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4;14(1):109-124.
Published online February 28, 2014.
대관령에서의 기온 급하강 사례에 대한 기상학적인 연구
이재규, 김유진
A Case Study of A Sharp Surface Temperature Drop Over the Daegwallyeong Ridge
Jae Gyoo Lee, Yu Jin Kim
Abstract
From the analysis of weather charts, satellite imagery, AWS (Automatic Weather Station) observation data, skew T-log P diagram and GDAS (Global Data Assimilation System) FNL (Final analyses) data, we could infer the reasons for the sharp drop over a short amount of time ($-15.5^{circ}C$/9 minutes) in surface temperatures at the Daegwallyeong observation station on 16 April 2013 as follows: (1) there was a continuous temperature increase near the Daegwallyeong area under the influence of the warm southwestern air current and solar radiation in the daytime. Meanwhile, there was a steady temperature decrease over the Yeongdong coastal area due to the cold-air advection form the northeast, (2) under this circumstance, the topography of the Taebaek Mountains separating the Yeongseo and Yeongdong Regions prohibited heat exchange between the Yeongseo and Yeongdong Regions to increase the temperature contrast between the two regions, and (3) as a trough moved toward Ulleung-do, the easterly flow strengthened in the gulf of Donghan and over the Yeongdong coastal area which was located behind this trough. Accordingly, the cold air damming was magnified, leading to the overflow of the cold air. Thus, the accumulated cold air moved westward over the Daegwallyeong, and the warm air staying there until this time was replaced rapidly by the cold air. Consequently, the surface temperature at the Daegwallyeong Observation station dropped sharply.
Key Words: Sharp temperature drop; Daegwallyeong; Yeongdong cosatal area; Cold-air advection; Cold air damming
요지
일기도, 위성영상, AWS 관측 자료, 단열선도, GDAS FNL 분석자료를 이용하여, 대관령 관측소에서 2013년 4월 16일에 일어난 짧은 시간동안의 극심한 기온 하강(9분 동안에 약 $15.5^{circ}C$의 기온 하강) 현상이 발생한 이유를 분석하여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서 기류의 유입과 일중 일사 가열로 영서 및 대관령에서는 지속적인 기온상승이 있는 반면에, 영동 해안지대에서는 북동쪽에서 내려 온 찬공기의 이류로 저온 현상이 일어나는 중이었으며, 둘째, 이러한 상태에서 영동과 영서지역을 분리하는 태백산맥의 지형에 의해, 영서지역과 영동지역 사이의 열 교류가 억제되어 영서지역에서는 지속적인 기온 상승내지는 유지가 이루어졌으며, 영동지역에서는 찬 공기의 이류에 따른 저온 현상이 계속 유지되어 영동과 영서지역의 기온 차이가 크게 증가하였다. 셋째,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압골이 동진하여 이 기압골이 울릉도 부근에 위치함에 따라 이 기압골의 후면에 해당하는 동한만과 영동 동해안에서는 이전 시간보다도 북동 기류가 더욱 더 강해져 영동지역에서는 찬 공기의 누적이 보다 더 강화되었으며, 이렇게 누적된 찬 공기가 북동 기류를 따라 대관령을 넘어 서쪽으로 이동하여 대관령 부근에 위치하였던 따뜻한 공기를 빠르게 대체하였기 때문에 대관령 관측소에서 짧은 시간동안에 가장 극심한 기온 하강 현상이 일어나게 되었다.
핵심용어: 기온 급하강; 대관령; 영동 해안지대; 찬 공기 이류; 찬 공기 축적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