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공웨브 장지간 PSC 거더의 강도별 정착장치 하중전달 시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oad Transfer Test of Strand Anchorage by Strength of Long Span PSC I Girder with Hollow Web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Hazard Mitig. 2017;17(6):323-331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7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9798/KOSHAM.2017.17.6.323
장판기*, 김성겸**, 장일영
* Member, Ph.D. Candidat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Member, Ph.D., Research Institute for Mega Structures, Kore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Member,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Tel: +82-54-478-7617, Fax: +82-54-478-7629, E-mail: jbond@kumoh.ac.kr)
Received 2017 October 25; Revised 2017 October 26; Accepted 2017 October 30.

Abstract

교량 구조에서 고강도 콘크리트를 적용하여 최근 개발된 중공웨브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PSC) I형 거더는 복부에 다수의 중공을 도입하고, 중공부에 강선을 분산 정착함으로써 강연선 배치를 최적화하고 거더의 경량화를 이루었다. 이는 저형고, 장지간을 실현한 공법으로 실 시공을 위해서는 세장한 단면에서 정착이 가능하고, 고하중을 견디는 정착장치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착장치의 실용화 연구를 위해 시공방법에 따른 설계강도별 정착장치의 거동에 관한 하중전달 시험을 수행하였다. 설계강도 50, 60, 80MPa을 대상으로 European Technical Approval Guideline-013(ETAG-013) 기준에 따른 정착장치의 성능 결과, H-2를 제외한 각각의 하중 및 균열 폭은 ETAG-013의 허용기준에 만족하며 세장한 단면에 대해서 고하중을 견디는 PT 정착장치의 사용성과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Trans Abstract

Recently developed Long Span prestressed concrete I Girder with Hollow Web (HWPC) is applied high strength concrete materials. HWPC I girder was designed to have a number of holes in the web, and it was possible to disperse and fix the PS strand in the hole part. Therefore, the arrangement of the PS strand is optimized and lightened for low height and long span of PSC girder. For actual construction,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 anchorage capable of fixing in an elongated cross section and supporting a high load.

In this study, Load Transfer Tests were carried out on the behavior of the Post Tension anchorage according to the design strength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As a result of test according to ETAG-013 standard for design strengths of 50, 60 and 80 MPa, each load and crack width satisfied the ETAG-013 acceptance test. Furthermore, The crack width and the allowable maximum load of the PT anchorage withstanding the high load were confirmed on the thin section.

1. 서론

현재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PSC) I형 거더의 경우 25∼35 m 경간에 적용되는 재래식 PSC I형 거더와 단계별 긴장 및 벌브 T형 단면을 통하여 형고를 축소한 50 m 경간에 적용되는 PSC I형 거더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기존 PSC 거더를 이용한 교량의 경우 장경간 PSC 거더는 PS 강연선에 의해 발생하는 압축부의 응력이 허용치를 초과하여 단부의 국부적인 파괴로부터 구조안전성의 위험을 초래하는 단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형고의 제한을 받는 상황에서는 이에 적합한 단면구성을 위해 설계되는 PSC 거더의 경우 작은 강성으로 인한 사용성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에 경간길이 증대는 필요강성의 증대로 이어지고 이는 거더 높이가 지배인자로써 형고가 높아지는 결과가 유도된다. 이러한 문제점과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중공웨브 PSC(HWPC: Hollow Web Prestressed Concrete Girder) 거더(Han et al., 2011)는 폭이 좁은 복부측면에 하나 이상의 중공을 도입함으로써 전체 거더의 자중을 줄임으로써 장지간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중공에 정착부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거더의 종방향 휨모멘트 분포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긴장력을 분산시켜서 각 정착부에 집중되는 응력을 저감시킨다. 이로 인해 정착장치 주위에 할렬 균열의 발생 가능성을 줄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단부에 도입되는 정착구의 수가 줄고, 긴장력도 줄어들기 때문에 단부에서는 다이아프램을 제거하고도 정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거더의 세장한 폭의 웨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은 거푸집을 같은 크기로 유지하므로 거더 제작을 자동화 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중공웨브 PSC 거더에 적용하는 긴장력 도입은 다단계 긴장과 분산 정착이라는 2가지 효과에 집중된다. 외력에 저항하기 위한 긴장력을 나누어 도입하는 다단계 긴장방법은 교량의 시공단계와 사용단계에 따라 긴장력을 도입하므로 발생하는 응력을 허용치 내로 유지관리할 수 있다. 이로부터 응력의 조절이 가능하여 동일한 형고에서 장지간화가 가능하며 반대로 동일 지간에서 형고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분산 정착을 통해 긴장력으로부터의 잉여 모멘트의 발생을 억제하고 장지간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공부의 정착부는 형식의 특성상 강선의 수용능력이 기존의 단부보다 작고 원형의 정착면 특성상 정착부의 균열과 안전성에 대한 검토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50∼70 m 장지간에 적용 가능한 거더 설계를 위해 설계기준압축강도(fck)가 높아짐에 따라 긴장 시 콘크리트 강도에 따른 정착부 균열 확인은 필수로 선행되어야 한다(Breen et al., 1994; Roberts-Wollmann and Breen, 2000; Jang et al., 2013). 세장한 단면에서 PT(Post Tension) 정착장치 실시공을 위해서는 시방기준(KRA, 2010; KCI, 2012)에 제시된 기술승인시험을 통해 허용기준을 만족해야 하므로 정착장치의 거동에 관한 연구(Kang and Rha, 2011; Park et al., 2014; PTI, 2006)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중전달 시험을 통해 설계강도가 다른 정착부에 집중하중 재하 시 발생하는 균열 폭에 의한 사용성과 이때의 최대강도(fmax)를 바탕으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2. 하중전달 시험 계획

2.1 중공웨브 장지간 PSC 거더

PSC I형 거더의 발전은 기본적인 단면형상을 유지하면서 거더의 제작방법, 강연선의 정착방식, 재료성능의 개선 등을 통해 지간 길이의 증가로 발전하고 있다. 같은 형식의 중공웨브 장지간 PSC 거더의 특징은 Fig. 1과 같이 4가지 특징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복부의 중공 도입(Mansur and Tan, 1999), 중공단면을 통한 분산정착, 단부와 중공부를 이용한 다단계 긴장, 현장조립을 통한 분절 제작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최적단면 설계, 제작방식, 강연선 배치 방법 등의 개선으로 50 m 이상의 경간장을 갖는 거더(Han et al., 2011)로 개발되었다.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는 50~60 MPa 정도이며 기존의 프리캐스트 공법을 통해 시공 가능하며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타설 가능한 장지간 PSC 거더 제작을 위해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 80 MPa을 추가하였다.

Fig. 1

Characteristics of HWPC Girder Bridge

2.2 시험 개요

국내의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제시된 PT 정착장치의 기술승인시험은 시험체의 규격, 시험방법이 동일하고 균열폭의 허용기준이 AASHTO 기준(AASHTO, 2010)보다 엄격 한 ETAG-013 (European Technical Approval Guideline-013) 기준(EOTA, 2002)에 따른 정착장치의 성능 검증은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PT 정착장치의 필수 성능 중 구조물로의 하중전달을 검증, 확인하는 ETAG-013 기준에 의한 시험 및 제작 방법으로 최대압축강도, 하중가력단계별 균열폭, 콘크리트 표면에서의 변형률을 계측하였다. 이를 위한 각 시험체는 Table 1과 같은 변수와 크기로 제작되었다. 제작된 시험체는 정착장치와 보강철근 및 덕트로 구성된 헤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Fig. 2와 같다. 하중전달 시험을 위해 정착장치의 헤드와 닿는 부분에 직접 ETAG-013 기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압축하였다. 시험의 결과는 시험체에 정의된 콘크리트 강도에서 긴장재 극한강도의 일정 비율 하중이 PT 정착장치를 통하여 구조물에 전달되었을 때 발생되는 균열과 변형의 결과로 평가하였다. 시험체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재령 28일 평균압축강도는 Fig. 2와 같이 나타났다.

Design Variables and Specifications of the Test Specimen

Fig. 2

Compressive Strength of Specimens at 28 Days

3. 강도별 정착구 하중전달 시험

3.1 목표강도 50MPa, 60MPa 하중전달 시험

3.1.1 시험체 설계 및 제작

PSC I형 거더의 장지간-경량화를 위해 시험체의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fck)는 50 MPa과 60 MPa인 고강도콘크리트 2가지 Type으로 계획하고, 시험체 개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별로 각각 2개를 시험하였다. PSC I형 거더에 적용되는 정착거동에 따른 단계별 분석을 위해 시험체 설계 및 제작은 설계기준압축강도(fck)는 50 MPa에 대해 우선 시험분석하고, 결과를 토대로 설계기준압축강도(fck) 60 MPa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체에 사용된 배합은 Table 2와 같다.

Concrete Standard Mixing Proportions of 50, 60 MPa

시험체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fck) 50 MPa의 시험체 2개의 상세 도면은 Figs. 3, 4와 같이 단면제원, 철근규격, 강연선의 인장강도(fpu=2,160 MPa, SWPC 7C Ø15.2 mm)는 동일하며, 각각 강연선 6Hole(S-1 시험체)과 7Hole(S-2 시험체)로 구분 제작하고 시험한다. 시험체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fck) 60 MPa 시험체는 단면제원, 철근규격은 동일하며, 강연선의 인장강도(fpu=2,400 MPa, SWPC 7D Ø15.2 mm)를 상향시켜 강연선 6, 7Hole(H-1, H-2 시험체)로 제작하였다. 각각의 조건에 제작된 4개의 시험체는 모든 조건이 동일한 반복시험을 통해 하중과 균열폭을 검토하였다.

Fig. 3

Design Drawing of Object

Fig. 4

Arrangement of Reinforcement

3.1.2 하중재하 및 계측 계획

하중은 Fig. 5와 같이 강연선의 공칭극한강도(fpk)를 기준으로 0.2fpk, 0.4fpk, 0.6fpk로 단계적으로 재하하고 0.8fpk에서 균열폭을 검사하였다. 이후 0.12fpk로 하중을 감소시키고 0.12fpk와 0.8fpk사이로 하중을 10회 반복재하 하였다. 마지막 반복하중에서 0.12fpk와 0.8fpk상태에서 균열폭을 검사한 후 반복하중을 중단하고, 파괴 시까지 하중을 재하 하였다. 재하 속도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KS F 2403)에 따라 압축응력의 증가가 매초 0.6±0.4 N/㎟로 하였다. 측정된 파괴강도(fu)은 공칭극한하중(fpk)의 110% 이상 발현되었고, 균열폭 계측 시 최대강도(fmax)는 편의상 반올림하여 해당 순간의 값을 기록한 것으로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값과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최대강도(fmax)는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결과 중 최대값으로 결정하였다(EOTA, 2002).

Fig. 5

Loading Procedure for Load Transfer Test(ETAG-013)

3.1.3 하중 가력 및 균열폭 변화 계측 결과

PT 정착구 하중전달 시험 종료 후 모든 시험체는 정착구와 콘크리트 사이의 균열이 발생하였을 뿐 완전히 파괴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났다.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fck) 50MPa인 S-1, S-2 시험체는 Fig. 6과 같이 2,160 MPa 강연선 6Hole과 7Hole에 해당하는 하중에 대하여 ETAG-013의 기술승인시험에 따라 계측한 결과 하중 및 균열폭은 허용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ig. 7의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fck) 60 MPa 시험체는 H-1 시험체는 2,400 MPa 강연선 6Hole에 해당하는 하중을 적용하여 ETAG-013의 기술승인시험에 따라 계측한 결과 하중 및 균열폭은 허용기준을 만족하였으나, H-2 시험체 첫번째 균열폭은 공칭극한강도(fpk)의 80%에서 하중 재하 시 허용균열폭(0.15 mm)을 상회하는 균열(0.20 mm)이 발생하였다. 각 시험체에 대한 하중의 크기를 Table 3에 정리하였고 50 Mpa과 60 MPa의 하중에 따른 각각의 균열폭은 Tables 4, 5와 같이 나타났다.

Fig. 6

fck=50 MPa, Measurement Results of PS Strand Tensile Strength (fpu =2,160 MPa)

Fig. 7

fck=60 MPa, Measurement Results of PS Strand Tensile Strength (fpu =2,400 Pa)

Experiment Result Loads of 50, 60MPa Specimens

Comparison of Crack Widths with ETAG-013 of Specimens (fck =50 MPa)

Comparison of Crack Widths with ETAG-013 of Specimens (fck =60 MPa)

3.2 목표강도 80MPa 하중전달 시험

3.2.1 시험체 설계 및 제작

중공웨브 장지간 PSC 거더교의 현장타설 80 MPa에 세장한 단부 및 중공부 정착부의 하중전달 시험을 만족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Fig. 8과 같이 10Hole과 7Hole 2가지 주 형식으로 정하고, 철근 배근을 달리한 각각 2개와 3개의 보조 형식으로 총 5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Table 6은 제작된 시험체의 콘크리트 배합비를 나타낸다.

Fig. 8

Design Drawing of 80 MPa Test Specimen

Concrete Standard Mixing Proportions of 80 MPa

3.2.2 하중재하 및 계측 계획

하중재하 방법은 상기 Fig. 5와 같이 50, 60 MPa 시험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측정된 파괴강도(fu)은 공칭극한하중(fpk)의 110% 이상 나타나도록 하였다. 시험체의 목표 콘크리트 압축강도(fck)는 80 MPa이며 최대강도(fmax)는 상기와 동일하게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결과 중 최대값으로 결정하였다.

3.2.3 하중 가력 및 균열폭 변화 계측 결과

Table 7은 각 시험체의 하중결과를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S 및 H 시험체와 같이 시험종료 후 시험체는 정착구 접촉부의 균열이 발생할 뿐 완전히 파괴되지 않았다.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fck) 80 MPa PT 정착구 하중전달 시 거동은 Fig. 9와 같이 나타났다. 80 MPa 결과, A-1, A-2, B-1, B-2, B-3 시험체 모두 ETAG-013의 기술승인시험에 따라 계측한 결과 하중 및 균열폭은 허용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에서 허용균열폭을 만족하지 못하는 H-2시험체의 경우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fck)를 상향하여 추가적인 시험결과 80 MPa에서 모두 사용성과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Experiment Result Loads of 80 MPa Specimens

Fig. 9

Measurement Results of fck=80 MPa

Comparison of Crack Widths with ETAG-013 of Specimens (fck=80MPa)

3.3 시험체 균열양상

설계기준압축강도(fck) 차이에 상관없이 각 시험체는 Fig. 10과 같은 균열발생 순서를 나타냈다. 최초 초기균열은 재하 면에서 80~100 mm 정도 떨어진 장변 방향의 중앙부에서 발생하였고 하중반복 횟수가 증가 할수록 재하면으로 균열이 진전되었다. Fig. 10의 2번과 같이 균열의 진전과 함께 단면의 정착구 모서리에서 경사균열이 발생하여 중앙부로 진전하였고 극한하중에 도달하면서 재하면의 균열이 중앙부에서 양쪽 측면으로 확대되었다. 최종적으로 정착구와 콘크리트의 부착력이 약해지며 정착구가 콘크리트 속으로 파고들어 국소구역의 균열 진전을 급격하게 가속화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정착부 파괴의 주원인을 압축강도의 차이가 아니라 주압축 방향의 직각으로 발생하는 파열응력에 의한 인장파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사용재료의 압축강도 증가보다는 인장강도 증가가 파괴강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세장한 단면에서의 정착구 형상은 하중을 분산시키고 쐐기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 형상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Fig. 10

Crack Aspect of Specimens

4. 결론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 50, 60, 80 MPa을 대상으로 ETAG-013 기준에 따라 세장한 단면에 대하여 고하중을 견디는 PT 정착장치의 성능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정착장치의 하중전달 성능을 평가하는 시험방법 및 시험체 제작은 ETAG-013 기준에 의한 방법에 준하였으며, 사용성을 위한 균열폭은 H-2 시험체를 제외한 모든 시험체에서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fck)에 상관없이 허용기준을 만족하였다. H-2 시험체의 첫번째 균열폭은 공칭극한강도(fpk)의 80%에서 하중재하시 허용균열폭(0.15 mm)을 초과하는 균열폭(0.20 mm)이 발생하였다.

  • (2) 정착부의 하중전달 시험 최대강도(fmak)는 설계기준압축강도 50, 60 MPa에서 모두 1.1fpk를 초과하였으며 설계기준압축강도 80 MPa에서는 강연선의 개수가 7이하인 시험체만 파괴강도(fu)를 초과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시험체가 파괴되기 이전 최대강도(fmak)가 많은 강연선의 개수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fck)가 높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 (3)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fck)와 상관없이 시험체의 균열진전 및 양상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착부와 콘크리트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파괴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fck) 증가에 따라 증가된 변위에서 나타났다.

  • (4)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fck)가 동일한 경우 강연선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시험체의 변위가 증가되었다. 또한 동일한 강연선 개수를 갖는 S-2, H-2, B-2 시험체의 비교에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fck)와 관계없이 강연선의 공칭극한강도(fpk)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변위연성이 증가되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금오공과대학교 학술연구비(2015-104-052)에 의하여 연구된 논문이며, 본 연구를 위해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관계자 제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References

AASHTO. 2010. AASHTO LRFD Bridge Construction Specification Third Editionth ed. 10.3.2 Post - Tensioning Anchorages and Couplers. p. 10-4–10-9.
Breen J.E, Burdet O, Roberts C, Sanders D, Wollamnn G. 1994. Anchorage Zone Reinforcement for Post-Tensioned Concrete Girder. NCHRP Report No. 356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EOTA. 2002;Guideline for European Technical Approval. European Organisation for Technical Approvals, ETAG-013, Post - Tensioning Kits for Prestressing of Structures :81–86.
Han M.Y, Choi S, Jeon Y.S. 2011;Design and Full Size Flexural Test of Spliced I-type Prestressed Concrete Bridge Girders Having Holes in the Web. Journal of KSCE 31(3A):235–249.
Han M.Y, Jin K.S, Choi S.H. 2010;Flexural Test for a Monolithic Holed Web Prestressed Concrete (HWPC) Girder.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 and Materials 4(2):77–87. 10.4334/IJCSM.2010.4.2.77.
Jang P.K, Jang I.Y, Eom Y.H, Lee K.Y, Kim B.K. 2013;An Experimental Study on High Capacity Anchorage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 Having a Narrow Web. 2013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Civil Engineering :1097–1100.
Kang T.H.-K, Rha C.-S. 2011;Modeling Technologies for Unbonded Post-Tension Systems. J. Comput. Struct. Eng. Inst. Korea 24(1):33–41.
KCI (Korea Concrete Institute). 2012;Concrete Design Code and Commentary :276.
KRA (Korea Road Association). 2010;Bridge Design Standard :4-133–146.
Mansur M.A, Tan K.H. 1999. Concrete Beams with Openings - Analysis and Design CRC Press.
Park J.H, Cho J.-R, Park J. 2014;Estimation of Initial Tensile Force Acting on Tendon using the Deformation of a Multi-tendon Anchor Head. J. Comput. Struct. Eng. Inst. Korea 27(6):581–588. 10.7734/COSEIK.2014.27.6.581.
PTI. 2006. Post-Tensioning Manual 6th Editionth ed. Post-Tensioning Institute.
Roberts-Wollmann C.L, Breen J.E. 2000;Design and Test Specifications for Local Tendon Anchorage Zones. ACI Struct. J 97(6):867–875.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Characteristics of HWPC Girder Bridge

Table 1

Design Variables and Specifications of the Test Specimen

Test Specimen fck (MPa) Specification of Test Specimen PS Strand (7EA, 15.2 mm) Tendon Number (Hole) Allowable Maximum Load fu (kN)
fpu (MPa) fpk (kN)
S-1 50 400×200 (H800) 2,160 300 6 1,980
S-2 7 2,310
H-1 60 2,400 333 6 2,197
H-2 7 2,564
A-1 80 1,860 261 10 2,871
A-2 2,160 300 9 2,970
B-1 1,860 261 7 2,009
B-2 2,160 300 7 2,310
B-3 2,160 300 9 2,970

Fig. 2

Compressive Strength of Specimens at 28 Days

Table 2

Concrete Standard Mixing Proportions of 50, 60 MPa

Design Strength (MPa) W (kg/m3) C (kg/m3) W/B (%) S/a (%) S (kg/m3) G (kg/m3) BF (kg/m3) FA (kg/m3) SF (kg/m3) AD (kg/m3)
50 175 389 35.8 43.1 719 958 63 37 - 4.98
60 154 294 26.2 47.1 744 838 177 118 - 5.89

C: OPC, S: Fine Aggregate, G: Coarse Aggregate, BF: Blast Furnace Slag

FA: Fly Ash, SF: Silica Fume, AD: Admixture

Fig. 3

Design Drawing of Object

Fig. 4

Arrangement of Reinforcement

Fig. 5

Loading Procedure for Load Transfer Test(ETAG-013)

Fig. 6

fck=50 MPa, Measurement Results of PS Strand Tensile Strength (fpu =2,160 MPa)

Fig. 7

fck=60 MPa, Measurement Results of PS Strand Tensile Strength (fpu =2,400 Pa)

Table 3

Experiment Result Loads of 50, 60MPa Specimens

Type Allowable Maximum Load, fu (kN) Test Maximum Load, fmax (kN) Design Compressive Strength, fck (MPa)
S-1 1,980.0 2,213.6 50
S-2 2,310.0 2,502.6
H-1 2,197.8 2,263.3 60
H-2 2,564.1 2,807.6

Table 4

Comparison of Crack Widths with ETAG-013 of Specimens (fck =50 MPa)

Type Allow Maximum Crack Width (mm) Maximum Crack Width (mm)
S-1(6Hole) First 0.8fpk 0.15 0.10
Last 0.12fpk 0.15 0.10
Last 0.8fpk 0.25 0.15
S-2 (7Hole) First 0.8fpk 0.15 0.10
Last 0.12fpk 0.15 0.10
Last 0.8fpk 0.25 0.15

Table 5

Comparison of Crack Widths with ETAG-013 of Specimens (fck =60 MPa)

Type Allow Maximum Crack width (mm) Maximum Crack Width (mm)
H-1(6Hole) First 0.8fpk 0.15 0.10
Last 0.12fpk 0.15 0.10
Last 0.8fpk 0.25 0.20
H-2 (7Hole) First 0.8fpk 0.15 0.20
Last 0.12fpk 0.15 0.15
Last 0.8fpk 0.25 0.20

Fig. 8

Design Drawing of 80 MPa Test Specimen

Table 6

Concrete Standard Mixing Proportions of 80 MPa

Design Strength (MPa) W (kg/m3) C (kg/m3) W/B (%) S/a (%) S (kg/m3) G (kg/m3) BF (kg/m3) FA (kg/m3) SF (kg/m3) AD (kg/m3)
80 160 385 22.0 36.2 535 953 255 51 36 8.72

C: OPC, S: Fine Aggregate, G: Coarse Aggregate, BF: Blast Furnace Slag

FA: Fly Ash, SF: Silica Fume, AD: Admixture

Table 7

Experiment Result Loads of 80 MPa Specimens

Type Allowable Maximum Load, fu (kN) Test Maximum Load, fmax (kN) Design Compressive Strength, fck (MPa)
A-1 2,871.0 2,434.6 80
A-2 2,970.0 2,416.6
B-1 2,009.7 2,076.6
B-2 2,310.0 2,360.4
B-3 2,871.0 2,057.9

Table 8

Comparison of Crack Widths with ETAG-013 of Specimens (fck=80MPa)

Type Allow maximum Crack Width (mm) Maximum Crack Width (mm)
A-1(10Hole) First 0.8fpk 0.15 0.10
Last 0.12fpk 0.15 0.10
Last 0.8fpk 0.25 0.15
A-2 (9Hole) First 0.8fpk 0.15 0.10
Last 0.12fpk 0.15 0.10
Last 0.8fpk 0.25 0.15
B-1(7Hole) First 0.8fpk 0.15 0.10
Last 0.12fpk 0.15 0.10
Last 0.8fpk 0.25 0.15
B-2 (7Hole) First 0.8fpk 0.15 0.10
Last 0.12fpk 0.15 0.10
Last 0.8fpk 0.25 0.20
B-3 (9Hole) First 0.8fpk 0.15 0.10
Last 0.12fpk 0.15 0.15
Last 0.8fpk 0.25 0.20
- Tensile Strength of PS Strand
① A-1, B-1: 1,860MPa
② A-2, B-2, B-3: 2,160MPa

Fig. 9

Measurement Results of fck=80 MPa

Fig. 10

Crack Aspect of Specim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