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1;11(4):189-200.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1.
지역별 재난관리를 위한 위험인자의 공간분포 해석: 1. 재해위험성 및 노출성 인자
박무종, 박민규, 송영석
Analysis of Spatially Distributed Risk for Regional Disaster Management: 1. Hazard and Exposure
Moo-Jong Park, Min-Kyu Park, Young-Seok Song
Abstract
In this study, rainfall, temperature and population data at 59 cities over the Korean peninsula are spatially analyzed for the assesment of hazard and exposure of the regional disaster management. The EOF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alysis for spatial distributions of rainfall and temperature is applied. Youngdong region in Gangwon province was the most hazardous area when considering rainfall and temperature. However, the exposure factor, population is relatively greater in the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In order to assess the factors causing floods, the annual maximum rainfall depth series and the annual maximum storm event series are also analyzed using the EOF analysis. The annual maximum rainfall series include 1 hour as the short duration and 24 hour as the long duration. The short duration maximum rainfall depth occurs at Jiri mountain region and it was analyzed as the reason for that phenomenon that the big intensity of the annual maximum storm event is focused around this area. The long duration maximum rainfall depth occurs at the northern area of Gyeonggi province, Yongdong region in Gangwon province and the region near the South sea. It is associated with this phenomenon that the duration characteristics of storm events have the strongest persistence at these areas.
Key Words: regional disaster management; hazard; exposure; EOF analysis; annual maximum storm event
요지
본 연구에서는 전국 59개 지점의 강우, 기온, 인구 자료를 이용하여 그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 지역별 재난관리를 위한 재해위험성과 노출성 요인을 살펴보았다.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EOF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강수량, 기온 측면에서 가장 재해위험성이 큰 지역은 강원도 영동 이었으나 이 지역은 노출성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볼 때 노출성은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주변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수해를 유발하는 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단기간 및 장기간 연최대치 강우량계열을 구축하고 연최대호우사상의 지속기간과 강도특성을 EOF 해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규모가 큰 단기간(1시간) 집중호우의 경우 내륙지역 주로 소백산맥의 지리산 주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양상을 가지고 있었다. 연최대호우사상의 강도특성에 관한 EOF 분석에서 이 지역에서 집중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장기간(24시간) 최대강우량은 우리나라 3대 다우지역인 경기북부, 강원영동, 그리고 남해안 지역에서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으며 연최대호우사상의 지속 기간 특성에 관한 EOF 분석에서 이 지역의 강우의 지속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핵심용어: 지역별 재난관리; 재해위험성; 취약성; EOF해석; 연최대호우사상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