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7(6); 2017 > Article
도시홍수 실험연구를 위한 대형 강우발생장치 개발 및 검정

Abstract

A large-scale rainfall simulator with maximum rainfall intensity of 250 mm/h, with dimensions of 30 m long, 30 m wide and 12 m high i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simulator has fan-shaped spray nozzle as a KJ-V type nozzle to create uniform rainfall across the test plot. The rectangular spray box opening is established under the nozzle to cut off the spray for the desired spray area with size of 76 cm long and 67 cm wide. Rainfall intensity and spray frequency are controled by rotation speed of nozzle and delay time when spray is cut off because nozzle is stay in spray box. The flow discharg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imulated rainfall are measured with changing variables such as pump pressure, rotation speed of nozzle and delay time to evaluate the rainfall simulator. The results show that pump pressure is relative to rainfall intensity and higher pump pressure than 0.9 kg/cm2 is needed to provide a very close resemblance of natural rainfall.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imulated rainfall is satisfactory and the Christiansen Coefficient of Uniformity (CuC) ranged from 75.8 to 83.0% can be obtained using 100 m2 plot area. The developed large-scale rainfall simulator can be used for the urban flood risk reduction research.

요지

본 연구에서는 최대 250 mm/h의 강우강도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길이 30 m, 폭 30 m 그리고 높이 12 m 규모의 대형 강우발생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장치에는 발생강우를 등분포로 유지하기 위하여 부채꼴 형태의 강우가 일정하게 분사되는 KJ-V 타입의 회전형 노즐을 설치하였다. 노즐 하단부에는 강우조절케이스를 설치하고 중심부에 76×67 cm의 사각구멍을 두어 이 구멍으로만 강우가 분사되도록 유도하였다. 이때 강우강도와 분사간격은 노즐의 회전속도와 노즐이 조절케이스 내부에 머물러 분사가 지연되는 시간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강우발생장치의 강우강도 재현성과 강우분포의 등분포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펌프압력, 노즐 회전속도, 지체시간을 변화시켜가면서 강우량과 강우의 공간적 분포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펌프압력과 강우강도는 비례관계에 있으며, 자연강우와 유사한 강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펌프압력이 최소 0.9 kg/cm2 이상이어야 함을 밝혔다. 100 m2의 실험공간에 대한 크리스티안센 등분포계수 범위는 75.8~83.0% 정도로 강우의 공간적 분포는 일정하게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강우발생장치는 향후 도시방재 실험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 서론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강우는 2016년 9월 태풍 차바 및 2017년 7월 청주 집중호우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강도가 더욱 강해지고 국부지역에 집중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이들 피해지역에서는 강우특성이 반영된 유출, 침투, 저류 그리고 토양손실 관련 영향인자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해 홍수피해저감대책의 적정성 검토나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도시지역에서 이러한 강우특성을 반영한 저감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최대 500년을 기다려야 할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자연강우 하에서만 이들 영향인자를 수집한다면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Meyer, 1988). 그런데 강우발생장치를 사용하여 최근의 국내 강우특성과 유사한 강우를 재현할 수만 있다면, 오랜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도 도시홍수 실험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강우특성을 처음으로 연구한 사람은 Laws(1941)로서 그는 강우발생장치의 높이에 따른 입자크기 및 하강속도의 변화 양상을 연구하였다. 이후 Laws and Parsons(1943)는 강우발생장치 실험을 통해 강우강도와 입경분포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도 하였다. 자연강우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강우발생장치는 Ellison and Pomerene(1944)에 이르러서야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이 장치는 127~356 mm/h 강우강도를 재현하는 것이 가능했으나, 강우발생장치의 높이가 낮아 발생강우가 종단속도에 이르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Adams et al., 1957). 이후 Epstein and Grant(1966)는 1.3 m 직경을 갖는 물방울 형태(Drop Forming)의 강우발생장치를 7.6 m 높이에 설치하고 바닥면에 토양판을 설치하여 강우의 입경분포, 종단속도 등을 측정하였다. 이후에도 다양한 형태의 강우발생장치가 개발되었지만 강우발생장치는 자연강우 특성을 정확하게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Meyer, 1988; Wollmer, 1994; Foster et al., 2000).
비록 강우발생장치가 자연강우 특성을 정확하게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하더라도 도시홍수 실험연구에 있어서 강우발생장치는 매우 중요하다. Dunkeley(2008)과 Lascelles et al. (2000)는 강우발생장치가 원하는 강우사상의 특성을 재현하는데 유용한 도구라고 밝혔다. 강우발생장치는 자연강우와 다르게 언제든지 강우 발생이 가능한 장점 때문에 그 효용성이 높고, 강우강도 및 강우분포의 조절이 가능해 Table 1에 제시된 것과 같이 강우-유출 해석, 유사이동 특성분석, 화학물질이나 오염물질 침투, 자연재해저감 연구, 극한 강우 분석 등과 같은 실험연구를 위해 개발⋅사용되어져 왔다.
Table 1
The Main Features of the Reviewed Rainfall Simulators and the Types of the Experimental Researches
Research Area Researchers Year Dimension (m) Experimental Type
Soil Erosion Kok & Kessen 1997 18×18 Field
Yu et al. 2003 Single Nozzle Field
Ki & Kim 2008 0.3×1 Laboratory
Gilmore 2007 0.3×0.5 Field
Cerda et al. 2011 7.5×2.5 Laboratory
Prosdocimi et al. 2017 Single Nozzle Field
Agricultural Tossel et al. 1987 1×1 Field
MDA 1999 0.9×7.3 Field
Andrew 2001 1×2 Field
Humphry et al. 2002 1.5×2 Field
Kibet et al. 2014 4.5×22 Laboratory
Geomorphometry Schumm 1975 9×15 Laboratory
Luk et al. 1986 2×2.5 Field
Lee et al. 2017 1×1 Laboratory
Disaster Risk Reduction Kim et al. 2005 1×1 Laboratory
Chae et al. 2007 0.15 Diameter Laboratory
Kim S.H. 2009 0.3×1 Laboratory
Takakura et al. 2013 48×72 Laboratory
Takakura et al. 2014 48×72 Laboratory
Konishi et al. 2015 48×72 Laboratory
Rainfall-Runoff Cornelis et al. 2004 12×1.2 Laboratory
Lagos 2006 5×2 Laboratory
Aoki and Sereno 2006 0.25×0.25 Laboratory
Sheridan et al. 2008 1.5×2 Laboratory
Verbist et al. 2009 5×2 Laboratory
Sangüesa et al. 2010 2×2 Field
Abudi et al. 2012 1×1 Field
Corona et al. 2013 4×4 Field
Das et al. 2013 2.11×1.08 Laboratory
Chakravarti & Jain 2014 1.25×5 Laboratory
Jang et al. 2014 2×5 Laboratory
Extreme Event NIED 2005 48×72 Laboratory
Ryde & Hillier 2009 30×5 Laboratory
Rabiei et al. 2013 4×3 Laboratory
Lee et al. 2017 2×2 Laboratory
Simulator Design Epstein & Grant 1966 1.3 Diameter Laboratory
NIED 1974 48×72m Laboratory
Pall et al. 1983 Single Nozzle Laboratory
Miller 1986 1×3 Laboratory
Hignett 1995 0.5×1 Laboratory
Regmi & Thompson 2000 1×1 Laboratory
Esteves et al. 2000 5×10 Laboratory
Blanquies et al. 2003 1×3.56 Laboratory
Sousa & Siqueira 2011 1.5×2.0 Laboratory
Wilson et al. 2014 4.2×4.2 Field
Lee et al. 2015 12×18 Laboratory
본 연구에서는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도시홍수 및 지반재난 실험동을 건설하고 도시홍수실험동에 최대 250 mm/h의 강우강도를 재현할 수 있는 길이 30 m, 폭 30 m 그리고 높이 12 m 규모의 대형 강우발생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강우발생장치는 자연강우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대규모 회전노즐 형태의 강우발생장치로써 강우강도와 분포를 펌프압력, 노즐 회전속도, 지체시간 등으로 조절하며, 이들 모두는 강우발생장치와 함께 개발된 자동제어장치로 자동 조절된다. 자동제어장치는 프로그램으로도 제어가 가능한데, 과거 태풍이나 집중호우 등 특정한 강우사상을 미리 프로그램화 해두면, 모형실험 시 이들 강우를 자동으로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강우발생장치의 강우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입압력, 강우노즐의 회전속도, 분사 지연시간의 세 가지 인자를 변화시켜 가면서 강우강도, 강우의 공간적 분포(등분포성)를 측정한다. 더불어 강우의 시⋅공간적 분포 재현가능성과 재현범위를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강우의 공간적 균질성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강우발생장치는 자연 상태와 유사한 강우를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강우-유출 해석, 유사이동 특성분석, 화학물질이나 오염물질 침투, 자연재해 이해, 극한 강우 분석 등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강우발생장치 개발

자연 상태의 강우는 강우강도에 따라 강우의 공간적 분포와 입경분포가 달라지며, 이때 종단속도는 입경에 따라 달라진다(Hall, 1970; Mech, 1965). 강우발생장치에서 강우강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강우의 공간밀도를 조절하는 방법과 수압을 이용하여 강우량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Mutchler and Moldenhauer, 1963; Mutchler and Hermsmeier, 1965). 일반적으로 강우발생장치는 배관을 일정하게 배치하거나 크기가 같은 구멍을 일정하게 배치하여 동일한 크기의 물방울을 고르게 강수하는 물방울 형태의 강우발생장치(Foster et al., 2000; Fernandez-Galvez et al., 2008)와 압력 노즐(Nozzle)을 통해 분사하는 강우발생장치(Grierson and Oades, 1977; Moore et al., 1983; Esteves et al., 2000)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Drop Forming 강우발생장치는 등분포로 분포된 구멍을 통해 강우를 발생하는 장치로 구멍 크기와 상류부에 위치한 탱크수압으로 강우강도를 결정한다. 이 장치의 장점은 공간적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등분포 강우를 발생하는 것이 용이하고, 이동이 편리하며 물을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장치는 강우입경이나 분포를 변경하는 것이 어렵고 강우속도 또한 탱크의 높이에 제한받기 때문에 작은 규모의 실험에 한정될 수밖에 없다. 반면 압력 노즐형태의 강우발생장치는 노즐 구멍을 통해 강우를 분사하는 것으로 Drop Forming 강우발생장치에 비해 빠른 강우속도의 강우를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장치는 큰 강우강도 및 이론적으로 가능한 강우입도 분포를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여 폭우의 영향을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즐형태의 강우발생장치를 개발하였는데, 일정한 강우강도와 분포를 재현하기 위하여 노즐 하단부에 사각형 형태의 강우조절케이스(Fig. 1(a))를 설치하였다. 노즐은 부채꼴 형태로 균일하게 분사되는 KJ-V 타입의 노즐(Fig. 1(b))을 사용하였으며, 연결부에는 모터를 설치하여 노즐이 좌우로 회전(Fig. 1(c))할 수 있도록 장치를 개발하였다.
Fig. 1
Concept Diagram of Developed Rainfall Simulator and Spray Box (unit: cm)
KOSHAM_17_06_433_fig_1.gif
노즐형태의 강우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 고려해야할 점은 강우의 공간적 밀도를 결정하는 것으로써 i) 일정한 압력 조건하에서 강우의 공간적 분포를 줄이면서 강우강도를 증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우조절케이스를 설치함으로써 부채꼴 형태로 분사된 강우의 가장자리 부분은 차단하고 가운데 부분만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강우강도가 증가하더라도 강우의 공간적 분포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였다. 더불어 ii) 공간적으로 일정한 강우분포가 생성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접노즐에서 분사된 강우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종⋅횡방향으로 각각 2.5 m 간격을 두어 총 144개의 강우조절케이스를 설치하였다. 각 조절케이스 내의 강우분포가 일정하도록 각 케이스마다 2개씩 288개의 노즐(Fig. 1(d))을 설치하여 강우를 실제 강우형태와 유사하게 묘사하고 강우실험의 결과에 대한 일관성 및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케이스 형태의 강우는 대규모 강우발생장치에서 처음으로 시도되었다. 또한 iii) 강우 입경 분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노즐을 교체함으로써 강우입경크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장치를 개발하였다. 이와 함께 iv) 유입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일정수위가 유지되는 고수조를 설치하고 대형압력펌프를 연결하여 고수조로부터 강우발생장치까지 유량이 일정하게 제공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노즐형태의 강우장치는 v) 입도별 종단속도가 유지되는 높이를 가져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강우발생장비의 높이를 12 m로 개발함으로써 발생강우 입도별 종단속도가 충분히 유지되도록 하였다.

3. 실험방법 및 조건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강우발생장치의 검정을 위하여 목표 강우강도의 재현성과 강우분포의 공간적 등분포성을 검토하였다. 강우발생장치에 있어 강우강도(I)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는 유입 펌프압력(P), 노즐 회전속도(V), 강우 지체시간(D)이며, 이밖에도 노즐의 형태와 위치에 따른 급수배관의 마찰손실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마찰손실은 무시할만하다고 가정하고 실험조건에서 제외하였다. 강우발생장치의 강우강도 재현성 검증을 위하여 강우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를 Table 2와 같이 다양하게 변화시켜 가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Table 2
Experimental Conditions of the Rainfall Intensity
P (kg/cm2) V (1/160 RPM) D (sec)
0.8, 0.9, 1.0, 1.1, 1.2 2,500 0.0
1.0 500, 1,000, 1,500, 2,000, 2,500 0.0, 0.5, 1.0, 1.5, 2.0
강우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강우발생구역을 10×10 m씩 구간을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구역내 노즐에서 발생한 총강우량은 자체 제작한 강우수집장치(Fig. 2(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수집장치는 2개의 10×5 m 경사면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둘을 결합하면 면적이 100 m2인 정사각형 형태가 된다. 강우발생장치를 통해 내린 강우는 경사면을 따라 중심부로 모이게 되고 이들은 다시 유출관(Fig. 2(b))을 따라 집수통(Catchpot)으로 집수된다. Fig. 2(b)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집수통 하단에는 전자저울이 설치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유출유량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유출유량의 무게는 Eq. (1)에 의해 강우강도로 변환된다.
Fig. 2
The Runoff Measuring Facility for Calibrating the Rainfall Intensity
KOSHAM_17_06_433_fig_2.gif
(1)
I=dWdt1γ1A
여기서 I는 강우강도, dW는 무게 변화량, dt는 시간 변화량, γW는 물의 단위중량 그리고 A는 강우수집장치 면적이다.
강우분포 또한 강우강도와 마찬가지로 P, V, 그리고 D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분포의 등분포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Table 3과 같이 먼저 VD를 고정하고 P를 0.8, 1.0, 1.2 kg/cm2로 변화시켜가면서 실험을 수행하고, 실험을 통해 선정한 자연강우 특성을 잘 반영하는 P에 대해 VD를 변화시켜 가면서 강우분포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Table 3
Experimental Conditions of the Rainfall Distribution
P (kg/cm2) V (1/160 RPM) D (sec)
0.8, 1.0, 1.2 2,500 0.0
1.0 2,500 0.0, 2.0
500 0.0
강우의 등분포성은 강우의 등분포성을 검정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Eq. (2)의 등분포계수(Christiansen Coefficient of Uniformity, CuC)를 비교하였다(Christiansen, 1941).
(2)
CuC=(1i=1N|xix¯|N×x¯)
여기서 xi는 측점 i의 강우량, x̄는 평균 강우량 그리고 N은 총 측점 수이다. 등분포계수가 100%에 근접할수록 강우는 공간적으로 일정하고 강우분포가 일정하지 않을수록 균질계수는 0%에 근접하게 된다. Eq. (2)에서 알 수 있듯이 등분포계수는 강우발생장치의 분사영역이 넓어지면 작아지고 분사영역이 좁아지면 커진다. 일반적으로 등분포계수의 값이 80% 이상이면 강우분포가 일정하다고 할 수 있는데(Moazed et al., 2010; Neff, 1979), Luk et al. (1993)에 의하면 강우발생면적이 100 m2 이상인 대형 강우발생장치에 있어서 는 70% 이상만 되어도 강우분포가 일정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등분포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10×10 m 영역을 400개의 0.5×0.5 m격자로 세분하고 각 격자의 중앙지점에서 강우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Fig. 3과 같이 각 측점에 59 ml 크기의 플라스틱 컵을 고정 배치하고 10분간 강우를 발생시킨 후 컵에 담긴 물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Fig. 3
The Runoff Measuring for Calibrating the Rainfall Distribution
KOSHAM_17_06_433_fig_3.gif

4. 강우강도 및 강우분포 검정 결과

P에 따른 I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P를 0.8 kg/cm2에서 1.2 kg/cm2까지 0.1 kg/cm2씩 증가시키면서 I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Fig. 4에 도시하였다. Fig. 4에서 I는 Eq. (1)과 같이 집수통의 무게가 일정하게 증가하는 구간의 기울기 값으로 구하였다. 분석결과, P가 증가하면 이에 비례하여 I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P가 0.8 kg/cm2일 때 가장 작게 나타나며, 이 값을 제외하면 P가 0.1 kg/cm2씩 증가할 때마다I는 약 7 mm/h씩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Fig. 4를 이용하면 목표 강우강도를 재현하기 위한 적정 P를 결정할 수 있다.
Fig. 4
Comparisons of P and I in which I is Increasing with P
KOSHAM_17_06_433_fig_4.gif
VD에 대한I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P를 1.0 kg/cm2 로 고정하고 VD를 변화시켜 가면서I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Fig. 5에 도시하였다. IVD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V가 증가할수록 I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또한 증가할수록I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I는 165.8 mm/h로 V=500 (1/600 RPM), D=0.0sec 조건에서 측정되었으며, 최소 I는 37.7 mm/h로V=2,500 (1/600 RPM), D=2.0 sec에서 측정되었다. 실험결과IV보다 D의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V의 변화에 따른I의 평균변화량은 8.3%로 측정되었으며, D의 변화에 따른 I의 평균변화량은 35.1%로 측정되었다. 즉, D는 강우가 분사되는 것을 직접적으로 차단하는 시간으로 강우강도를 조절하는데 있어 유용한 조절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Fig. 5
Comparisons of V and I in which I is Decreasing with V
KOSHAM_17_06_433_fig_5.gif
P의 변화에 따른 강우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P를 변화시켜가면서 I의 공간적분포를 측정하고 이를 Fig. 6에 도시하였다. P가 0.8 kg/cm2에서는 지점별 최대, 최소 I가 각각 304.3 mm/hr, I가 20.0 mm/hr로 나타났으며, CuC 값도 71.0%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P가 1.0 kg/cm2, 1.2 kg/cm2로 증가할수록 강우분포는 보다 일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CuC 값도 각각 77.1%와 78.1%로 상대적으로 P가 0.8 kg/cm2인 경우 보다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연강우와 유사하게 일정한 강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최소한 0.9 kg/cm2 이상의 P가 요구된다. 즉, 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강우가 노즐 인근에 집중하여 분사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P가 증가하면 노즐의 분사 범위도 증가하며 강우분포가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6
Distribution of Rainfall Intensities and Christiansen Coefficient of Uniformity for the Nozzle Configurations
KOSHAM_17_06_433_fig_6.gif
VD변화에 대한 I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기 위하여 P를 1.0 kg/cm2로 유지하면서 VD를 변화시켜 가면서 강우분포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Fig. 7에 도시하였다. D가 2.0 sec로 가장 커 분사가 가장 작은 즉, 강우량이 가장 작은 경우에 CuC 값이 83.0%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V가 500 (1/600 RPM)으로 분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즉 강우량이 가장 많은 경우에 CuC 값이 75.8%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노즐의 분사량이 많아질수록 즉, 강우량이 많아질수록 강우분포는 불균질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장시간 강우를 발생할 경우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Fig. 7
Distribution of Rainfall Intensities and Christiansen Coefficient of Uniformity for the Nozzle Configurations
KOSHAM_17_06_433_fig_7.gif

5. 결론

본 연구에서는 강우와 홍수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재난안전 실험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최대 250 mm/hr의 강우강도를 재현할 수 있는 길이 30 m, 폭 30 m 그리고 높이 12 m의 대형 강우발생장치를 개발하였다. 강우발생장치는 강우-유출, 토양 침식 및 손실, 토사 이송, 침투, 지표 오염 확산 등의 수리⋅수문 분야뿐만 아니라 기상, 농업, 생태 등 다양한 분야에 있어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장비이다. 따라서, 구축된 강우발생장치가 실제 강우와 얼마나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는지를 검정하는 것은 본격적인 실험에 앞서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중요한 절차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강우발생장치의 강우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입 펌프압력, 노즐 회전속도, 분사 지연시간의 세 가지 인자를 변화시켜 가면서 강우강도의 재현성과 강우의 등분포성을 검정하였다. 검정 결과, 강우발생장치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입압력이 적어도 0.9 kg/cm2 이상은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또한 유입 펌프압력과 강우강도는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우분포의 경우 강우의 등분포성을 나타내는 CuC 값이 75.8~83.0%로 나타나 강우발생장치의 공간적 강우분포는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강우발생장치는 자연상태의 강우강도와 강우분포를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지역 홍수유출로 인한 침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침투⋅배수시설 및 저류지 설계나 사전검증을 위한 실증실험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Adams, J.E, Kirkham, D, and Neilsen, P.P (1957) A Portable Infiltrometer and Physical Assessment of Soil in Place. Soil Science Society American Process, Vol. 21, pp. 473-477. 10.2136/sssaj1957.03615995002100050004x.
crossref
Christiansen, J.E (1941) The Uniformity of Application of Water by Sprinkler System. Agricultural Engineering, Vol. 22, pp. 89-92.
crossref
Ellison, W.D, and Pomerene, W.H (1944) A Rainfall Applicator. Agricultural Engineering, Vol. 25, pp. 220.
crossref
Epstein, E, and Grant, W.J (1966) Design, Construction and Calibration of A Laboratory Rainfall Simulator. Maine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Technical Bulletin 22.
crossref
Esteves, M, Planchon, O, Lapetite, J.M, Silvera, N, and Cadet, P (2000) The 'EMIRE'Large Rainfall Simulator: Design and Field Testing. Earth Surface Process and Landforms, Vol. 25, pp. 681-690. 10.1002/1096-9837(200007)25:7<681::AID-ESP124>3.0.CO;2-8.
crossref
Fernandez-Galvez, J, Barahona, E, and Mingorance, M.D (2008) Measurement of Infiltration in Small Field Plots by A Portable Rainfall Simulator: Application to Trace-element Mobility. Water Air Soil Poll, Vol. 191, No. 1-4, pp. 257-264. 10.1007/s11270-008-9622-2.
crossref
Foster, I.D.L, Fullen, M.A, Brandsma, R.T, and Chapman, A.S (2000) Drip-screen Rainfall Simulators for Hydro- and Pedogeomorphological Research: the Coventry Experience. Earth Surface Process and Landforms, Vol. 25, No. 7, pp. 691-707. 10.1002/1096-9837(200007)25:7<691::AID-ESP125>3.0.CO;2-4.
crossref
Grierson, I.T, and Oades, J.M (1977) A Rainfall Simulator for Field Studies of Run-off and Soil Erosion. Journal of Agricultural Engineering Research, Vol. 22, No. 1, pp. 37-44. 10.1016/0021-8634(77)90091-9.
crossref
Grismer, M.E (2011). Rainfall Simulation Studies: A Review of Designs, Performance and Erosion Measurement Variability. Draft Report as of March 4.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CA.
crossref
Hall, M.J (1970) A Critique of Methods of Simulating Rainfall.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6, No. 4, pp. 1104-1114. 10.1029/WR006i004p01104.
crossref
Laws, J.O (1941) Measurements of Fall-Velocity of Water- Drops And Raindrops. Transactions of American Geophysics Union, Vol. 22, No. 3, pp. 709-721. 10.1029/TR022i003p00709.
crossref pdf
Laws, J.O, and Parsons, D.A (1943) The Relation of Raindrop-size to Intensity. Transaction of American Geophysics Union, Vol. 24, No. 2, pp. 452-459. 10.1029/TR024i002p00452.
crossref pdf
Luk, S.H, Abrahams, A.D, and Parsons, A.J (1993) Sediment Sources and Sediment Transport by Rill Flow and Interrill Flow on A Semi-arid Piedmont Slope, Southern Arizona. Catena, Vol. 20, No. 1-2, pp. 93-111. 10.1016/0341-8162(93)90031-J.
crossref
Mech, S.J (1965) Limitations of Simulated Rainfall as Research Tool.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Agricultural Engineering, Vol. 8, No. 1, pp. 66-75. 10.13031/2013.40427.
crossref
Meyer, L.D (1988). Rainfall Simulation for Soil Conservations Research. Soil Erosion Research Methods. In: Lal R, ed. Soil & Water Conservation Society, Ankeny, IA.
crossref
Moazed, H, Bavi, A, Boroomand-Nasab, S, Naseri, A, and Albaji, M (2010) Effects of Climatic and Hydraulic Parameters on Water Uniformity Coefficient in Solid Set Systems. Journal of Applied Sciences, Vol. 10, No. 16, pp. 1792-1796. 10.3923/jas.2010.1792.1796.
crossref
Moore, I.D, Hirschi, M.C, and Barfield, B.J (1983) Kentucky Rainfall Simulator.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Agricultural Engineering, Vol. 26, No. 4, pp. 1085-1089. 10.13031/2013.34081.
crossref
Morishita, T (1981) A Development of the Fuel Atomizing Device Utilizing High Rotational Speed. International Gas Turbine Conference and Products Show.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81-GT-180. 10.1115/81-GT-180.
crossref pdf
Mutchler, C.K, and Hermsmeier, L.F (1965) A Review of Rainfall Simulator.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Agricultural Engineering, Vol. 8, No. 1, pp. 67-68. 10.13031/2013.40428.
crossref
Mutchler, C.K, and Moldenhauer, W.G (1963) Applicator for Laboratory Rainfall Simulator. Transaction of the American Society Agricultural Engineering, Vol. 6, No. 3, pp. 220-222. 10.13031/2013.40871.
crossref
Neff, E.L (1979) Why Rainfall Simulation? Proceedings of Rainfall Simulator Workshop. USDA-SEA ARM- W-10, Tucson, AZ, pp. 3-7. PMC414429.
crossref
Norster, E.R (1964). CoA-Memo-51. Cranfield College of Aeronautics, Bedford, England.
crossref
Wischmeier, W.H, and Smith, D.D (1978).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Agriculture Handbook No. 537, Science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crossref
Wollmer, S.H (1994). Effects of Multiple Use on Rainsplash Erosion and Runoff in Semiarid Rangeland. Master's Thesis.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