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7(2); 2017 > Article
USN 기반 저수지(필댐) 붕괴 예보 기준 연구

Abstract

It is very difficult to plan the effective measure for disaster prevention in advance, because the present monitoring work using sensors for infrastructures in Korea are confined to just accumulating data only. The technical specifications of monitoring system on reservoirs(Fill Dam) are described which are specialized in Korea reservoir(Fill Dam) failure mode, and also, monitoring criteria for early warning system against to reservoir(Fill Dam) failure are studied in order to expend the application of accumulated data and introduce the Ubiquitous Sensing Network to the present monitoring work.

요지

최근까지 저수지 등 국가 인프라 시설에 관한 재해예방을 위한 계측사업의 경우, 아직도 단순 DB구축에 그치고 있어 선제적인 재해예방을 위한 효율적 대안수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재해예방계측사업의 성과를 활용하고, 최신의 ICT 기술 기반인 Ubiquitous Sensing Network 개념의 재해예방사업 기술의 도약을 꾀하고자, 국내 저수지(Fill Dam) 붕괴예방에 최적화된 계측센서 표준과 이를 통한 조기 예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관리기준 정립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저수지(Fill Dam)의 재해 예보 관리기준을 정립함으로써 선제적 저수지 재해예방 서비스 구축을 위한 관리기반 기술 표준안을 수립하였다.

1. 서론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기후변동성의 증대와 관련기반시설물의 노후화로 인해 재해 발생빈도와 강도가 증대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가 차원에서의 수자원 전망 및 수자원 관리의 전략수립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국내의 경우 경제, 사회적 여건의 빠른 변화로 인해 수원공 인근 생태계, 인간 주거환경, 인간보건 등에 관한 자연재해 영향이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국내 자연재해 예측 및 예방기술 개발 분야는 ICT 인프라를 활용한 적극적인 연구개발 및 사업화로 관련분야의 국제적 기술선도를 이끌고 있다. 그러나, 예산의 한정에 따른 도심, 인명중심의 방재사업의 추진으로 인해 오랫동안 하천중심의 방재 연구와 사업에 집중되어 왔다. 이 또한, 사후 복구 중심의 토목사업 위주이며, 현 재해예방계측사업 또한 개보수 사업으로 연계되어 결국 토목사업으로 귀결되고 있다.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상시 관리의 필요성은 공감을 하고 있으나 이를 위한 전문가 부족과, 단순 모니터링에 그치는 문제는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이다(Rural Research Institute, 2015;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5; Kim et al., 2015).
따라서 이제 국내외 자연재해 예측 및 예방기술 개발 분야에서 기존 사업의 문제점 개선과 기술고도화 및 적용성 확대를 위하여, 과거 하천재해 관리 중심에서 벗어나 도심침수, 급경사지 붕괴, 저수지(댐) 붕괴 등 재해양상의 다양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사후 복구 중심의 토목사업에서 예방 및 선제적 대비 체계로 관련사업의 전환이 필요하다(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9; Baek et al., 2010; Jeollanam-do Provincial Office Education Center, 2016). 또한, ICT 인프라를 활용한 단순모니터링을 확대하여 관제시스템화해서 실질적 피해최소화로 이끌어 내야 한다.
본 연구는 최근에 잦은 붕괴 및 기능상실로 인해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인명과 재산 피해를 유발하는 저수지(댐)에 관한 u-IT 기술을 고려한 자연재해 예측 및 예방기술 개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조명하고, 관련 핵심기술인 한국형 저수지(댐) 파괴모드를 고려한 센서의 표준안을 마련하며, 나아가 예보를 위한 센싱 기준을 수립하고자 한다(Fig. 1). 이를 통해 차세대 관련사업의 기술 개발의 방향을 제고 하고, 비구조적인 재행예방 계측사업의 성과 확대를 통하여 정부의 한정된 예산의 효율적 집행에 기여하고자 한다.
Fig. 1
Failures of Sandae & Gyeiyeon Reservoir
KOSHAM_17_02_145_fig_1.gif

2. USN 기반 저수지(댐) 붕괴 예보 서비스 구축

저수지(댐)으로 대표되는 수공구조물 뿐만 아니라, 기반시설물 모두에 관한 정기 점검(진단)외 붕괴 및 기능상실에 관한 상시 관리의 필요성은 관련 민관기관이 동감하고 있다. 그러나 관리 예산 부족과 관리 인력의 전문성 부족 문제는 여전히 상존하고 있으며, 최근의 현 정부의 재해예방 3.0 노력에 따라 ICT 기술을 활용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관리 업무 효율향상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명중시 최우선 정책에 따른 재해예방사업은 도심에서 떨어진 수원공의 경우 아직까지도 재해예방 사업에 있어 사각지대에 있다.
더불어, 최근의 기후변동성 및 시설노후화 급증과 귀농 및 녹색산업의 붐에 따른 수원공 인근의 도심화에 따른 저수지(댐)의 재해위험은 나날이 커져가고 있다.
국내 저수지(댐)의 기존 재해예방예측을 위한 사업으로 시행되고 있는 재해예방 계측사업은 단순 모니터링 위주의 상시 관리와 이를 통한 정기적 개보수로 이어지고 있어, 실질적인 재해예방 및 예측으로 피해최소화를 이끌어내기에는 그 실효성이 매우 떨어지는 실정이다. 이에 붕괴 및 기능상실 전조 징후를 감지하고, 적정대응을 위한 관제시스템과 피해 최소화를 위한 예보 서비스로 구성된 Ubiquitous Sensing Network 기반의 통합 재해예방예측 및 예보 서비스 사업이 필요하다.
USN 저수지(댐) 붕괴 예보 서비스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실질적 현장 붕괴 전조와 직결된 첨단 센싱 기술 활용, 대응 활동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용 관제 시스템 개발 및 최종 예보 서비스화로 피해최소화 연계 필요

  • 계측사업의 전형적인 문제점인 유용기간내 잦은 망실, 예산의 한도에 따른 계측 밀도의 효용성, 유지관리 비용의 증대 등 해결을 위한 첨단 센싱 기술 활용

  • 유용기간내 안정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단순화 및 확장성 확보

  • 전국 위험 저수지(댐) 확대적용을 위한 전문기관(한국농어촌공사+한국수자원공사+농림축산식품부+국토교통부+국민안전처)간 관련 시스템을 연계할 수 있는 Hot-Line 완보

본 연구 USN 기반의 붕괴 예보 시스템의 구조는 Fig. 2와 같다. 즉, 유선 타입 센서에서 로거로 자료가 전달되고 이는 다시 관리 시스템으로 연계되고 관리시스템에 탑재된 관리기준에 따라 최종 예보서비스화 된다.
Fig. 2
Forecasting and Warning Service System of Reservoir Failure
KOSHAM_17_02_145_fig_2.gif
실제 기관별 연계내용으로는 Fig. 3과 같이 각 현장에서 수집된 자료는 지사(지자체)로 전송되고, 이는 다시 본사(국민안전처)로 연계되어 대국민서비스화 된다.
Fig. 3
Structure of the System
KOSHAM_17_02_145_fig_3.gif

3. 저수지(댐) 파괴모드를 고려한 센서 표준안

3.1 국내 저수지(필댐) 붕괴 예보 센서 표준안

저수지(필댐) 재해예방예측을 위한 붕괴 징후 인지 및 주민 비상대응을 위해 사용되는 센서는 종류도 다양하며, 각 종류별 제품은 국내외에서 많은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국내 저수지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농업용 저수지의 특징으로는 잦은 수위변화와 60년 이상의 노후화 및 대다수 차수를 위한 코아존이 없는 일체형 등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한국형 저수지(필댐)의 주요 붕괴 요인은 외적으로 기후변동성의 증대에 따른 집중호우와 내적으로 시설 노후화를 들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붕괴 형태는 집중호우에 의한 제체 월류, 내부침식(누수 및 파이핑)에 따른 저수지 붕괴이다(Table 1).
Table 1
Causes-Sensors-Goal
Causes of Failure Sensors Goal
Over Topping Rain Fall Sensor Rain Fall in the Catchment Area
Water Level Meter Storage Capacity
 Internal Erosion Over Topping   Ground Displacement Sensor   Sliding at Upstream and Downstream Slope 
Internal Erosion Ground Water Level Meter Stability of Dam Body (Change of Seepage)
Leak Gauge Stability of Dam Body (Change of Seepage)
Earthquake Accelerometer Displacement of Dam Body
etc. CCTV etc. Visual Monitoring
따라서, 저수지 붕괴 예보 기준을 위한 주요 센서는 현실적인 붕괴 원인을 사전에 계측을 통해 붕괴징후 물리량 파악에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Fig. 4).
Fig. 4
Example of Installed Location
KOSHAM_17_02_145_fig_4.gif
적용센서로는 저수지(필댐)의 침투수 수위변화 및 지중 안정성 파악을 위한 지하수위계, 제정(Dam Crest) 월류 사전 감지를 위한 수위계, 침투수의 수량변화를 통한 안정성 예측을 위한 누수량계, 저수지 상류 및 하류 사면의 지표면 변위를 측정하는 지표변위계, 저수지(필댐) 유역(Catchment Area)의 강우량 파악을 위한 강우량계 및 지진에 관한 지진가속도계를 선정하였다.
또한, 저수지 현장 상황을 실시간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CCTV 등 비주얼 센서의 추가도 고려될 수 있다(Table 2).
Table 2
Selected Sensors
Sensor Photo
Rain Fall Sensor KOSHAM_17_02_145_fig_5.gif
Water Level Meter KOSHAM_17_02_145_fig_6.gif
Ground Displacement Sensor KOSHAM_17_02_145_fig_7.gif
Ground Water Level Meter KOSHAM_17_02_145_fig_8.gif
Leak Gauge KOSHAM_17_02_145_fig_9.gif
Accelerometer KOSHAM_17_02_145_fig_10.gif

4. 계측기기별 예보 기준 결정

4.1 강수량에 의한 예보 관리기준

강수량에 의한 예보 기준은 기상청의 호우특보 기준으로 사용되는 것을 기반으로 다양한 풍수해 재해 유형에 사용하고 있다. 하천 홍수, 내수침수, 산사태 및 급경사지 등의 분야에서 예보 기준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정량적이며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과 더불어 광역으로 넓은 지역에 발령하는 관계로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국민안전처는 강수량을 기준으로 급경사지 붕괴 주민대피 예⋅경보 권고기준을 작성하여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제공하였다(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5). 강우조건 및 지질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급경사지 및 산사태의 붕괴특성을 분석하여 주민대피 관리기준을 설정하였으며, 강수량에 따른 산사태 선행연구에서 붕괴 발생시점을 기준으로 강우강도와 누적강우량이 붕괴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고려하였다(홍문현 외 2016). 붕괴사례에서 수집된 강수 자료를 활용하여 권역별, 지질별로 구분하여 붕괴시점으로부터 15분 최대강우량, 시간 최대강우량, 일 누적강우량, 2일 누적강우량에 대해서 주의보(확률 10%), 경보(확률 30%) 및 대피기준(확률 50%)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발생사례분석에서 도출된 서울⋅경기권 피해지역의 주민대피 예⋅경보 권고기준(안)을 제시하였다(Table 3).
Table 3
Early Warning Criteria for Resident Evacuation at Damaged Area in Seoul & Kyonggi (MPSS, 2016)
Phases Rain Fall
15min Rain Fall(mm) 1hr Rain Fall(mm) 1day Rain Fall(mm) 2days Rain Fall(mm)
Seoul Kyonggi Gapyeong Icheon Namyangju Yeoju Seoul Kyonggi Gapyeong Icheon Namyangju Yeoju Seoul Kyonggi Gapyeong Icheon Namyangju Yeoju Seoul Kyonggi Gapyeong Icheon Namyangju Yeoju
Prepare Attention Blue 11 10 5 11 5 22 20 8 21 9 59 71 19 75 23 80 102 39 107 44
caution Yellow 15 15 7 15 7 32 29 12 30 13 84 101 27 107 33 114 146 56 153 63
Response Alert Orange 21 21 19 21 19 57 54 40 56 41 184 186 119 191 124 228 240 133 248 141
Serious Red 25 25 24 25 24 66 69 60 69 61 252 249 199 252 203 281 279 266 280 267
서울시는 산사태 피해사례를 유발 및 비유발 강수량으로 분석하여 산사태 유발 기준을 도출하였으며, 산사태 비유발 강수량에 대한 유발 강수량의 확률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하여 기준을 설정하였다(Fig. 5).
Fig. 5
Landslide-Triggering Rain Fall Criteria(Seoul, 2016)
KOSHAM_17_02_145_fig_11.gif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강수량에 의한 저수지 예보 기준은 풍수해 대응 표준매뉴얼을 기반으로 저수지 시설에 적용하였다(재난안전법, 2016). 기상청은 전국에 강수량계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나 수가 적고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저수지 위치에서 발생하는 정확한 강수량 측정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상청 강수량 자료와 저수지 현장의 강수량의 측정값은 크게 차이가 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자 저수지 현장에 강수량계를 설치하여 극한강우 및 이상강우를 측정함으로서 정확한 저수지 붕괴 예보 관리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강수량계에 의한 예보 관리기준 설정은 기상청의 태풍 주의보, 경보 및 호우주의보, 호우경보 강수량(호우주의보 6시간 70mm, 12시간 110mm, 호우경보 6시간 110mm, 12시간 180mm)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관심단계는 태풍⋅호우 빈발시기로 하였고, 주의 및 경계단계는 태풍호우 주의보 및 경보 발령과 저수지에 붕괴징후가 나타나는 경우로 설정하였다. 심각단계는 저수지의 가능최대강수량(PMP)의 발생되고 저수지 붕괴 징후가 발생하였거나 징후가 확실한 때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등 저수지 제체에서 발견될 수 있는 저수지 붕괴 징후를 인지할 경우에 대한 정성적인 판단 기준도 반영하여 종합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저수지 예보 관리기준을 정립하였다(Table 4).
Table 4
Early-Warning Criteria of Rain Fall
Phase Criteria
Attention (Blue) ○Frequent occurrence of Typhoon⋅Heavy Rain ○Occurrence of damaging Typhoon
Caution (Yellow) ○After preliminary announcement & caution announcement of Typhoon⋅Heavy Rain, and then, signs of collapse showd ○Rain Fall caution announcement of 6hrs & over 70mm, or 12hrs & over 110mm
Alert (Orange) ○After alert announcement of Typhoon⋅Heavy Rain, or, occurrence of PMP and then, strong signs of collapse showd ○Rain Fall alert announcement of 6hrs & over 110mm, or 12hrs & over 180mm
Serious (Red) ○After alert announcement of Typhoon⋅Heavy Rain, or, occurrence of PMP and then, clear signs of collapse showd or already happened

4.2 수위계에 의한 예보 관리기준

국내 저수지(필댐)의 주요 파괴시나리오 중 하나인 제체 월류 파괴에 관해서, 저수지(필댐) 수위측정은 가장 직접적으로 저수지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저수지(필댐) 월류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저수지(필댐) 유역면적, 여유고 등을 고려해야 하나, 본 예보관리 기준에서는 설치된 수위계에 국한하여, 설계시 만수위 및 홍수위까지 도달 여부와 제당의 월류 발생 여부를 기준으로 설정한다.
저수지(필댐) 만수위는 용수공급 등 이수용량의 최고 수위로 정상적인 저수지 운영을 할 수 있는 저수용량의 상한선이며, 홍수위는 200년 설계빈도 등의 홍수가 유입되는 경우에 방수로에 의한 방류 결과 저수지에서 발생하는 최고수위로 정의된다. 저수지 수위에 의한 관리기준 설정은 정상적인 저수지 운영의 최고수위인 만수위 이상으로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관심단계 및 설계빈도에서 설정한 홍수가 유입되는 경우 발생하는 최고수위인 홍수위 이상으로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를 심각단계로 고려하였다. 관심단계는 수위가 정상적인 저수지 운영이 가능한 최고수위인 만수위 이상으로 상승할 때를 저수지 수위가 정상 수준을 넘어서는 상황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설정하였으며, 주의단계는 저수지 만수위와 홍수위 수위차의 1/3(33%) 이상 수위가 상승할 때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경계단계는 저수지 만수위와 홍수위 수위차의 2/3(66%) 이상 수위가 상승할 때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심각단계는 저수지 수위가 홍수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를 저수지 수위가 한계수위 이상으로 상승하여 제당의 붕괴 위험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수위가 홍수위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거나 저수지에서 월류가 발생 또는 월류 발생이 확실한 경우를 관리기준으로 설정하였다(Table 5).
Table 5
Early-Warning Criteria of Water Level
Phase Criteria
Attention (Blue) ○Water level continues to rise over full water level
Caution (Yellow) ○Water level to rise over 1/3(33%) of the difference between full water level and flood water level
Alert (Orange) ○Water level to rise over 2/3(66%) of the difference between full water level and flood water level
Serious (Red) ○Water level continues to rise over flood water level and, clear signs of overtopping showd or already happened

4.3 누수량계에 의한 예보 관리기준

저수지(필댐)의 다른 주요 파괴 시나리오로는 제체의 파이핑과 같은 내부침식에 따른 파괴이다. 이러한 내부침식의 경우 제체 누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저수지(필댐)의 허용 누수량은 저수지의 형식 및 용도, 축조재료의 특성과 다짐방법, 기반암의 지질특성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기준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누수량의 경시변화 분석을 통한 지속적으로 누수량이 증가하는 경우 및 누수량의 탁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저수지 내부에서 파이핑 및 열화가 시작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저수위가 일정한 경우 누수량 변화가 1개월간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는 누수량의 허용한계를 넘는 것으로 토지개량사업 계획설계기준(농림부, 1968)에서 제시하고 있다.
저수지는 축조시 공사 주변의 토석을 이용하여 건설되어 토질특성이 다양하며 다짐정도에 따라 투수계수도 다양한 특성이 있다. 또한, 저수지 규모에 따라 저수지 수위도 다양하여 만수위 등 고정 수위를 기준으로 한 정상 침투수량을 저수지 누수량의 관리기준으로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현장 적용상 한계가 있다(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16). 저수지의 저수위, 만수위 등 수위변화에 따른 정상 침투수량을 측정하여 기준값을 정하고, 저수지의 수위가 변화하여도 일정한 수위에서 발생하는 침투수량이 기준값을 초과하여 발생할 때를 관리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누수량계에 의한 관리기준을 관심단계는 저수지의 일정수위에서 정상 침투수량을 초과하는 누수량 발생시로 설정하여 정상 침투수량을 넘는 경우 관심을 갖고 저수지를 관리하도록 하였으며, 주의단계는 저수지의 누수량 허용한계인 1개월 간 10% 이상 증가하는 것을 기준으로 그 절반인 5% 이상 침투수량의 증가하는 경우로 판단하였다. 경계단계는 위험이 임박한 단계로서 저수지의 일정 수위에서 1개월 간 정상 침투수량의 10% 이상 누수량 증가 시로 결정하였으며, 심각단계는 주민대피 단계로서 저수지의 일정 수위에서 1개월 간 정상 침투수량의 15% 이상 누수량 증가시로 기준을 설정하였다(Table 6).
Table 6
Early-Warning Criteria of Leak Gauge
Phase Criteria
Attention (Blue) ○Occurrence of Leakage which exceed the normal seepage at a certain water level
Caution (Yellow) ○Occurrence of Leakage which exceed 5(% /month) of the normal seepage at a certain water level
Alert (Orange) ○Occurrence of Leakage which exceed 10(% /month) of the normal seepage at a certain water level
Serious (Red) ○Occurrence of Leakage which exceed 15(% /month) of the normal seepage at a certain water level

4.4 지표변위계에 의한 예보 관리기준

지표변위계에 의한 기준 설정은 일반적 파괴모델의 변곡점을 기준으로 관심, 주의, 경계, 심각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의 변위속도를 분석하여 지표변위에 대한 예보 기준을 설정하였다. 계측사례의 변위속도 및 최대변위량을 분석하여 기준을 산정한 결과, 관심단계 누적변위는 14mm, 변위속도는 1mm/일, 주의(주의보)단계 누적변위는 36mm, 변위속도는 6mm/일, 경계(경보)단계 누적변위는 90mm, 변위속도는 26mm/일, 심각(대피)단계 누적변위는 209mm, 변위속도는 63mm/일로 나타났다.
지표변위에 의한 예보 기준은 국내⋅외 기관에서 기준치로 이미 사용하고 있으며 Table 7은 일본 사면안정소위원회의 자료이며 Table 8은 중국 지질조사소의 자료이다. 국내 저수지(필댐)의 지표변위계에 의한 예보 기준은 저수지 제체를 토석으로 축조된 하나의 구조물인 성토사면으로 판단하여 Table 9와 같이 2015년 소방방재청에서 제시한 값을 따르도록 설정하였다. 제시한 변위기준은 사례자료 및 현장 데이터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향후, 추가조사 및 수치해석 등을 통하여 신뢰도를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
Table 7
Early-Warning Criteria of Ground Displacement Sensor (Commission of Slope Stability in Japan, 1996)
Phase Sensor Caution of Survey or Intensive Review Review of Measure Alert ⋅Emergency Measure Tight Alert ⋅Temporary Evacuation
Shrinkage Sensor Displacement Rate over 5mm /30days 5~50mm /5days 10~100mm /day over 100mm /day
Under ground Shrinkage
Electro Optical Distance Meter
Table 8
Early-Warning Criteria of Landslides (Office of Geological Survey in China, 2010)
Early warning level Color Monitoring value
Ground Displacement (mm/month) Deep displacement (mm/month) Porewater pressure (kPa/month) Ground strain (με/month)
I level Blue <10.0 <1.0 <10.0 50
II level Yellow 10.0 ~ 30.0 1.0 ~ 15.0 10.0 ~ 50.0 50.0 ~ 100.0
III level Orange 30.0 ~ 300.0 15.0 ~ 150.0 50.0 ~ 100.0 100.0 ~ 150.0
IV level Red >300.0 >150.0 >100.0 >150.0
Table 9
Early-Warning Criteria of Ground Displacement Sensor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in Korea, 2015)
Phase Criteria
Cumulative Displacement(mm) Displacement Rate(mm/day)
Attention (Blue) 14 1
Caution (Yellow) 36 6
Alert (Orange) 90 26
Serious (Red) 209 63

4.5 지하수위계에 의한 예보 관리기준

절⋅성토사면 및 토류벽 구조물에서 지하수위는 구조물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안정해석을 수행하는 경우 지하수위가 없는 건조한 사면과 비교하여 지표면 높이까지 지하수위가 위치하는 경우 수압이 높아져 안전율은 약 50%까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저수지와 같은 구조물의 지하수위
변화는 저수지의 붕괴 징후를 감지하는 관리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하수위계에 의한 예보 관리기준은 흙막이 가시설에도 지하수위의 변동을 모니터링 하여 위험을 미연에 감지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Table 10). 지하수위계 관리기준을 분석한 결과, 1일 수위변화량이 저수지 높이의 15% 이상일 때 매우 위험한 단계인 것으로 판단되어 심각단계의 관리기준으로 설정하였고 수위 변화량 기준을 점차 감소 시켜 단계별로 지하수위계에 대한 예보기준으로 설정하였다(Table 11).
Table 10
Early Warning Criteria of Ground Water Level Meter at Earth Retaining Wall
Phase Caution Alert Danger
Bundang Line Subway the 4thSite Over 1m/week
Suwon ~ Incheon Subway the 1stSite H≤0.1m 0.1m≤H≤0.3m H≥0.3m H = Change of Water Level /day
Facilities at Airport H≤0.5m 0.5m≤H≤1.0m H≥1.0m
Table 11
Early Warning Criteria of Ground Water Level Meter
Phase Criteria
Attention (Blue) ○Change of Ground Water Level(H/day) exceed normal seepage at inland
Caution (Yellow) ○Change of Ground Water Level(H/day) exceed 5% of Dam Height at inland
Alert (Orange) ○Change of Ground Water Level(H/day) exceed 10% of Dam Height at inland
Serious (Red) ○Change of Ground Water Level(H/day) exceed 15% of Dam Height at inland

4.6 지진가속도계에 의한 예보 관리기준

지진가속도계에 의한 저수지 붕괴 예보 기준은 기상청의 관측 진도값에 따른 규모와 진도 관계의 피해현상을 기준으로 예보 관리기준을 설정하였다. Table 12는 지진가속도계에 의한 저수지 붕괴 예보 관리기준을 나타내며 기상청의 지진 규모와 진도의 상관관계에 의한 피해 현상설명에 따라 관심단계는 진도 III 미만, 주의단계는 진도 IV, 경계단계는 진도 V 및 심각단계는 진도 VI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Table 12
Early Warning Criteria of Accelerometer
Phase Criteria
 Observed Seismic Intensity 
Attention (Blue) Under 14gal Under Intensity III
 Caution (Yellow)  15~28 gal Intensity IV
Alert (Orange) 29~58 gal Intensity V
Serious (Red) Over 59 gal Over Intensity VI

4.7 다중 계측 센서의 예보기준 통합 평가

저수지 재해예방을 위한 계측시스템을 현장에 구축하는 경우 하나의 계측기만 설치되는 경우는 없고 일반적으로 현장에 필요한 계측센서가 다양한 종류가 설치되든지 또는 한 종류의 센서가 여러 지점에 복수로 설치된다. 이런 경우 각각의 센서에서 얻어지는 측정값은 의미하는 결과가 다를 뿐만 아니라 상호 연계된 의미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런 경우 관리 담당자들은 각각의 센서 측정값이 의미하는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통합적인 의사결정을 통하여 적정한 예보 기준으로 비상대응을 하여야 한다.
현장에 다중 계측기기가 설치되어 동시 다발적으로 다양한 측정값이 얻어지는 경우는 Table 13과 같이 센서 중 직접 붕괴 징후를 인지할 수 있는 수위계, 지표변위계의 측정값을 직접지표로 선정하고, 간접적으로 붕괴징후를 추론할 수 있는 강우량계, 지하수위계, 지진가속도계, 누수량계의 측정값을 간접지표로 하여 다중 계측센서의 예보기준 통합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간접지표 발령 없이 직접지표에서 하나의 지표가 예보기준 값을 나타내면 계측오류 우려
Table 13
Forecast-based Integrated Assessment of Multi-measurement Sensor
Sort Sensors Evaluation method of management criteria
Direct indication Water level meter - To check CCTV(but, to issue direct indication warning under localized heavy rain or warning in non-direct indication) when one of direct indication warnings are in the level of Attention, or Caution, or Alert, or Serious without any non-direct indication warning
- To issue higher level of warnings when two kinds of direct indication issued warning
- To issue warning level of direct indication when issued warnings in both direct and non-direct indications
Creep gauge
Non-direct indication Rain fall sensor - To check CCTV when issued warnings in non-direct indications without direct indication warning
- To issue next lower level of issued higher level of non-direct indication warnings when more than two warnings issued in non-direct indications
Ground water level meter
Accelerometer
Leak gauge
CCTV - To issue attention level of warning when abnormality found by CCTV(possible to issue serious level of warning under act on facility manager’s judgement)
Levels Direct indication Non-direct indication Final indication
Water level meter Creep gauge Rain fall sensor Ground water level meter Leak gauge Accelerometer
Attention (Blue)
Caution (Yellow)
Alert (Orange)
Serious (Red)
가 있어 CCTV로 확인이 필요하며, 간접지표 및 직접지표에서 하나 이상 예보 발령시 직접지표의 가장 심각단계의 예보를 발령한다. 직접지표 발령 없이 간접지표 발령시 CCTV를 확인하거나 가장 심각 단계에서 한 등급 하향하여 예보기준 단계를 발령하도록 하였다.

5. 결론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와 저수지의 노후화로 10년간 19건의 저수지 붕괴사례가 보고되는 등 매년 잦은 붕괴 및 기능상실로 인해 큰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저수지(필댐)의 재해예방을 위해 계측기에 의한 사전 붕괴징후를 인지하고 대응하기 위하여 국내 저수지(댐) 파괴모드를 고려한 계측센서 구성의 표준안(강우량계, 수위계, 누수량계, 지표변위계, 지하수위계 및 지진가속도계)을 마련하였다. 또한, 중소규모 노후저수지(필댐)에 대한 선제적 재해예방을 위한 재해예방계측사업 확대 및 ICT, IOT 기반 기술의 USN 재해예방 분야 활용도 제고를 위하여 저수지 붕괴 예보를 위한 계측기별 개별 관리기준을 수립하였으며, 다중 계측센서가 설치된 저수지에 대한 예보기준 통합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국내 저수지(필댐)의 재해 예보 관리기준을 정립함으로써, 선제적 저수지 재해예방 서비스 구축을 위한 관리기반 기술 표준안을 수립하였으며, 17,000여 개에 이르는 국내 저수지(필댐)의 유지관리사업에 대해 구조적인 개보수토목사업과 병행하여 비구조적인 재행예방 예측사업의 성과 확대를 통하여 정부의 한정된 예산의 효율적 집행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정부(국민안전처)의 재원으로 재난안전기술개발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MPSS-자연-2015-78].

References

Baek, Y, Choi, Y.C, Kwon, O.C, and Choi, S.I (2010) Hazard Prevention Using Multi-Level Debris Flow Barriers. Journal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1, No. 8, pp. 15-23.
crossref
Hong, M.H, Kim, J.H, Jung, G.J, and Jeong, S.S (2016) Rainfall Threshold(IDcurve) for Landslide Initiation and Prediction Considering Antecedent Rainfall.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32, No. 4, pp. 15-27. 10.7843/kgs.2016.32.4.15.
crossref
Jeollanam-do Provincial Office Education Center (2016) The Second River, Reservoir, Dam Safety Management Course.
crossref
Kim, Y, Ryu, J.H, and Seo, S.H (2015) A Study on the Criteria for Civil Evacuation Considering Rainfal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Steep Slope Ar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3, pp. 229-236. 10.9798/KOSHAM.2015.15.3.229.
crossre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 ttp://www.kma.go.kr/.
crossref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16) Bongwha Dam Working Design Report.
crossref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6). Rearrangement of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Act & Enforcement Decree & Enforcement Rule.
crossref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6).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 Enforcement Decree.
crossref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9).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Emergency Response Plan(EAP) following the Collapse of Dams and Reservoirs.
crossref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5). Steep Slope Guidelines for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Management Standards for Evacuation of Residents.
crossref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5). The R&D research on Construction of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for Evacuation Inhabitant in Steep Slope Site and Development of Monitoring Specification.
crossref
Rural Research Institute (2015). USN Steep Slope and Reservoir Forecasting and Alarm Service Construction Project.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