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연댐의 상시만수위 변경에 따른 물 공급 영향 검토

Effects on Water Supply Capacit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Normal Water Level of the Sayeon Dam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Hazard Mitig. 2018;18(7):581-58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8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9798/KOSHAM.2018.18.7.581
*Member, Senior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문장원,*orcid_icon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수석연구원
교신저자: 문장원, 정회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수석연구원(Tel: +82-31-910-0591, Fax: +82-31-910-0251, E-mail: jwmoon@kict.re.kr)
Received 2018 October 2; Revised 2018 October 8; Accepted 2018 October 16.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방안으로 사연댐 상시만수위 조정이 이루어질 경우 사연댐의 용수공급능력 부족 정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태화강 유역에 존재하는 3개 댐(사연댐, 대곡댐, 대암댐)을 연계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사연댐의 상시만수위를 EL. 52 m로 조정할 경우 사연댐 및 대곡댐에 설정된 공급계획량을 공급하기 어려우며, 사연댐, 대곡댐, 대암댐을 연계 운영함으로써 공급능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3개 댐 연계 운영을 통해 현재 설정된 공급계획량보다 16천 m3/day 증가된 공급계획량 설정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95% 공급신뢰도를 고려할 경우 28천 m3/day까지 증가가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사연댐, 대곡댐 및 대암댐 연계 운영을 통해 사연댐 운영수위 변경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물 부족 문제 해결이 가능하며,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한 방안으로 충분히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rans Abstract

In this study, the shortage of water supply due to the adjustment of the normal water level of the Sayeon Dam as a method of preserving the Bangudae Petroglyphs was quantitatively assessed. In order to solve the water supply shortage problem, three dams (Sayeon Dam, Daegok Dam, and Daeam Dam) in the Taehwa River Basin wer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t was difficult to provide the planned water supply in the Sayeon Dam and Daegok Dam if the normal operating water level of the Sayeon Dam was adjusted to an elevation of 52 m, and it was possible to solve the water supply shortage problem by operating the three dams together. It was possible to increase the planned water supply amount by 16,000 m3d compared with the present planned water supply amount by operating the three dams cooperatively, and it was possible to increase the water supply to 280,000 m3d when considering 95% water supply reliability. Therefor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three dam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water supply shortage problem by changing the normal water level of the Sayeon Dam, and it could be considered enough to preserve the Bangudae Petroglyphs.

1. 서 론

국보 제285호인 반구대 암각화는 우리나라의 선사시대(신석기 또는 청동기) 생활상 및 고대사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문화적 지표이며,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어 매우 높은 학술적 가치를 갖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반구대 암각화는 태화강의 주요 지류 중 하나인 대곡천과 접해 있으며, 높이 70 m의 암벽에 새겨져 있는 바위그림 유적을 말한다. 그러나 1965년 암각화 하류부에 울산지역의 생활 및 공업용수 공급을 위한 사연댐이 건설되어 운영됨에 따라 장기간 반복되는 침수와 노출로 인해 문화재 훼손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우리나라의 소중한 문화재인 반구대 암각화의 효율적인 보전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그 방법을 둘러싸고 많은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반구대 암각화는 홍수기를 제외한 기간에도 사연댐 저수지 수위를 어떻게 설정하여 운영하느냐에 따라 침수와 노출이 결정되는 상황이다. 사연댐 운영 시 현재의 상시만수위(EL. 60 m)로 운영할 경우 EL. 52.5 m에 위치하고 있는 반구대 암각화는 물속에 잠기게 된다. 그러므로 반구대 암각화를 보존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대안은 침수의 원인이라 할 수 있는 사연댐의 운영수위(상시만수위)를 낮추어 운영하는 방안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암각화 침수 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사연댐의 상시만수위를 암각화 침수 기준수위 이하로 낮추어 운영하는 방안은 울산지역의 생활 및 공업용수 공급 문제와 맞물려 있어 이를 문화재 보존의 대안으로 검토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연댐 상시만수위 조정에 따른 용수공급능력 변화를 정량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사연댐은 1965년 건설 이후 울산지역 생활 및 공업용수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운영되어 왔으며, 2005년 건설된 상류의 대곡댐과 연계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는 용수 공급 시설물이다. 사연댐의 운영수위 조절에 따른 영향평가는 지금까지 몇몇 연구자들(Kim et al., 2013; Lee and Cho, 2013; Chegal et al., 2014)에 의해 검토된 바 있으나, 기존 연구들은 반구대 암각화 주변 하천흐름 특성에 대한 운영수위 조절 영향과 같은 수리학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수적인 측면에 대한 검토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연댐과 대곡댐의 연계 운영 과정에서 사연댐의 상시만수위 변경이 용수공급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상시만수위 조정에 따른 용수공급능력 부족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함께 사연댐 용수공급능력 부족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사연댐-대곡댐 연계 운영뿐만 아니라 태화강 유역에 존재하는 또 하나의 용수공급댐인 대암댐을 함께 고려하여 연계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방안 마련 및 태화강 수계의 물 공급 안정성 향상을 위한 대책 수립 과정에서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연구대상지역

본 연구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방안으로 사연댐의 상시만수위를 조정할 경우 사연댐의 용수공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사연댐은 우리나라 12대 하천 중 하나인 태화강 유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1965년 건설 이후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다. 태화강 유역은 유역의 대부분이 울산광역시 지역으로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 수요가 많은 지역이며, 울산광역시의 생활 및 공업용수 수요를 공급하기 위해 사연댐, 대곡댐, 대암댐이 운영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3개 댐의 제원은 댐운영실무편람(K-water, 2011)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댐별 저수량 및 계획공급량을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Storage Information of 3 Dams

(Unit: 103m3)

사연댐 등 3개 댐의 용수공급체계를 살펴보면, 사연댐과 대곡댐이 연계 운영되고 있으며, 대곡댐은 별도의 취수시설이 운영되지 않고 하류로 물을 방류하면 사연댐에서 물을 취수하여 수요처에 공급하는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대암댐은 1969년 준공 이후 울산광역시에 공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댐운영실무편람(K-water, 2011)에 의하면 대곡댐 88,000 m3/일, 사연댐 92,000 m3/일, 대암댐 50,000 m3/일의 댐별 공급계획량을 나타내고 있다. 이외에도 울산지역의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 공급을 위해 울산광역시에서 운영 중인 회야댐이 운영되고 있으며, 낙동강 본류의 원동취수장에서 용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사연댐의 운영수위 변경에 따른 영향 검토를 목적으로 설정한 관계로 사연댐, 대곡댐 및 대암댐을 이용한 물 공급체계 구축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3. 분석방법 및 이용자료

사연댐의 상시만수위 조정에 따른 물 공급 영향 검토를 수행하기 위해 사연댐, 대곡댐, 대암댐을 이용하여 물 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한 물 공급 네트워크는 Korea 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K-WEAP)을 이용하였으며, 댐별 공급계획량을 각 댐에서 공급해야하는 수요량으로 고려하였다. 물 공급 네트워크 구축 및 물수지 분석을 위해 이용한 K-WEAP 모형은 2006년 수자원장기종합계획부터 물수지 분석을 위한 기본모형으로 이용되고 있다. K-WEAP 모형은 하천, 댐, 지하수 등 공급원과 수요처 및 광역상수도 등 유역의 물리적인 물이용 순환체계를 컴퓨터 화면 상에 구현하고 수량, 수질, 생태환경, 수요관리 및 수자원 정책 시나리오 분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통합수자원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전문 모형이다(Choi et al., 2010).

K-WEAP 모형과 댐별로 설정되어 있는 공급계획량을 이용하여 물수지 분석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통해 사연댐 상시만수위 조정에 따른 공급능력 변화를 검토하였다. 사연댐과 대곡댐의 경우 현재 연계 운영 방법을 반영하여 사연댐 및 대곡댐의 공급계획량을 사연댐에서 공급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한 사연댐 운영수위 조정에 따른 영향 검토를 위해 총 3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였으며, 사연댐 운영수위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 EL. 60 m로 적용하는 것을 첫 번째 시나리오(Scenario Ⅰ)로 고려하였다. 두 번째 시나리오(Scenario Ⅱ)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사연댐 운영수위를 EL. 52 m로 적용하고 대암댐을 연계하지 않는 경우이며, 세 번째 시나리오(Scenario Ⅲ)는 사연댐 운영수위를 EL. 52 m로 적용하고 사연댐 및 대곡댐 공급계획량과 대암댐 공급계획량에 대해 3개 댐을 연계 운영하는 방안에 해당한다. 세 가지 시나리오에 대해 물수지 분석을 수행한 후 댐별 공급계획량에 대한 공급 가능 여부를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를 이용하여 사연댐 운영수위 조정이 물 공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제시하였다. 공급 능력 평가를 위한 시간적 범위는 1981년부터 2017년까지 총 37개년이며, 일 단위 분석을 수행하였다. Fig. 1은 각각 사연댐-대곡댐 연계 운영 및 대암댐 단독 운영(Scenario Ⅰ 및 Ⅱ), 사연댐-대곡댐-대암댐 연계 운영(Scenario Ⅲ)에 대해 K-WEAP으로 구축한 물 수급 네트워크를 나타낸 것이다.

Fig. 1

Water Demand and Supply Network in Study Area

Fig. 1과 같은 물 수급 네트워크를 이용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댐별 유입량을 산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울산지점에 대한 일 강수량 등 기상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댐 상류 유역에 대한 자연유출량 산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연유출량 산정은 수자원장기종합계획(MOLIT, 2016)에서 자연유출량 산정 모형으로 이용한 바 있는 탱크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모형의 매개변수는 계획 수립 과정에서 이용된 매개변수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탱크모형을 이용한 자연유출량 산정 과정에서 잠재증발산량 산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Hargreaves and Samani (1985)에 의해 제시된 Hargreaves 공식을 이용하였다. Hargreaves 공식의 매개변수는 우리나라의 기후특성을 고려하여 제시된 Moon et al. (2013)의 연구결과를 이용하였다.

4. 분석 및 결과 검토

물수지 분석 모형인 K-WEAP 모형과 댐별 공급계획량, 자연유출량 자료를 이용하여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Scenario Ⅰ은 사연댐의 상시만수위를 EL. 60m로 고려하고 사연댐-대곡댐 연계 운영 및 대암댐 단독 운영을 고려하는 시나리오이며, Scenario Ⅱ는 Scenario Ⅰ에서 사연댐의 상시만수위만 EL. 52 m로 수정한 것으로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방안으로 사연댐 운영수위 조정 방안을 반영한 것이다. Scenario Ⅲ는 사연댐의 상시만수위를 EL. 52 m로 적용하고 사연댐-대곡댐-대암댐 연계 운영을 수행한 경우로 사연댐 운영수위 조정에 따라 예상되는 용수공급능력 부족에 대한 대책까지 고려한 경우이다. 세 가지 시나리오 모두 1981년부터 2017년까지 일 단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연도별 물 부족량을 산정한 후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Fig. 2는 세 가지 시나리오에 대해 사연댐-대곡댐 공급계획량에 대한 연도별 물 부족량을 도시하여 나타낸 것으로 Scenario Ⅰ과 Ⅲ은 물 부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Scenario Ⅱ에서만 3개년에서 물 부족이 발생하였다. Fig. 3은 세 가지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분석된 3개 댐의 저수량을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며, Fig. 4는 세 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사연댐 저수위 변동을 도시한 것이다.

Fig. 2

Annual Water Deficit for Sayeondam and Daegokdam in 3 Scenarios

Fig. 3

Reservoir Storage of 3 Dams in 3 Scenarios

Fig. 4

Reservoir Water Level of Sayeondam in 3 Scenarios

먼저 물 부족량에 대한 분석 결과, Scenario Ⅰ과 Scenario Ⅲ에서는 물 부족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Scenario Ⅱ에서는 1983년, 1996년, 1997년에서 물 부족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연댐을 상시만수위 EL. 60m로 운영할 경우, 현재의 운영 체계(사연댐-대곡댐 연계 운영, 대암댐 단독 운영)에서 공급계획량을 문제없이 공급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사연댐의 상시만수위를 조정할 경우 사연댐-대곡댐의 공급계획량 공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사연댐 상시만수위를 낮추는 경우에도 대암댐까지 연계하여 운영할 경우 사연댐, 대곡댐 및 대암댐에 설정된 공급계획량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Fig. 3의 저수량 그래프를 살펴보면, 사연댐의 상시만수위를 EL. 52 m로 조정하여 운영할 경우 EL. 60 m로 운영하는 경우에 비해 공급 가능한 물의 양이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대곡댐에서 공급하는 양이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Scenario Ⅰ에서보다 Scenario Ⅱ의 대곡댐 저수량 변동이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암댐은 댐 저수용량에 비해 공급계획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Scenario Ⅰ과 Ⅱ의 저수량 곡선을 통해 확인해볼 수 있다. 3개 댐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Scenario Ⅲ의 경우에는 Scenario Ⅱ에 비해 대곡댐과 사연댐의 용수공급량이 감소하고 대암댐의 공급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3개 댐 연계 운영을 통해 사연댐-대곡댐 공급계획량 및 대암댐의 공급계획량까지 충분히 공급 가능하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사연댐 운영수위를 조정할 경우 예상되는 물 부족 문제는 3개 댐 연계 운영을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사연댐 운영수위를 낮추는 경우에도 3개 댐 연계 운영을 통해 현재 설정되어 있는 3개 댐의 공급계획량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3개 댐 연계 운영 조건에서 사연댐-대곡댐 공급계획량이 어느 정도까지 증가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사연댐-대곡댐 공급계획량인 180천 m3/일(사연댐 92천m3/일, 대곡댐 88천 m3/일)를 1천 m3/일씩 증가시켜가면서 물 부족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를 판단하였다. 분석 결과, 사연댐-대곡댐의 공급계획량을 196천 m3/일로 설정하는 조건까지는 물 부족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197천 m3/일 조건에서는 전체 37개년 중 1개년에서 물 부족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공급계획량을 200천 m3/일로 증가시킬 경우 전체 37개년 중 2개년에서 물 부족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9천 m3/일로 증가시킬 경우에는 전체 37개년 중 4개년에서 물 부족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급계획량 196천 m3/일까지는 100% 공급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197∼199천 m3/일은 97%, 200∼208천 m3/일은 95%, 209천 m3/일 이후로는 89% 이하로 공급신뢰도가 감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사연댐의 운영수위 조정에 따른 용수공급능력 부족에 대한 대안으로 태화강유역의 3개 댐 연계 운영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적정 공급신뢰도에 따른 공급계획량 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5는 사연댐-대곡댐 공급계획량을 208천 m3/일로 고려하였을 경우에 대한 전체 수요량에 대한 연도별 물 부족량 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Fig. 6은 3개 댐 저수량을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 5

Annual Water Deficit in Water Demand Condition of 208,000m3/day

Fig. 6

Reservoir Storage of 3 Dams in Water Demand Condition of 208,000m3/day

5. 결 론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한 방안으로 여러 가지 대안이 제시되고 있으나 가장 근본적인 대안은 사연댐의 운영수위를 낮춤으로써 암각화의 침수 기간을 최소화하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울산지역의 용수공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사연댐의 운영수위 조정은 용수공급에 있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용수공급능력 저하에 따른 대책도 함께 검토함으로써 실질적인 문화재 보존 대책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한 방안으로 사연댐의 운영수위 변경이 댐의 용수공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곡댐과 연계 운영되고 있는 사연댐의 댐 운영 및 용수공급 체계를 고려하였으며, 1981∼2017년까지의 기간에 대해 일 단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해 기상청 울산지점의 강수량 등 기상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연댐, 대곡댐, 대암댐의 유입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댐별 일 단위 유입량과 용수 공급계획량을 이용하여 사연댐 운영수위 변경 전후에 대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연댐 용수공급능력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먼저 사연댐 운영수위를 현재와 같이 EL. 60 m로 고려하였을 경우에는 사연댐과 대곡댐에 설정되어 있는 용수 공급계획량을 문제없이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로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사연댐 운영수위를 EL. 52 m로 조정하여 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37개년 중 3개년에서 물 부족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연댐 공급능력 저하에 따른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태화강 유역 내 또 하나의 용수공급댐인 대암댐을 연계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사연댐-대곡댐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공급계획량과 대암댐의 공급계획량에 대해 사연댐-대곡댐-대암댐을 연계하여 공급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3개 댐 연계 운영을 수행한 결과, 사연댐의 상시만수위를 EL. 52 m로 조정하더라도 3개 댐에 설정되어 있는 공급계획량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연댐 운영수위 조정으로 인한 공급능력 저하에 대한 대안으로 3개 댐 연계 운영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3개 댐을 연계하여 운영할 경우 사연댐-대곡댐의 공급계획량을 어느 정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현재 설정된 공급계획량보다 16천 m3/일 증가하더라도 물 부족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95% 공급신뢰도를 고려할 경우 28천 m3/일까지 공급계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태화강 유역 내 반구대 암각화의 보존방안과 관련하여 다양한 대안을 설정하여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명확한 결과를 얻지는 못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암각화 침수의 근본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는 사연댐 운영수위를 변경하는 방안에 대해 댐의 물 공급 능력 관련 검토를 수행하고 정량적인 결과를 제시하였다.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사연댐의 운영수위를 변경함에 따라 예상되는 물 부족은 태화강 유역 내 3개 댐의 연계 운영을 고려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3개 댐 연계 운영 시 공급 가능한 수자원의 양 또한 현재보다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방안 마련 및 울산지역 물 공급 안정성 향상을 위한 대책 수립 과정에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요사업 “가뭄대응 중소하천 물 부족 위험도 평가 및 물 확보 기술 개발” 과제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Chegal SD, Cho H, Kang HS, Lee SO. 2014;An experimental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at Bangudae petroglyphs by changing management water level of Sa-yeon dam. J Korean Soc Hazard Mitig 14(2):277–287.
Choi SJ, Lee DR, Moon JW, Kang SK. 2010;Application of K-WEAP (Korea-integrated water resources evaluation and planning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7):625–633.
Hargreaves GH, Samani ZA. 1985;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from temperature. Applied Engineering in Agriculture 1(2):96–99.
K-water. 2011. Practical manual of dam operation
Kim H, Kim Y, Park M, Jeong S. 2013;Analysis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at Bangudae petroglyph by water level declination of Sa-yeon dam. J Korean Soc Hazard Mitig 13(4):235–243.
Lee SH, Cho HJ. 2013;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change due to water level control of Sayeon da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11):1069–1078.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3rd Update (2001~2020)
Moon JW, Jung CG, Lee DR. 2013;Parameter regionalization of hargreaves equation based on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in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9):933–946.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Water Demand and Supply Network in Study Area

Fig. 2

Annual Water Deficit for Sayeondam and Daegokdam in 3 Scenarios

Fig. 3

Reservoir Storage of 3 Dams in 3 Scenarios

Fig. 4

Reservoir Water Level of Sayeondam in 3 Scenarios

Fig. 5

Annual Water Deficit in Water Demand Condition of 208,000m3/day

Fig. 6

Reservoir Storage of 3 Dams in Water Demand Condition of 208,000m3/day

Table 1

Storage Information of 3 Dams

(Unit: 103m3)

Watershed Dam Total storage Effective storage Dead Storage Daily Water Supply
Taewha river Sayeon 25,000 20,000 5,000 92
Daegok 28,500 27,800 700 88
Daeam 9,500 5,000 4,500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