히, 방화댐퍼의 경우 방화문, 방화셔터와는 달리 관련 고시에 따른 성능인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관련 KS 표준에 따라 단순 성능시험만 이루어지고 있어 현장품질관리에 있어 더욱 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화댐퍼를 대상으로 하여 화재안전성 확보를 위한 현장품질관리 시 확인사항 선정을 위하여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도출된 확인사항에 대한 실질적인 화재안전성 검토를 위한 검증시험을 수행하였다.

2. 관련 자료 분석

2.1 방화댐퍼 관련 기준

방화댐퍼는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 규정된 사항을 만족하여야 하며, 현장에 따라 ‘배연설비의 검사표준(KS F 2815)’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2.1.1 성능 및 설치 기준

방화댐퍼의 성능 기준은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의 제14조 2항 3목에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 철재로서 철판의 두께가 1.5 mm 이상일 것

  •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연기의 발생 또는 온도의 상승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닫힐 것

  • 닫힌 경우에는 방화에 지장이 있는 틈이 생기지 아니할 것

  •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규격상의 방화댐퍼의 방연시험방법에 적합할 것

한편, 방화댐퍼의 설치 기준은 ‘배연설비의 검사표준’의 5.1.4항에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 재질은 1.5 mm 이상의 철판일 것

  • 폐쇄시 누출량은 20 °C에서 1 m2당 19.6 N의 압력으로 매분 5 m3 이하가 되도록 할 것

  • 미끄럼부는 열팽창, 녹, 먼지 등에 의해 작동이 저해받지 않는 구조일 것

  • 검사구, 점검구는 적당한 위치일 것

  • 부착 방법은 구조체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공법으로 화재시 덕트가 탈락, 낙하해도 손상되지 않을 것

  • 배연기의 압력에 의해 방재상 해로운 진동 및 간격이 생기지 않는 구조일 것

2.1.2 평가 기준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 규정된 ‘방화댐퍼의 방연시험방법(KS F 2822)’에 따른 성능 평가 결과가 ‘차압이 20 Pa일 때의 공기 누설량이 5 m3/(m2·min) 이하일 것’을 만족하여야 한다.

2.2 방화댐퍼 부적합사항 분석

2.2.1 준공전 안전점검 보고서

현장품질관리 시 확인사항 검토를 위하여 한국화재보험협회에서 수행한 ‘준공전 안전점검 보고서’ 21건을 분석하여 방화댐퍼의 현장품질관리 시 부적합 사항을 도출하였다. 부적합 사항은 Table 1과 같이 방화댐퍼 설치 누락, 이격 설치 및 점검구 미설치와 같은 것이었다. Fig. 1은 현장에서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Incorrect Cases on Fire Dampers

Fig. 1

Incorrect Installation Appearances in Construction Sites for Fire Dampers

2.2.2 특수건물 안전점검 보고서

기존 건물 유지관리 시 확인사항 검토를 위하여 한국화재보험협회에서 수행한 2016년도 ‘특수건물 안전점검 보고서’ 27,621건을 분석한 ‘2016년도 화재통계⋅안전점검 결과분석’을 참고하여 기존 건물 유지관리와 관련한 부적합 사항을 도출하였다.

방화댐퍼의 양호율은 Table 2와 같이 86.1%로 기존 건물에서의 화재 시 방화댐퍼에 의해 화재안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Good Installation Rate for Fire Dampers

방화댐퍼의 부적합 사항은 준공전 안전점검 보고서 분석 내용과 유사하게 방화댐퍼 설치 누락, 이격 설치 및 점검구 미설치와 같은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운영상 방화댐퍼의 관찰이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2.3 방화댐퍼 현장품질관리 현황 조사

방화댐퍼의 현장품질관리 현황 조사를 위하여 방화댐퍼 제조업체 및 건설업체를 방문하여 조사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방화댐퍼의 경우 거의 대부분 하도급 업체(기계설비 단종업체, 전문시공업체)에 의해 시공 및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작은 규모의 현장에서는 덕트 제조업체 등에서 구입하여 시공하는 상태이며, 대기업 중 한 개 업체 정도만이 담당팀에서 관리하는 정도라고 함.

  • 방화댐퍼의 현장품질관리는 소방감리업체 및 건설업체의 관심 정도에 따라 품질관리가 좌우되며, 대체적으로 품질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함. 품질관리를 위해서 철판의 두께 정도만 확인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함. 한편, 일정 규모 이상의 현장에서는 방연성능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요구하나, 작은 규모의 현장에서는 시험성적서를 요구하지 않는 곳도 많다고 함. 또한, 방화댐퍼의 형태, 구조 및 크기와 관련없이 단일 건의 시험성적서만 있으면 자재 승인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함.

  • 방화댐퍼의 사양과 관련하여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는 철판 두께를 1.5 mm로 하고 있으나, 국토교통부의 표준시방서에서는 1.6 mm로 하도록 하고 있어 현장에 따라 방화댐퍼의 철판 두께를 달리 요구하고 있다고 함. 한편, 지하철역 내에 설치되는 방화댐퍼는 철판 2.3 mm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샤프트 축에 볼베어링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고 함.

  • 조달청에서 발주하는 관급공사의 경우 방화댐퍼를 일부 지급자재로 공급하기도 하나, 보통의 경우 기계설비 단종업체에서 자체 조달하여 시공하고 있다고 함.

  • 국내에 사용되는 방화댐퍼는 대부분 날개형(Blade type)이며, 셔터형(Curtain type)은 인천국제공항 공사시 사용되었으나, 날개 두께 등의 규정 문제(외국제품의 경우 두께 0.8 mm가 가능하나, 우리나라는 무조건 1.5 mm 이상이어야 함)로 방화댐퍼의 중량이 커지면서 시공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현재 진행중인 인천국제공항 제2공항 건설에는 날개형을 사용토록 하고 있다고 함. 셔터형은 원자력발전소 및 평택 미군기지 건설공사 등에서만 사용하고 있는 상태라고 함.

  • 방화댐퍼의 경우 인접 부분에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점검구(최소 300 mm × 300 mm 이상)가 설치되어야 하나, 현장에 따라 없는 경우가 많다고 함. 추후 점검구 설치 작업은 그리 어려운 작업이 아니므로 현장 점검결과 점검구가 없다면 설치토록 할 필요성이 있음.

  • 방화댐퍼와 덕트의 접속부 플랜지에는 가스켓이 사용되며, 이 부분이 화재시 화염 발생 등의 취약 부분이 될 수 있으며, 이 곳에 난연성 재질의 가스켓이 사용되도록 하고 있음.

3. 검증시험

3.1 개요

관련 자료 분석을 통하여 파악한 부적합 사항은 방화댐퍼의 설치 유무, 설치 위치 및 주위 점검구에 대한 사항으로 검증시험에서의 확인사항과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한편, 제조업체 및 건설업체의 현장품질관리 현황 조사를 통하여 현장에서 품질관리 시 간과하고 있는 방화댐퍼의 형태, 구조 및 크기 등에 따라 방화댐퍼에 대한 검증시험을 수행함으로써 현장품질관리 확인사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3.2 검증시험 방법

방화댐퍼의 검증시험을 위하여 방연성능은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방화댐퍼의 방연시험방법(KS F 2822)’에 따라 시험을 수행하였고, 참고사항으로 내화성능을 ‘방화댐퍼의 내화시험방법(KS F 2840)’에 따라 시험을 수행하였다.

3.3 검증시험 결과

다음의 확인사항에 대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여 방연성능 및 내화성능을 평가하였다.

  • 댐퍼 크기에 따른 날개형 방화댐퍼의 방연성능(사각형, 원형)

  • 틈새 크기에 따른 날개형 방화댐퍼의 방연성능(사각형, 원형)

  • 댐퍼 크기에 따른 셔터형 방화댐퍼의 방연성능(사각형)

  • 날개형 방화댐퍼(사각형, 원형) 및 셔터형 방화댐퍼(사각형)의 내화성능

3.3.1 댐퍼 크기에 따른 날개형 방화댐퍼의 방연성능

(1) 사각형 방화댐퍼 방연성능

날개와 프레임 사이의 틈새 크기가 1 mm인 사각형 방화댐퍼의 크기에 따른 방연성능 시험결과는 Table 3과 같으며, 20 ㎩에서 5 m3/(m2·min) 이하의 통기량을 나타내었으나, 시험체의 크기에 따라 측정값에 차이가 있었다.

Result of Smoke-proof Tests

한편, Fig.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방화댐퍼의 개구 면적에 대한 단위 개구 면적, 단위시간당 통기량 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개구 면적이 클수록 단위 개구 면적, 단위시간당 통기량이 적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개구 면적이 클수록 면적 대비 틈새의 비율이 적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체 개수가 축적되어 데이터가 많아지면 R2값은 더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ig. 2

Analysis of Test Results

(2) 원형 방화댐퍼 방연성능

날개와 프레임 사이의 틈새 크기가 1 mm인 원형 방화댐퍼의 크기에 따른 방연성능 시험결과는 Table 4와 같으며, 20 ㎩에서 5 m3/(m2·min) 이하의 통기량을 나타내었으며, 사각형 방화댐퍼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상당 부분 적은 것을 볼 수 있었다.

Result of Smoke-proof Tests

한편, Fig.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방화댐퍼의 개구 면적에 대한 단위 개구 면적, 단위시간당 통기량 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개구 면적이 클수록 단위 개구 면적, 단위시간당 통기량이 적어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으나, 일부 구간 및 크기에서 역전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Fig. 3

Analysis of Test Results

3.3.2 틈새 크기에 따른 날개형 방화댐퍼의 방연성능

(1) 사각형 방화댐퍼 방연성능

300 mm × 300 mm 크기의 사각형 방화댐퍼의 날개와 프레임 사이의 틈새 크기에 따른 방연성능 시험결과는 Table 5와 같으며, 틈새 크기가 2 mm 이하일 때 20 ㎩에서 5 m3/(m2·min) 이하의 통기량을 나타내었다.

Result of Smoke-proof Tests

한편, Fig.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방화댐퍼의 틈새 크기에 대한 단위 개구 면적, 단위시간당 통기량 값은 틈새 크기가 클수록 단위 개구 면적, 단위시간당 통기량이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Fig. 4

Measuring Values as Specimens

(2) 원형 방화댐퍼 방연성능

직경이 300 mm 크기의 원형 방화댐퍼의 날개와 프레임 사이의 틈새 크기에 따른 방연성능 시험결과는 Table 6과 같으며, 틈새 크기에 관계없이 20 ㎩에서 5 m3/(m2·min) 이하의 통기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방화댐퍼의 둘레에 설치된 스토퍼(Stopper)가 틈새 크기 이상의 크기로 전체 틈새를 막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Result of Smoke-proof Tests

한편, Fig.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방화댐퍼의 날개와 프레임 사이의 틈새 크기에 대한 단위 개구 면적, 단위시간당 통기량 값은 틈새 크기가 클수록 단위 개구 면적, 단위시간당 통기량이 조금씩 커지는 것을 볼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파악된다.

Fig. 5

Measuring Values as Specimens

3.3.3 댐퍼 크기에 따른 셔터형 방화댐퍼의 방연성능

셔터형 방화댐퍼의 크기에 따른 방연성능 시험결과는 Table 7과 같으며, 20 ㎩에서 5 m3/(m2·min)를 초과하는 통기량을 나타내었으며, Fig.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 면적이 큰 방화댐퍼가 개구 면적이 작은 방화댐퍼보다 단위 개구 면적, 단위시간당 통기량이 적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개구 면적이 클수록 면적 대비 틈새의 비율이 적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Result of Smoke-proof Tests

Fig. 6

Measuring Values as Specimens

3.3.4 날개형 방화댐퍼(사각형, 원형) 및 셔터형 방화댐퍼(사각형)의 내화성능

(1) 날개형 방화댐퍼 내화성능

날개와 프레임 사이의 틈새 크기가 1 mm인 300 mm × 300 mm 크기의 사각형 방화댐퍼 및 직경 300 mm 크기의 원형 방화댐퍼의 내화성능 시험결과, 가열 15초 및 17초 경과시 방화댐퍼의 날개가 닫혔으며, Fig.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열종료 시까지 비가열면에서의 개구부 및 화염 발생이 없었으며, 시험동안 연결덕트 내부에서의 차압이 300 ㎩ 내외로 유지되는 등 부적합 사항은 없었다.

Fig. 7

View of Fire Test of Blade Type Fire Dampers

(2) 셔터형 방화댐퍼 내화성능

개구 면적 300 mm × 300 mm 크기의 셔터형 방화댐퍼의 내화성능 시험결과, 가열 35초 경과시 방화댐퍼의 날개가 닫혔으나, 가열 26분 경과시 연결덕트 내부에서의 차압이 285 ㎩ 미만으로 유지되어 차압조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비차열 25분의 내화성능을 나타내었다. 한편, Fig. 8은 가열종료 시의 비가열면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Fig. 8

View of Fire Test of Shutter Type Fire Damper

3.3.5 소결(현장품질관리 확인사항)

(1) 날개형 방화댐퍼

날개형의 사각형 방화댐퍼의 경우 방연성능 평가 결과 날개와 프레임 사이의 틈새 크기가 2 mm 이하일 때 20 ㎩에서의 단위 개구 면적, 단위 시간당 통기량이 성능기준인 5 m3/(min·m2)을 만족하였으며, 원형 방화댐퍼의 경우 날개와 프레임 사이의 틈새 크기에 상관없이 20 ㎩에서의 단위 개구 면적, 단위 시간당 통기량이 성능기준인 5 m3/(min·m2)을 만족하였다. 따라서, 날개형 사각형 방화댐퍼의 화재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날개와 프레임 사이의 틈새 크기가 2 mm 이하가 되도록 제작 및 관리하도록 하여 현장에 시공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원형 방화댐퍼에 있어서는 스토퍼(Stopper)가 날개 둘레 전체에 걸쳐 설치된 구조인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2) 셔터형 방화댐퍼

셔터형 방화댐퍼의 경우 방연성능 평가 결과 20 ㎩에서의 단위 개구 면적, 단위 시간당 통기량이 성능기준인 5 m3/(min·m2)를 초과하였으며, 댐퍼 크기가 작은 경우 20 ㎩에서의 단위 개구 면적, 단위 시간당 통기량이 급격히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내화성능 시험의 경우에도 시험 중 연결덕트 내부에서의 차압이 285 ㎩ 이하로 떨어져 차압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비차열 60분의 내화성능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셔터형 방화댐퍼의 사용과 관련하여 화재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셔터형 방화댐퍼의 구조 적정성 여부를 확인한 후 현장에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4. 현장품질관리 확인사항 선정

관련 자료 분석 및 검증시험 결과 방화댐퍼의 화재안전성 확보에 영향을 주는 다음 사항들을 방화댐퍼의 현장품질관리 시 확인사항으로 선정하였다.

  • 날개형 사각형 방화댐퍼의 날개와 프레임 사이의 틈새 크기가 2 mm 이하가 되는지 여부 확인

    (틈새 크기가 클 경우 기밀판, 가스켓 등 설치 여부 확인)

  • 날개형 원형 방화댐퍼의 경우 날개 둘레 전체에 스토퍼(Stopper)가 설치되는지 여부

  • 셔터형 방화댐퍼의 경우 방연성능 시험성적서의 구조와 동일 여부 확인(날개 상⋅하부 틈새 크기 확인)

  • 재질(철판 1.5 mm 이상), 휴즈 온도, 스프링 설치 여부 및 개수 확인

  • 설치 위치 및 주위 점검구 설치 여부 확인

5. 결론

본 연구는 방화댐퍼를 대상으로 현장품질관리 시 확인하여야 하는 사항을 선정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연구 결과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 (1) 준공전 안전점검 보고서, 특수건물 안전점검 보고서 및 방화댐퍼 현장품질관리 현황 조사 자료의 확인 및 분석을 통하여 방화댐퍼의 현장품질관리 확인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확인사항에 대한 검증시험을 수행함으로써 방화댐퍼가 현장에 설치될 경우 현장품질관리 확인사항을 선정할 수 있었다.

  • (2) 현장품질관리가 제대로 수행되어지지 않을 경우 방화댐퍼는 요구되는 방연성능 및 내화성능을 확보하지 못하여 화재 시 화재확산으로 인한 인명 및 재물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화재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이에 대한 현장품질관리 기준을 개발하고, 실질적인 품질관리를 위한 정량적⋅정성적인 품질관리 방법 및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이력 확인 시스템 등을 구축하여야 한다.

  • (3) 관련 자료의 분석에서도 확인된 바와 같이 방화댐퍼 자체의 구성 및 재질 뿐만 아니라 설치 유무, 설치 위치 및 주위 점검구 설치 여부 등도 매우 중요하므로 현장품질관리 시 이러한 부분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5년 도시건축연구사업과 관련하여 국토교통부의 연구비 지원(과제번호: 17AUDP-B100356-03)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KFPA(Korean Fire Protection Association). 2012-2014;Safety Inspection Reports before Completion (Architectural Fire Protection Section)
KFPA(Korean Fire Protection Association). 2015;Safety Inspection Reports (Architectural Fire Protection Section, Data Base File)
KFPA(Korean Fire Protection Association). 2017;FY2016 Safety Inspection Result Analysis :123–172.
KSA(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1;KS F 2815 Inspection Standard of Smoke Exhaust Equipment
KSA(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4;KS F 2822 Smoke-proof Test Method for Fire Damper
KSA(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4;KS F 2840 Fire Resistance Tests for Fire Dampers
Seo H.W, Kim D.H, Choi D.H. 2016;A Study on Related Materials Analysis and Validation Tests for the Selection of Check Points at the Quali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s: Focused on Fire Doors and Fire Shutters. J. Korean Soc. Hazard Mitig 16(5):189–198. 10.9798/KOSHAM.2016.16.5.18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Incorrect Cases on Fire Dampers

Incorrect Case The Number of Cases
Absence of fire dampers on fire compartment lines 21
Fire dampers installed separately from fire compartment walls 16
Absence of inspection doors around fire dampers 18

Fig. 1

Incorrect Installation Appearances in Construction Sites for Fire Dampers

Table 2

Good Installation Rate for Fire Dampers

Good (The Number of Cases) Normal (The Number of Cases) Incorrect (The Number of Cases) Good Installation Rate(%)
23,793 3,744 84 86.1

※ Note 1 ‘Good’ means that there are no incorrect cases or incorrect cases don’t nearly affect fire safety or fire protection measures

※ Note 2 ‘Normal’ means that incorrect cases affect fire safety or fire protection measures may have problems

※ Note 3 ‘Incorrect’ means that incorrect cases affect fire safety seriously or fire protection measures come to nothing

Table 3

Result of Smoke-proof Tests

Size of Specimen (mm) Performance Criteria Test Result [m3/(min·m2)]
200 × 200 The Air Leakage rate per the unit area at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20 Pa should not exceed 5 m3/min·m2 5.0
300 × 300 .6
500 × 500 2.3
800 × 800 2.2
1,000 × 1,000 1.6

Fig. 2

Analysis of Test Results

Table 4

Result of Smoke-proof Tests

Size of Specimen (mm) Performance Criteria Test Result [m3/(min·m2)]
∅200 The Air Leakage rate per the unit area at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20 Pa should not exceed 5 m3/min·m2 2.3
∅300 2.1
∅500 1.9
∅800 1.3
∅1,000 1.5

Fig. 3

Analysis of Test Results

Table 5

Result of Smoke-proof Tests

Size of Gap (mm) Performance Criteria Test Result [m3/(min·m2)]
1 The Air Leakage rate per the unit area at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20 Pa should not exceed 5 m3/min·m2 4.6
2 4.6
3 5.2
4 6.1
5 6.5

Fig. 4

Measuring Values as Specimens

Table 6

Result of Smoke-proof Tests

Size of Gap (mm) Performance Criteria Test Result [m3/(min·m2)]
1 The Air Leakage rate per the unit area at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20 Pa should not exceed 5 m3/min·m2 2.1
2 2.1
3 2.1
4 2.6
5 2.7

Fig. 5

Measuring Values as Specimens

Table 7

Result of Smoke-proof Tests

Size of Specimen (mm) Performance Criteria Test Result [m3/(min·m2)]
300 × 300 The Air Leakage rate per the unit area at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20 Pa should not exceed 5 m3/min·m2 15.3
700 × 700 6.3

Fig. 6

Measuring Values as Specimens

Fig. 7

View of Fire Test of Blade Type Fire Dampers

Fig. 8

View of Fire Test of Shutter Type Fire Dam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