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4;14(5):27-41.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14.
재해시 임시대피거점으로서의 학교 계획지침에 관한 연구
남지현, 황영삼, 박미진
Research on the Guidelines of School Facilities as Urban Disaster Relief Centers
Jee-hyun Nam, Young-sam Hwang, Mi-jin Park
Abstract
This research is the preliminary research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schools as urban disaster relief centers preparing for urban disaster. We investigated the disaster prevention policy of Japan and the guidelines for planning schools as shelters through reports and research papers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and national research center. The space required for an urban disaster relief center is minimized by a gradual evacuation according to refuge activities and actions. As a result, we defined a strategy to establish a disaster relief center according to the incremental stages of refuge activities: life-saving period, life-secured period, and living support period. Also, three different support-function zones (the multiple-purpose open space zone, additional temporary facility zone, multiple-purpose classroom zone) were defined in addition to the auditorium, which is the main refuge space of school. Like this, the stage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designing the school as an urban refuge and the activities could be an important clue to be able to classify the facilities demanded supporting schools as relief centers.
Key Words: Urban Disaster; Disaster Relief Centers; Refuge activities; School Facilities
요지
본 연구는 도시재해에 대비할 수 있는 대피거점으로서 학교시설을 계획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오랜 역사를 통해 재해에 대응한 기술을 쌓아온 일본의 방재 정책 및 지침개발의 현황을 살펴본다. 일본 도시방재 정책의 변화와 대피소로서 활용하는 학교시설의 지침 및 계획지표의 현황분석을 통해 재해시 임시대피거점으로서의 학교시설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로 임시대피거점의 위치선정과 정량적 소요면적 및 인원산정에 대한 방법을 고찰하였다. 대피활동과 행동을 고려한 단계적 대피계획에 따라 임시대피거점으로서의 최소한의 필요한 수요공간들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대피활동의 단계는 구급대피기, 생명확보기, 생활지원기로 시기별 필요활동들을 기반으로 필요시설을 계획할 수 있었다. 이러한 대피활동에 맞추어 강당을 중심으로 재해시 필요한 지원기능존을 효율적이고 유기적으로 계획할 수 있도록 다목적 광장존, 비상가설시설존, 다목적 교실존의 세가지로 제시하였다. 이처럼 대피활동에서 예상되는 과정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대피계획에 적합한 수요공간의 계획하고 상황에 따른 공간별 동선간의 연계성을 중시한 계획이 필요하다.
핵심용어: 도시재해; 대피거점; 대피활동; 학교시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