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17(2); 2017 > Article
지류하천의 중⋅상류에서 부력⋅승강식 가동보의 수위조절 성능

Abstrac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constant water level at river which has a high regime coefficient all the year round in Korea. This situation becomes worse at the middle and upper stream of tributary river. There often occurs a dry stream phenomenon during the dry season and the rapid flow raises downstream water level in the event of flo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 on and make use of storage and distribution function using a movable weir. This paper attemp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floating & lift type movable weir, through hydrological flow routing method, for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at middle and upper stream of Chiseong river a tributary of Geum river. It was effective in downstream flood control and the effect was enhanced by a serial placement. And a series of water storage enabled to secure river management flow and more than water requirement during a dry season.

요지

우리나라는 하상계수가 큰 하천의 특성 때문에 년 중 일정한 하천수위를 유지하기 어렵다. 더욱이 지류하천의 중·상류는 갈수기에는 건천화가 발생하곤 하며, 홍수기에는 빠른 유속으로 하류의 홍수위를 상승시키곤 한다. 따라서 지류하천 중⋅상류에는 수위조절 기능을 가지는 가동보를 설치하여 저류와 분배기능을 부여하고, 수재해 예방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력⋅승강식 가동보에 의한 수위자동조절 효과를 금강 지류인 치성천의 중⋅상류를 대상으로 수문학적 흐름추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성능구현을 위한 조건들을 검토하였다. 부력⋅승강식 가동보는 저류와 자동방류 기능으로 홍수기에는 하류의 홍수위 완화에 효과적이었으며, 다단으로 연속 배치할수록 효과는 향상되었다. 갈수기에는 하천수를 다단 저수함으로서 하천 관리유량을 유지함과 동시에 수요량 이상의 용수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1. 서론

우리나라는 지형학적, 수문학적 영향으로 하상계수가 큰 하천의 특성 때문에 년 중 일정한 하천수위를 유지하기 어렵고, 지류하천의 중⋅상류에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악화되어, 갈수기에는 건천화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홍수기에는 빠른 유속으로 하류의 홍수위를 상승시키게 된다 (Kim et al., 2013). 국내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을 막기 위해서 고정보를 설치하여 활용하여 왔으나, 유사퇴적으로 인하여 건천화와 홍수위 상승을 더욱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점차 고정보는 철거되고 여울형 낙차공 혹은 수위조절이 가능한 가동보가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낙차공은 유사배출과 유속저감에는 효과가 있으나, 갈수기 시 건천화 방지 효과는 미미하다. 갈수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하수처리장의 처리수를 상류까지 펌핑하여 내려 보내거나, 강물을 끌여 들여 흘려보내는 방법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들은 모두 엄청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Kim and Han, 2008).
국내에서 가동보에 관한 연구는 2000년대에 가동보가 하천에 도입되면서 시작되었다. Kim et al. (2003)은 하단배출형과 월류형 가동보의 폭기효과와 저니질 배출효과를 검토하였다. Choi et al. (2008)은 모형실험을 통하여 가동보 설치조건에 따른 수위변화를 관찰하였다. Park (2012)은 가동보의 수문개방도에 따른 하천의 흐름특성을 파악하여 수문조작 기준에 의한 가동보의 연계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Kwon (2013)은 낙동강 유역의 8개 가동보를 대상으로 HEC-HMS 모형을 이용한 유역추적과 HEC-RAS 모형을 이용한 하도 홍수추적을 실시하여 홍수위 저감을 위한 수문 연계운영기법을 연구하였다. Kim (2015)은 HEC-RAS 모형을 이용한 수리학적 홍수추적으로 부터 다기능 보의 수문운영을 통한 홍수위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4대강 사업 이전까지는 주로 보 설치에 따른 상⋅하류 흐름의 변화, 하상변동, 주변 구조물과의 영향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면, 4대강 사업 이후부터는 상⋅하류구간 가동보의 연계운영 또는 수문조작에 의한 홍수위 저감과 관리수위 유지방안 연구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가동보 수동수문의 조작에 의한 본류하천의 홍수조절효과를 수리학적흐름 추적모형을 이용한 것들이다. 그러나 수동수문의 조작은 하천의 유량에 따라 수문의 개폐시점과 개방도를 판단하여야 하는 하천관리 상의 불편함이 있다. 해외에서는 자동수문의 중요성이 일찌감치 인식되어, 1930년대부터 부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하천의 수위를 조절하는 가동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상용화된 대표적인 사례는 프랑스에서 개발된 Amil gates로서 부력을 이용하여 보 상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현재는 보 하류수위까지 조절할 수 있는 기술로 발전하였다 (Cassan et al., 2011). 국내에서 부력을 이용한 자동수문은 시소원리식 경사형 자동수문과 유선형 자동수문이 있다. 시소원리식 경사형 자동수문은 수문 내부에 Balance weight를 넣어 유량에 따라 수문을 개방하는 구조이다. 유선형 자동수문은 수문의 모양이 유선형으로서 보 상류의 수위가 관리수위에 도달하면 부력이 작동하여 수문이 개방된다. 그러나 이 수문들은 수로 내에 고착되어 있어 이물질에 의해 작동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Yeo et al.,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수문조작 없이 수위자동조절이 가능한 부력⋅승강식 가동보에 의한 지류하천의 홍수조절과 저수효과를 수문학적 흐름추적 기법으로 평가하고, 성능구현을 위한 조건들을 검토하는데 있다. 연구대상 지역은 금강 지류인 치성천이며, 추적구간은 중⋅상류의 고정보가 설치되어 있는 연속구간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홍수추적은 50년 빈도 홍수량으로 부터 홍수기의 유입수문곡선을 작성하고, 저류상수와 수위-저류량, 수위-유출량에 관한 관계를 구한 후, 하도추적과 저수지 추적방법에 따라 홍수유출 수문곡선을 작성하였으며, 저수량 산정은 10년 가뭄빈도의 기저유출량으로부터 갈수기의 유입수문곡선을 작성하고, 저수지 추적 방법에 따라 저수량 수문곡선을 작성하였다.

2. 부력⋅승강식 가동보

부력⋅승강식 가동보는 승강식 수문 (Lift gate)과 부력식 수문 (Floating gate)으로 구성된다 (Fig. 1(a)). 승강식 수문은 평시에 저수기능을 가지며, 필요 시 하단개방으로 인한 유사배출용으로 사용하며, 홍수 시에는 완전 승강하여 홍수 유출량이 원활히 소통되도록 한다. 부력식 수문은 승강식 수문의 옆에 위치하여 수위조절을 담당한다. 부력식 수문 상단에 설치된 센서는 계획홍수위 발생 시 감지하여, 승강식 수문의 완전개방 신호를 제어장치에 전달하게 된다.
Fig. 1
Floating & Lift Type Movable Weir
KOSHAM_17_02_481_fig_1.gif

2.1 승강식 수문

승강식 수문은 셔터 수문 (Shutter gate), 승하강 가이더 (Lift guider), 수문 지지장치 (Suspension device)로 구성된다 (Fig. 1(b)). 셔터 수문은 수로를 차단하면 저수가 되며, 완전 승강하면 보 기능이 해제된다. 승하강 가이더는 수압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 바닥과 결착되는 지주이다. 수문 하강 시에는 먼저 내려 가이드 역할을 하고, 수문 승강 시에는 수문이 상부에 완전하게 거치된 후, 수문 상단 바에 안착하게 된다. 수문 지지장치는 셔터 수문과 승하강 가이더를 지지하며, 수압에 의해 하류로의 밀림을 방지한다.

2.2 부력식 수문

부력식 수문은 승강식 수문 옆에 위치하고, 부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보 상류구간의 수위를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Fig. 2(a)는 유입량과 연동된 부력식 수문의 자동 방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부력의 크기FB는 수문이 물에 잠긴 부분의 체적V′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와 같다. 즉, FB= γω V′=Wg이며, 여기서γω는 물의 단위중량, V′는 수문의 물에 잠긴 부분의 체적, Wg는 수문의 무게이다 (Kim, 1998). 초기수심에서 수문의 무게Wg는 부력의 크기FB보다 큰 상태이다. 유량이 증가하여 설정된 관리수심 ym에 도달하면 수문의 무게Wg는 부력의 크기FB와 같게 된다. 이때까지는 수문은 개방되지 않는다. 이후 유량이 계속 증가하여 수심이Δy만큼 증가하면, 수문이 물에 뜨면서 수문이 개방되는 것이다. 즉, 수문개방도yg는 관리수심ym이후 증가된 수심Δy와 같다 (Fig. 2(a)).
Fig. 2
The Operating Principle and Design of Floating Gate
KOSHAM_17_02_481_fig_2.gif
유량이 계속 증가하여 계획 홍수위 수심에 도달하여 수문상단에 설치된 센서와 접촉하게 되면, 승강식 수문이 작동하여 하천은 완전 개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문의 개폐는 인위적인 수문조작 없이 유량의 증감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관리수심을 유지하게 된다. Fig. 2(b)는 비중이 7.83인 강재수문 (폭=1.0 m, 높이=1.0 m, 길이 L=1.0 m, 6.0 m)이 Fig. 2(a)의 개념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설계된 관리수심에 따른 수문의 무게와 두께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수문의 지지대와의 마찰하중을 무시하면, 유량의 크기에 따라 수문의 길이를 조정하여 수문의 수리학적 제원을 결정할 수 있다.

3. 이론적 배경

3.1 연속방정식

하도 또는 저수지에서 어느 시간에 유입량 및 유출량에 대한 차이는 저류량의 변화율과 같다.
(1)
I¯O¯=ΔSΔt
여기서, I¯Δt시간 동안의 평균 유입량, O¯Δt시간 동안의 평균 유출량, ΔSΔt시간 동안의 저류량의 변화이다. Δt시간의 시작과 끝을 1과 2로 표시하면 Eq. (1)은 Eq.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Victor, 2014).
(2)
I1+I22O1+O22=S2+S1Δt
Eq. (1) 또는 Eq. (2)를 연속방정식이라 한다. I1, I2, O1, S1은 기지의 변수이므로, Eq. (2)로부터S2, O2을 결정하여야 한다. Eq. (2)는 2개의 미지수S2, O2를 가지고 있으므로 Eq. (2)외에 저류량과 유출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 2의 식이 필요하다.

3.2 저류량과 유출량의 관계

3.2.1 수위-저류량 관계

수심에 따른 저류량 관계는 수로형상에 따라 수심별 단면적을 구한 후, 구간거리를 곱하여 저류량을 구할 수 있다 (Kim, 1998). 측면경사가1:m인 사다리꼴 단면수로의 경우, 단면적 A는 Eq. (3)과 같다.
(3)
A=bym+myn2
여기서A는 흐름 단면적, b는 수로 폭, yn는 등류수심, m은 측면경사이다.

3.2.2 수위-유출량 관계

측면경사가1:m인 사다리꼴 단면수로에서 등류수심yn으로 흐를 때 유량은 Eq. (4)과 같다 (Kim, 1998).
(4)
O=1n(byn+myn2)(byn+myn2b+2ynm2+1)2/3S01/2
여기서O는 유량, n는 조도계수, b는 하상 폭, yn은 등류수심, m은 측면경사, S0는 하상경사이다.
저수지나 하도에서의 수심과 유출량의 관계는 보 혹은 웨어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며, 본 연구에서는 사각웨어와 여수로 복합구조로 구성된 고정보와 부력식 수문을 적용하였다. Fig. 3은 사각웨어와 여수로의 월류를 보여주고 있으며, 일반적인 여수로와 사각웨어의 월류수위와 유출량 계산식은 각각 Eqs. (5), (6)과 같다 (Bruner, 2016).
Fig. 3
Overflow at Fixed Weir
KOSHAM_17_02_481_fig_3.gif
(5)
O=CdLHe1.5
여기서O는 유출량, Cd는 유량계수, L는 여수로의 길이, He는 접근유속을 포함한 총 에너지 수두이다. 일반적으로 접근유속을 무시할 경우의Cd는 2.21이다 (Bruner, 2016).
(6)
O=Cd232gbH1.5
여기서O는 유출량, Cd는 유량계수, b는 사각웨어의 폭, H는 월류수심이다. Cd는 Eq. (7)를 사용하여 구한다 (Swamee, 1992).
(7)
Cd=0.623[1+0.26(HH+Hd)2]
여기서Hd는 사각웨어의 마루높이이다. Fig. 3(a)는 연직수문 (Sluice gate)에서의 자유흐름을 보여주고 있으며, 연직수문을 통과하는 유출량은 Eq. (8)과 같이 유량계수를 포함하는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Redi, 2009).
(8)
O=Cdbyg2gy1
여기서O는 유출량, Cd는 유량계수, b는 수문의 길이, yg는 수문개방도, g는 중력가속도, y1은 상류수심이다. Lee (2010)는 실험을 통하여 연직수문의 자유흐름 조건에서의 상류수심y1과 수문개방도yg에 따른 유량계수 산출식을 Eq. (9)과 같이 유도하였다 (Fig. 4(b)). Eq. (9)을 이용하면 상류수심y1과 수문개방도yg에 따라 달라지는 유량계수를 반영할 수 있다.
Fig. 4
Free Flow and Cd vs. yg/y1 Relation Curve of Sluice Gate
KOSHAM_17_02_481_fig_4.gif
(9)
Cd=0.5235(ygy1)0.0742
여기서, Dd는 유량계수, yg는 수문 개방도, y1은 상류수심이다.

3.3 저류지시법 (저수지추적)

저수지나 하도의 수위와 저류량, 저류량과 유출량의 관계가 구해지면 Eq. (2)는 Eq. (10)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sonu, 1983).
(10)
I1+I22+(S1Δt+O12)O1=S2Δt+O22
Eq. (10)가 저류지시법을 사용하기 위한 연속방정식이다. Eq. (10)의 왼쪽 항들은 이미 알고 있는 값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른쪽 항들은 미지의 값이므로(S2/ Δt) + (O2/2)으로부터 유출량O2을 계산하여야 한다. 자연하도에서의 저류지시법은 하도가 저수지와 같이 수평수면을 형성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댐이나 보로 저수되어 수평수면을 이룰 경우 가능할 것이다 (Victor, 2014).

3.4 Muskingum 방법 (하도추적)

저류지시법이 저류량과 유출량과의 관계만을 이용하였다면, Muskingum 방법은 저류량은 유입량과 유출량에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한 것이다. 또한 저수지 추적은 수평수면을 가정하였다면, Muskingum 방법은 경사수면을 가정한 것이 다르다 (Victor, 2014). 저류량과 유출량의 관계는 Eq. (1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1)
S=K{xI+(1x)O}
여기서S는 저류량 (m3), K는 저류상수 (hr), x는 가중계수, I는 유입량 (m3/s), O는 유출량 (m3/s) 이다. x는0 < x < 0.5의 값을 가지며, 0.25에 접근할 때가 많다. K는 시간의 차원을 가지며, 홍수의 유하시간의 근사 값으로서, 첨두유량이 추적구간을 통과할 때의 시간을 사용하기도 한다. Eqs. (2)와 Eqs. (11)을 결합하고 결과를 단순화하면 Eq. (12)와 같이 된다 (sonu. 1983).
(12)
O2=C0I2+C1I1+C2I1
여기서,
C0 = (−Kx0.5Δt) / (KKx+0.5Δt),
C1 = (Kx+0.5Δt) / (KKx+0.5Δt),
C2 = (KKx0.5Δt) / (KKx+0.5Δt),
C0 + C1 + C2 = 1이다.

3.5 흐름추적 절차

연속방정식, 수위-저류량과 수위-유출량 관계식을 이용한 흐름추적 작업절차는 다음과 같다.
  • 1) 대상유역의 홍수량을 산정하고, 추적시간 간격Δt를 결정하여 유입수문곡선을 구한다.

  • 2) Weir가 설치되어 있는 구간은 저류지시법을 사용하여 유출량과 수위에 대한 수문곡선을 작성한다.

    가. (S/ Δt) + (O/2)와O의 관계식을 구한다.
    나. (I1/ I2) /2) + (S1/ Δt + O1/2)계산 값으로 부터(S2/ Δt) + (O2/2)를 구한다.
    다. 가)를 이용하여(S2/ Δt) + (O2/2)으로부터O2를 구한다.
    라. 수위-유출량 관계로부터 수위를 구한다.
  • 3) Weir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간은 하도추적방법을 사용하여 유출량과 수위에 대한 수문곡선을 작성한다.

    가. 매개변수Kx를 산정한다.
    나. Eq. (12)를 이용하여 유출량O2를 구한다.
    다. 수위-유출량 관계로부터 수위를 구한다.

4. 연구대상 지역

4.1 현황

연구대상 지역은 충청남도 청양군 일원에 위치한 금강 제 1지류인 치성천이다. 행정구역은 청양군의 정산면과 목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은 긴 사각형에 가까운 형태이며, 11개의 소유역으로 구분된다. 총 유역면적은 43.55 km2, 총 연장은 8.92 km, 하천 폭은 39.0 ~ 72.0 m 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340.4 mm이며, 지형성 강우로 인해 집중호우 현상이 나타나며, 금강과 합류되는 하류부는 금강 수위에 따라 계획 홍수위가 발생하곤 하여 상류에서의 홍수량 조절이 요구되는 구간이기도 하다 (Fig. 5). 한편, 본 유역이 포함된 청양군의 최근 10년간 평균 홍수피해 금액은 46억원으로 조사되었고, 2004년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1994~1995년 및 2000~2001년에는 극한 가뭄으로 제한급수가 실시된 바 있다. 현재 치성천에는 사각웨어와 여수로 복합구조의 고정보가 12개소가 설치되어, 생활용수와 농업용수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Chungnam, 2008).
Fig. 5
Research Area
KOSHAM_17_02_481_fig_5.gif

4.2 추적구간

흐름추적 구간은 금강수위 영향권 직상류 지점인 통미보 (No.41) 구간부터 상류방향의 서정보(No.49+14), 상평보 (No.57+10) 구간의 총 2.5 km 구간으로 하고, 고정보 (현재), 자연하도 (보 미설치), 부력⋅승강식 가동보를 설치할 경우에 대해서 추적을 실시하였다. 추적구간의 수리학적 정보는 Table 1Fig. 5와 같다.
Table 1
Hydraulic Data of Flow Routing Section
Tongmi Bo (No.41 ~ NO.49+14) Seojung Bo (No.49+14 ~ No.57+10) Sangpyoung Bo (No.57+10 ~)
Embankment height 4.3 m 4.0 m 3.1 m
Section length 814.0 m 796.0 m 890.0 m
River bed width 44.0 m 33.5 m 28.9 m
River side slope 1: 3
River bed slope 0.01854
Roughness 0.032
Average flow velocity 3.29 m/s

5. 홍수추적

5.1 홍수량

홍수량 산정은 SCS 합성단위도법, Clark 유역추적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시간-면적주상도 등 작성에 필요한 정보의 부족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유역의 유량도작성에 많이 이용되는 SCS 합성단위도법을 이용하였다.

5.1.1 SCS 합성 단위유량도 매개변수 산정

SCS 무차원단위도법의 매개변수인 도달시간tr과 지체시간tl은 다음과 같다 (sonu, 1983).
(13)
tr=13600LV
(14)
tl=0.706tr
여기서, tr은 도달시간 (hr), L은 구간길이 (m), V는 유속 (m/s)이다. 여기서tl은 지체시간 (hr)이다.
첨두 발생시간과 첨두유량은 다음과 같다.
(15)
tp=tR2+tl
(16)
qp=2.082tpA
여기서tR은 유효강우의 지속시간 (hr)이며, 유입수문곡선에서 추적시간 간격Δt와 같다. 따라서 유하시간tc보다 작은 값을 취하여 0.16 hr로 하였다. A (km2)은 유역 면적이며, 대박지구 유역면적은 8.8 km2이다.

5.1.2 유효우량 산정

50년 빈도 확률강우강도식 (Chungnam, 2008)으로 부터 강우강도를 구하고, Mononobe 분포식을 사용하여 강우량 분포를 산정하였다. 유역의 손실량은 수문학적 유출계수 86.7 (Chungnam, 2008)을 Eq. (17)에 대입하여 구하였다. 유효우량은 NRCS에서 제안한 총 우량과 유효우량 관계식 Eq. (18)을 이용하여 누가유효우량을 산출하고, 이로부터 중앙집중형의 시간구간별 유효우량을 구하였다 (Sonu, 1983).
(17)
S=25,400CN254
(18)
Qc=(Pc0.2S)2Pc+0.8S
여기서, CN은 수문학적 유출계수, Qc는 누가유효유량 (직접 유출량, mm), Pc는 누가우량 (mm), S는 초기손실을 포함한 유역의 가능최대손실 (mm)이다. 합성단위유량도와 지속기간 구간별 유효우량을 산정하여 홍수량을 산출한 결과는 Table 2에 정리하였다. Fig. 6은 흐름추적 시 유입수문곡선으로 사용할 50년 빈도의 홍수량 수문곡선이다.
Table 2
Effective Rainfall of Duration Time
Duration time, tR(min) Rainfall intensity, I(mm/hr) Rainfall, P(mm) Rainfall of duration time,Pi(mm) Cumulative rainfall, Pc(mm) Cumulative effective rainfall, Qc(mm) Effective rainfall of duration time, Qi(mm)
10 200.3 33.4 33.4 7.8 0.0 0.00
20 158.7 52.9 19.5 18.8 2.4 2.41
30 133.7 66.8 13.9 32.7 9.7 7.30
40 116.7 77.8 11.0 66.1 34.9 25.23
50 104.2 86.9 9.1 80.0 46.9 11.98
60 94.7 94.7 7.8 89.1 55.0 8.06

Rainfall intensity-duration formula of 50 years I=1594.1/(t+13.5)0.65701, CN = 86.7

Table 3
Calculation Result of Flood Discharge
t/tp q/qp tp=0.39 qp=4.70 Unit hydrograph Effective rainfall of duration time Qi, (mm) Flood discharge Q(㎥/s)
t(min) Q(m3/s) t(min) Q(m3/s) 0.00 2.41 7.30 25.23 11.98 8.06
0.1 0.03 2.3 0.14 10 1.67 - -
0.2 0.10 4.7 0.47 20 4.53 - 4.0 4.0
0.3 0.19 7.0 0.89 30 4.10 - 10.9 12.2 23.1
0.4 0.31 9.4 1.46 40 2.13 - 9.9 33.1 42.0 85.0
0.5 0.47 11.7 2.21 50 1.08 - 5.1 30.0 114.3 20.0 169.3
0.6 0.66 14.0 3.10 60 0.54 - 2.6 15.5 103.5 54.3 13.4 189.3
0.7 0.82 16.4 3.86 70 0.26 - 1.3 7.9 53.7 49.1 36.5 148.5
0.8 0.93 18.7 4.37 80 0.13 - 0.6 3.9 27.2 25.5 33.1 90.3
0.9 0.99 21.0 4.66 90 0.07 - 0.3 1.9 13.5 12.9 17.2 45.8
1.0 1.00 23.4 4.70 100 0.2 1.0 6.6 6.4 8.7 22.9
1.1 0.99 25.7 4.66 110 0.5 3.3 3.1 4.3 11.3
1.2 0.93 28.1 4.37 120 1.7 1.6 2.1 5.4
1.3 0.86 30.4 4.04 130 0.8 1.1 1.9
1.4 0.78 32.7 3.67 140 0.5 0.5
Fig. 6
Flood Discharge Hydrograph
KOSHAM_17_02_481_fig_6.gif

5.2 고정보 (현재)

5.2.1 고정보 제원

현재 치성천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보는 사각웨어와 여수로 복합구조로 되어 있으며, 추적구간별 고정보의 제원과 개수는 Table 4에 정리하였다.
Table 4
Dimension & Number of Fixed Weir
Fixed weir Sangpyoung Bo ~ No.57+10 Seojung Bo No.57+10 ~ No.49+14 Tongmi Bo No.49+14 ~ No.41
B (m) H (m) L (m) N B (m) H (m) L (m) N B (m) H (m) L (m) N
Rectangular weir 0.5 0.3 1.0 6 0.5 0.3 1.0 4 0.5 0.3 1.0 5
Spillway 0.5 1.5 33.9 1 0.5 1.5 38.5 1 0.5 1.5 49.0 1

5.2.2 유출수문곡선

추적시간 간격은 5분으로 하고, 저류지시법에 의해 계산한 홍수추적 내역을 Table 6에 정리하였다. 통미보 구간에서 하류로의 유출량은 184.5 m3/s로서, 유입 첨두홍수량 대비 불과 4.8 m3/s 감소하였으며, 지체시간은 5분 이내이고, 홍수위 수심은 1.8 m 증가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고정보는 홍수조절 효과는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홍수위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7은 유출량과 수심의 수문곡선이다.
Table 5
Dimension & Number of Floating & Lift Type Movable Weir
Floating & lift type movable weir ~No.57+10 No.57+10~No.49+14 No.49+14 ~ No.41
B (m) H (m) L (m) N B (m) H (m) L (m) N B (m) H (m) L (m) N
Lift gate 0.1 5.0 18.9 1 0.1 5.0 23.5 1 0.1 5.0 34.0 1
Floating gate 1.0 1.0 5.0 2 1.0 1.0 5.0 2 1.0 1.0 5.0 2
Table 6
Peak Outflow (Peak Inflow = 189.3 M4/s, Peak Water Depth = 0.98 m)
Weirs Peak outflow
Peak flood discharge (m3/s) Lag time (min) Peak flood water depth (m) Water level variation (m)
Fixed weir ~ No.57+10 194.4 < 5.0 3.20 +2.22
No.57+10 ~ No.49+14 196.3 < 5.0 3.27 +2.29
No.49+14 ~ No.41 184.5 < 5.0 2.80 +1.82
Natural channel ~ No.57+10 185.3 < 5.0 0.97 -0.01
No.57+10 ~ No.49+14 183.6 < 5.0 1.53 +0.55
No.49+14 ~ No.41 182.3 < 5.0 1.81 +0.83
Single placement of floating & lift type movable weir ~ No.57+10 185.3 < 5.0 0.97 -0.01
No.57+10 ~ No.49+14 183.6 < 5.0 1.53 +0.55
No.49+14 ~ No.41 147.7 15.0 3.42 +2.44
Serial placement of floating & lift type movable weir ~ No.57+10 159.8 5.0 2.28 +2.63
No.57+10 ~ No.49+14 137.5 20.0 3.12 +2.28
No.49+14 ~ No.41 114.2 30.0 3.09 +1.90
Adjustment of the length of floating gate at No.57+10 ~ No.57+10 177.9 5.0 2.28 +1.30
No.57+10 ~ No.49+14 154.6 15.0 3.12 +2.14
No.49+14 ~ No.41 126.8 25.0 3.09 +2.11
Fig. 7
Outflow Hydrograph (Fixed Weir)
KOSHAM_17_02_481_fig_7.gif

5.3 자연하도 (고정보 철거)

고정보를 철거할 경우, 자연하도를 대상으로 Muskingum 방법을 이용한 하도추적을 실시하였다.
No.49+14 ~ No.41 구간에서 하류로의 유출량은 182.3 m3/s로서, 유입 첨두홍수량 대비 7.0 m3/s 감소하였으며, 지체시간은 5분 이내이고, 홍수위 수심은 0.83 m 증가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고정보를 철거함에 따라 홍수위 상승은 약간 감소되었으나, 첨두 유출량은 유입 첨두홍수량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홍수추적 결과는 Table 6에 정리하였다. Fig. 8은 유출량과 수심 수문곡선이다.
Fig. 8
Outflow Hydrograph (Natural Channel)
KOSHAM_17_02_481_fig_8.gif

5.4 부력⋅승강식 가동보

단일배치와 다단배치 시의 홍수조절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No.49+14 ~ No.41)에 단일배치할 경우와 (No.49+14 ~ No.41), (No.57+10 ~ No.49+14), (No.57+10 ~) 구간에 연속 배치할 경우에 대한 홍수추적을 실시하였다.

5.4.1 부력⋅승강식 가동보의 제원

승강식 수문의 높이는 제방고, 수문의 길이는 하상 폭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부력식 수문은 Fig. 2(b)에 의하여 수문의 폭과 높이는 1.0 m 로 하였으며, 수문의 길이는 방류량을 고려하여 5.0 m/개소로 하고, 승강식 수문 양쪽 2개소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부력⋅승강식 가동보의 제원과 개수는 Table 5에 정리하였다.

5.4.2 유출수문곡선

(1) 부력⋅승강식 가동보의 단일배치
가동보 미설치구간은 Muskingum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가동보 설치구간은 저류지시법으로 계산하였다. 홍수추적
내역을 Table 6에 정리하였다. No.49+14 ~ No.41 구간에서 하류로의 유출량은 147.7 m3/s로서, 유입 첨두홍수량 대비 41.6 m3/s 감소하였으며, 지체시간은 15분이고, 홍수위 수심은 2.4 m 증가하는 것으로 계산되어, 부력⋅승강식 가동보 단일배치 시의 홍수조절 효과는 고정보와 자연하도 대비 양호하게 나타났다. Fig. 9는 유출량과 수심의 수문곡선이다.
Fig. 9
Outflow Hydrograph (Single Placement of Floating & Lift Type Movable Weir)
KOSHAM_17_02_481_fig_9.gif
Fig. 10
Outflow Hydrograph (Serial Placement of Floating & Lift Type Movable Weir)
KOSHAM_17_02_481_fig_10.gif
Fig. 11
Outflow Hydrograph (Adjustment of the Length of Floating Gate)
KOSHAM_17_02_481_fig_11.gif
(2) 부력⋅승강식 가동보의 연속 다단배치
다단배치 시에는 전 구간을 저류지시법에 의해 계산하였다. No.49+14 ~ No.41 구간에서 하류로의 유출량은 114.2 m3/s로서, 유입 첨두홍수량 대비 75.1 m3/s 감소하였으며, 지체시간은 30분이고, 홍수위 수심은 1.90 m 증가하는 것으로 계산되어, 연속 다단배치의 홍수조절 효과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적내역을 Table 6에 정리하였다. 유출량과 수심의 관계에서는 No.57+10 구간의 홍수위는 3.61 m로서, 제방 여유고를 넘는 것으로 계산되어, 방류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 부력식 수문의 길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다단 배치된 부력식 수문의 길이 조정
No.57+10 구간의 부력식 수문의 길이를 5.0 m/개소에서 6.0 m/개소로 조정하여 계산한 결과, No.57+10 구간의 홍수위는 제방 여유고 범위 이내로 계산되었다. No.49+14 ~ No.41 구간에서 하류로의 유출량은 126.8 m3/s로서, 유입 첨두홍수량 대비 62.5 m3/s 감소하였으며, 지체시간은 25분이고, 홍수위 수심은 2.11 m 증가하였으나, 전 구간에서 제방 여유고 범위를 만족하였다 (Table 6).

6. 갈수기 저수량 추정

6.1 기준 갈수량

기준 갈수량은 10년 빈도의 갈수량으로, 자연 상태의 하천에서 갈수 시에도 흘렀다고 볼 수 있는 유량을 말하며, 하천의 건천화 방지 등을 위하여 하도에 흐르게 보장해주어야 할 유량이다. 대박지구의 기준 갈수량은 하천기본계획보고서 상의 10년 빈도 갈수해석 결과를 인용하였다. 대박지구의 2016년 기준갈수량과 갈수기 물 수요량은 Table 7과 같다.
Table 7
Standard Minimum Flow & Water Demand During Dry Season
Location Basin area (km2) Standard minimum flow (m3/s) Water demand during dry season
Domestic use (m3/s) Industrial use (m3/s) Total
(m3/s) (m3/90days)
Daebak 8.8 0.03583 0.00062 0.00041 0.00103 8,009

6.2 유입수문곡선

본 연구에서는 극한가뭄으로 인하여 하도로 유입되는 기저유출량이 Eq. (19)과 같이 지수함수적으로 감소 (Sonu, 1983)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19)
Qt=QoKt
여기서Qt는 시간t에서의 유량, Q0는 시간t0에서의 유량, K는 감쇄상수이며, 수문곡선 상에서 결정되는 상수이다. 대박지구의 기준 갈수량을 시간t0에서의 기저유출량으로 하고, 감쇄상수K는 0.9를 적용하여 90일 가뭄지속기간의 유입수문곡선을 작성하였다.

6.3 갈수기 저수량 계산

갈수기 다단저수는 수로를 하류부터 상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저수하여, 전 구간의 유지유량을 확보하는 것이다. 저수량 추적은 Eq. (2)에서 유출량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24시간 추적간격의 90일간 저수량을 계산하였다. 90일 경과 후의 구간별 수심은 0.29 ~ 0.21 m, 총 저수량은 28,391 m3으로 계산되어, 증발산, 제방저류 등으로 인한 손실을 무시하면, 대박지구의 갈수기 90일간 용수 수요량 8,009 m3 보다 20,382 m3 이상의 용수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계산되었다. 수심과 저수량 계산결과는 Table 8에 정리하였다.
Table 8
Results of Water Storage Estimation
Initial base flow Serial placement Storage of water during dry season Water demand
No.41 ~ No.49+14 No.49+14 ~ No.57+10 No.57+10 Total
0.0358 m2/s Water depth (m) 0.29 0.29 0.21
Storage volume (m2) 10,114 8,565 9,712 28,391 8,009
Time required (days) 4.0 11.0 75.0 90.0 90.0

7. 수위조절 성능구현을 위한 조건 검토

고정보는 홍수조절 효과 없이 홍수위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흐름과 저류영역이 월류수심 구간에 국한되어, 유출량에 따른 저류량의 증가율이 작기 때문이다 (Fig. 13(a)). 홍수위 상승 이유는 월류형의 특성 상, 일정구간 (여수로 마루높이 이하)까지흐름이 지체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지류하천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하천에 동일한 결과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부력⋅승강식 가동보는 하단 방류형 수문의 특성 상, 흐름구간이 유출과 저류영역이 되며, 저류가 진행되면서 유량이 증가하게 되고, 유량과 연동한 부력식 수문의 하단부의 자동적인 개방으로 유출량도 증가하게 된다 (Fig. 13(b)). 이러한 저류와 자동방류 특성은 홍수 시 저류와 분배가 적절히 이루어져 홍수조절 효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단배치 시에는 연속적인 구간 저류로 인하여 홍수조절 효과가 배가됨을 알 수 있다. 갈수기의 기준갈수량이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할 경우, 기저유출량을 하류부터 상류방향으로 다단 저수한 결과, 전 구간의 관리수심 유지가 가능하였다. 풍수기에 다단 저수하게 되면, 하천수와 지하수의 상호작용으로 지하수위가 상승하여, 갈수기의 기저유출량이 증가할 것이므로 (Thomas et al., 1998), 더욱 향상된 다단저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대상구간의 수위자동조절 성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력식 강재수문의 수리학적 제원은 지지대와의 마찰하중을 무시할 경우, Fig. 2(b)와 같이, 관리수심을 0.3 m으로 설정 시, 길이는 최대 6.0 m/개소, 두께는 7.5 mm, 무게는 3.6 kg가 됨을 알 수 있다.
Fig. 12
The Water Storage Effect During Dry Season
KOSHAM_17_02_481_fig_12.gif
Fig. 13
The Conditions of Water Level Control by Floating & Lift Type Weir
KOSHAM_17_02_481_fig_13.gif

8. 결론

부력⋅승강식 가동보는 지류하천의 중⋅상류의 홍수기 하류부의 홍수위조절과 갈수기 유지유량 확보에 효과적이었다. 치성천의 중⋅상류구간을 대상으로 수문학적 홍수추적을 실시한 결과, 부력⋅승강식 가동보는 첨두 유출량의 저감과 지체시간이 고정보 대비 크게 나타났으며, 다단으로 배치할수록 효과는 배가되어, 하류구간의 홍수위 완화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하단배출형 수문의 저류영역이 월류형보다 크고, 부력식 수문의 유량과 연동된 자동방류 특성에 따라 저류와 분배가 이루어지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극한가뭄 시 기저유출량을 순차적으로 하류에서 상류방향으로 다단 저수함으로서 하천의 관리수위 유지는 물론, 유역 수요량 이상의 용수확보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갈수기에는 용수확보를 위해서 기저유출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갈수량을 이용하여 극한가뭄 시 다단 저수량을 추정하였으나, 향후에는 부력⋅승강식 가동보에 의해 년 중 관리수위가 유지될 경우, 하천수와 지하수의 상호작용에 의한 장기유출 해석을 통하여, 다단저수 효과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다단배치의 편익효과는 지구마다 다를 것이므로, 비용⋅편익분석을 통하여 배치여부 및 규모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물관리연구사업의 연구비 지원 (과제번호15AWMP-C104709-01)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Bruner, G.W (2016) HEC-RAS River Analysis System Hydraulic Reference Manual CPD-69, US Army Corps of Engineers, Hydraulic Engineering Center, pp. 8.12-13. 10.1061/(ASCE)IR.1943-4774.0000305.
crossref
Cassan, L, Baume, J.P, Belaud, G, Litrico, X, Malaterre, P.O, and Ribot-Bruno, J (2011) Hydraulic modeling of a mixed water level control hydromechanical gate.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Vol. 137, No. 7, pp. 446-453.
crossref
Choi, G.W, Byeon, S.J, Kim, Y.G, and Cho, S.U (2008) The Flow Characteristic Variation by Installing a Movable Weir having Water Drainage Equipment on the Botto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8, No. 3, pp. 117-122.
crossref
Chung Nam Provincial Government (2008) Fundamental planning report in Chiseong River, No. 4, pp. 3-78.
crossref
Kim, I.H, and Han, D.H (2008) A small stream Management plan to protect the aquatic ecosystem Korea Environment Institute. EI 2008 RE-09 R&D Report, pp. 17-254. 10.3741/JKWRA.2003.36.6.971.
crossref
Kim, J.H, Shim, M.P, Choi, G.W, and Oh, J.M (2003) Hydraulic Analysis of Air Entrainment by Weir Type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6, No. 6, pp. 971-984.
crossref
Kim, K.H (1998). Hydraulics. Bosunggak: p 65-67 65-67, 432-434, 444-445, 495. 10.3741/JKWRA.2013.46.12.1169.
crossref
Kim, N.W, Lee, J, and Lee, J.E (2013) Estimation of natural streamflow for the Bokhacheon middle-upper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12, pp. 1169-1180.
crossref
Kim, S.H (2015). Analysis of Flood Mitigation Effects With Multi-Purposed Weir Operation–Focused on the Gangjeong Goryeong Weir. Master’s Dissertation, Dept. of Civil Engineering. Yeungnam University, Kyoungbuk, Korea: p 2-4.
crossref
Kwon, K.D (2013) Flood Routing Techniques on Serial Control Weir. Master’s Dissertation, Dept. of Civil Engineering, Yeungnam University; Kyoungbuk, Korea: pp. 25-46.
crossref
Lee, K.G (2010). A study on discharge coefficient for sluice gate by ratios of gate opening and water depth. Master’s Dissertatio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31-43.
crossref
Park, M.J (2012). Development of optimal operation rule for the multi–functional weirs using hydraulic model. Master’s Dissertation, Dept. of Civil Engineering. Joongbu University, Chungnam, Korea: p 22-26.
crossref
Redi, S (2009) Flow under a sluice gate. Water Resources Engineering Laboratory, Dept. of Civil Construction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Alabama.
crossref
Sonu, J.H (1983). Hydrology. Dongmyungsa: p 163 147-149, pp. 188-192, pp. 280-284. 10.1061/(ASCE)0733-9437(1992)118:1(56).
crossref
Swamee, P.K (1992) Sluice-gate discharge equation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Vol. 118, No. 1, pp. 56-60.
crossref
Thomas, C.W, Harvey, J.W, Franke, O.L, and Alley, W.A (1998) Ground water and surface water, a single resource. U.S. Geological Survey Circular 1139, ISBN 0–607–89339–7, U.S. Geological Survey Branch of Information Services, pp. 9-16. 24002118.
crossref
Victor, M (2014) Flood routing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United States Dept. of Agriculture, pp. 9-10.
crossref
Yeo, W.S, Cheon, M.B, and Jeon, J.G (2003) Study on Improvement of Water Gate in Canal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R&D Report, pp. 52-63.
crossref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2 Crossref
  •    
  • 3,963 View
  • 131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