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20(2); 2020 > Article
포항지진 투입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Abstract

As the Pohang earthquake steadily occurred along with big and small aftershocks, the damage caused was extensive. Firefighters on the front line are responsible for the initial response, thus their job stress is very high; this study identified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firefighters in Pohang.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firefighters in the Pohang earthquake had 10 years of employment, were 30 and 40 years of age, and most of them completed higher education t. Second, their job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compensation, organizational conflict, and job burden as per this order. Third, job characteristic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satisfaction.

요지

본 연구는 포항지역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실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항지진에 투입한 소방공무원 중 대부분은 종사 기간이 10년 이하이고, 연령은 30대와 40대, 교육 수준은 고등교육 이상이었다. 둘째,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 것은 보상, 조직갈등, 직무부담 순으로 나타났다. 보상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 것은 스트레스가 크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노출되어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조직갈등이 영향을 미친 것은 한정된 자원, 미흡한 정책 등으로 조직구성원 사이에 의견이 일치하지 않거나 생각과 행동 차이에서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직무부담이 영향을 미친 것은 위급한 상황에서도 법률이나 규칙을 준수하여야 하고 소방업무 외에 방호와 예방도 수행하여야 하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셋째, 직무특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것은 자부심보다 긴급출동, 불규칙한 생활 등으로 발생하는 어려움, 처우 불만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1. 서 론

2017년 11월 15일 14시 29분에 포항시 북구 북쪽 8 km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은 포항시민과 인근 지역 주민에게 작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정부는 중앙, 도, 지역에 대책본부를 가동하여 피해 파악과 복구를 실시하였는데, 특히 화재진압, 구조구급 등을 위하여 소방인력을 배치하고 투입하여 피해를 줄이고 복구를 실시하였다. 이후 소방공무원은 여진과 지진이 일어날 때마다 출동하는 과정에서 외상후스트레스 장애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되어 직무 수행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소방인력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수면패턴 문제를 안고 재난현장과 사고현장에 출동하는 직업군으로 항상 직무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
소방공무원이 겪는 스트레스는 유사한 직종에 속한 경찰공무원, 해양경찰공무원보다 더 크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외상후스트레스 장애도 더 많이 겪고 있다. 이것은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은 저하할 수밖에 없는 환경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직무만족은 조직구성원이 자신이 맡은 직무를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감정으로서 직무 특성, 성향, 작업환경 등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이것은 소방공무원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데, 특히, 119구급대원이나 다른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 연구는 많지만, 포항지역 소방공무원을 연구한 것은 거의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포항지역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선행연구와 가설설정

2.1 직무특성과 직무 만족

직무특성은 조직구성원에게 만족과 동기를 제공하여 업무성과를 높이는 직무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의미한다.
조직구성원이 수행하는 직무는 개인에게 동기와 만족을 제공하여 성과와 몰입이라는 결과를 초래하고 직무충실화와 직무재설계로 이어진다. 조직구성원은 직무 특성에 따라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나 작업을 대하는 태도를 달리하는데, 이것은 직무를 수행하는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
직무 특성은 기술 다양성, 과업 정체성, 과업 중요성, 자율성, 과업피드백으로 이루어진다(Hackman and Oldham, 1976).
J.H. Lee (2011)는 경찰활동에서 조직 수준별 직무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직무요인으로 직무 다양성, 직무 중요성, 직무 완결성, 자율성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쳤고, 내적 동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m (2014)는 경찰관 직무만족도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직무 특성으로 도전적 직무, 기타 변수로 상관의 관리방식, 동료와 맺은 관계 등을 각각 설정하여, 도전적 직무가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을 입증하였다. Kim (2015)은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직무스트레스를 보수, 승진, 업무시간, 자율성, 조직 운영으로 구성하고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관계가 음(-)으로 나타났다. Choi et al. (2015)는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는데,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특성은 동료의 부상, 명백한 사망환자의 수습, 휴식시간, 스트레스 중재 프로그램이었다. 결국, 직무특성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직무 특성은 직무 만족에 영향을 정(+)으로 미칠 것이다.

2.2 직무부담과 직무만족

직무부담은 극단적이거나 유해한 직무를 수행할 것을 요구하거나(Gupta and Beehr, 1979), 특정 개인이 작업환경에서 지각한 조건이나 사건으로 말미암아 개인이 느끼는 역기능적 지각이나 감정(Parker and Decotiis, 1983)을 가리킨다. 직무부담 요인은 크게 물리적 환경요인, 조직요인, 직무요인, 개인 요인, 조직 외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J.H. Lee, 2011). Cha et al. (2018)은 경찰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생활 만족의 관계를 규명하였는데, 직무 스트레스를 직무요구, 직무 자율, 관계 갈등, 직무 불안정, 조직체계, 보상 부적절, 직장문화로, 직무 만족은 이직 의도, 직무 자체, 보수 수준, 호신⋅체포, 대인관계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관계 갈등과 직무 불안정이 이직 의도에 영향을 정(+)으로 미쳤고,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자체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요구와 직무 자율이 영향을 정(+)으로 미쳤다. 직무 스트레스가 보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 자율이 영향을 정(+)으로 미쳤고, 호신⋅체포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요구와 직무 자율이 영향을 정(+)으로 미쳤으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요구와 직무자 율이 영향을 정(+)으로 미쳤다. Lim and Kong (2019)은 소방시설관리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의 관계를 실증하기 위하여 직무 스트레스를 물리 환경, 직무요구, 직무 자율, 관계 갈등, 직무 불안정, 조직체계, 기대 보상, 직장문화로, 직무 만족을 일, 급여, 승진, 조직체계로 각각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 환경, 직무요구, 조직체계, 보상 부적절, 직장문화는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직무만 족에 영향을 부(-)로 미쳤다. 결국, 직무부담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2. 직무부담은 직무 만족에 영향을 부(-)로 미칠 것이다.

2.3 조직 갈등과 직무만족

조직 갈등은 목표의 불일치, 역할이나 책임의 모호, 자원 부족에 따른 경쟁, 상호의존성, 의사소통 왜곡, 직무 보상, 지각 차이, 구성원의 성격 차이에서 발생한다(Y.B. Lee, 2011). 갈등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은 순기능과 역기능으로 나눌 수 있는데, 순기능으로서 자기 정체성 확립, 병을 알려주는 자각증상, 규범과 규칙 확립, 좋은 의견을 찾기 위한 경쟁 촉진, 긴장을 촉진하여 인간과 사회를 위한 노력 촉진이 있다(Y.B. Lee, 2011). 반면에 역기능으로서 조직의 효과성 저해, 협력 분위기와 팀워크 상실, 적대 의식과 반목 격화, 독재적 리더십 형성, 경직된 편견 증가, 커뮤니케이션 감소, 편협한 기준 적용이 있다(Shin, 2015).
Cheong (2013)은 조직 갈등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데, 조직 갈등은 관계 갈등과 업무 갈등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를 제시하였다. 즉, 선행연구는 관계 갈등은 부정적 영향을, 업무 갈등은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나, 이 연구는 모든 갈등이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Hwang (2015)은 경찰관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직무 스트레스를 역할 갈등, 역할 모호성, 역할 과다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역할 갈등과 역할 모호성은 직무 만족에 영향을 부(-)로 미쳤으나, 역할 과다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on et al. (2010)은 경찰공무원이 겪는 관계 갈등과 소진 정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유의한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결국, 조직 갈등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3. 조직 갈등은 직무 만족에 영향을 부(-)로 미칠 것이다.

2.4 보상과 직무만족

보상은 조직구성원이 받는 기본임금 외 임금, 복리후생, 비경제적 직무, 직무환경, 유급휴가, 유급휴일, 승진을 포함한 부가급부, 유급휴일 의료지원, 연금 보조, 기타 수당을 가리킨다(Reynolds et al., 1978). 보상은 경제적 기능, 투자 기능, 종사원의 만족과 성과 기능을 갖고 있다(Min, 2010).
Jang (2019)은 보상체계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보상체계가 영향을 부(-)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보상체계가 좋을수록 직무 만족이 낮아지는 것을 나타내어,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Yu (2011)는 해양경찰 공무원이 받는 보상요인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보상요인은 외재적 보상요인, 직무적 보상요인, 사회적 보상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외재적 보상요인 중에서 복지후생, 승진, 신분보장, 근무환경이 직무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직무적 보상요인 중에서 직무중요성, 직무 흥미성, 성장기회, 직무적절성이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보상요인 중에서 구성원 인정감, 사회적 인정감, 동료의 지원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국, 보상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4. 보상은 직무 만족에 영향을 정(+)으로 미칠 것 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무특성, 직무부담, 조직갈등, 보상을 독립변수로 하고, 직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모형을 제시하면 Fig. 1과 같다.

3.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7년 포항지진에 투입된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가설설정에 이용한 선행연구를 이용하여 직무 특성 5문항, 직무부담 5문항, 조직 갈등 5문항, 보상 5문항, 직무만족 5문항으로 총 25문항이고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for Windows (Ver 26.0)으로 기술통계와 회귀분석을 하였다.
2019년 12월 현재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을 접촉하여 설문에 응하겠다고 응답한 270명을 2020년 1월 2일부터 1월 17일까지 조사하였다. 270명에게 배부한 설문지 중에서 회수하지 못한 것과 성실하지 못한 것을 제외한 21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Table 1은 표본특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소방업무 종사 기간은 6~10년 37.0%, 1~5년 31.3%, 11~15년 27.0%로 10년 이하가 68.3%였다. 연령은 30~39세 47.4%, 40~49세 31.3%, 20~29세 17.1%로 30대와 40대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담당업무는 행정 32.2%, 화재진압 23.7%, 구급 18.5%, 구조 18.0%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76.3%, 여성이 23.7%로 남성이 대부분이었고, 근무 형태는 내근 31.3%, 외근 68.7%로 현장 근무가 많았다. 교육 수준은 대졸 39.8%, 전문대 졸 37.4%, 대학 중퇴 15.2%로 고등교육을 받은 종사자가 92.4%를 차지하였다. 결혼은 기혼 50.7%, 미혼 41.2%, 기타 8.1%였다.

4. 분석 결과

우선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수행하였다(Table 2 참조).
먼저, 신뢰도는 알파계수가 0.6 이상인 것을 선정하였는데, 직무 특성은 .841, 직무부담은 .861, 조직 갈등은 .741, 보상은 .833, 직무만족은 .783으로 각각 나타나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 도구의 타당성은 요인분석으로 검증하였는데, 배리맥스(Varimax) 직교회전으로 고유치가 1.0 이상이고 요인 부하량이 0.4 이상인 것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요인 5개를 추출하였는데, 직무 특성은 요인 부하량이 .707~.839이고 고유치는 3.063이었다. 직무부담은 .684~.883이고 고유치는 3.198이었다. 조직 갈등은 요인 부하량이 .629~.787이고 고유치는 2.383이었다. 보상은 요인 부하량이 .622~.868이고 고유치는 3.013이었다. 직무만족은 요인 부하량이 .710~.850이고 고유치는 3.244이었다.
가설 1, 가설 2, 가설 3, 가설 4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설 1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채택하였다(Table 3 참조). 회귀분석 모형은 Adj. R2가 .490이고, F값은 51.371 (p = .000)로서 유의하였고, 직무부담(t = 4.102, p = .000), 조직갈등(t = 4.231, p = .000), 보상(t = 9.625, p = .000)이 각각 영향을 미쳤다. 분석 결과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보상, 조직갈등, 직무부담 순으로 나타나 장기간에 걸쳐 지진과 피해복구에 노출된 정신과 신체를 회복하기 위한 것이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5. 결 론

포항지진은 진앙이 얕은 곳에서 발생하였고 여진이 꾸준히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때 투입한 소방공무원은 적지 않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었다. 이것은 직무 만족과 관련된 것으로서 119구급대원이나 다른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 연구는 많지만, 포항지역 소방공무원을 연구한 것은 거의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포항지역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항지진에 투입한 소방공무원 중 대부분은 종사 기간이 10년 이하이고, 연령은 30대와 40대, 교육 수준은 고등교육 이상이었다. 둘째,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 것은 보상, 조직갈등, 직무부담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특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상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크게 미친 것은 직무환경이 열악하고 직무스트레스가 크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노출되어 있는 근무환경에서 각종 화재진압과 재난 현장에 출동하면서도 보상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현실을 반영하였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조직갈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 것은 한정된 자원, 미흡한 정책 등으로 조직구성원 사이에 의견이 일치하지 않거나 생각과 행동 차이에서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유대감을 형성하지 못하고 조직이나 팀에 몰입하지 못하여 직무 스트레스, 이직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갈등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정책과 자원, 절차를 확립하여야 한다.
셋째, 직무부담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 것은 다른 직종이나 업무와 달리 업무강도가 강한 소방직무는 위급한 상황에서도 법률이나 규칙을 준수하여야 하고 소방업무 외에 방호와 예방도 수행하여야 하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이것은 소방업무라는 특성을 반영한 업무지침, 책임과 권한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직무특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은 안전책임을 지고 위급한 주민이나 환자를 구조하고 이송하는 일을 한다는 자부심보다 긴급출동, 불규칙한 생활, 교대근무 등을 발생하는 어려움, 처우 불만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소방행정, 업무환경, 복지 등을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에 종사 기간, 연령, 담당업무, 성별, 근무 형태, 교육 수준, 결혼을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를 추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직무만족은 직장 외 생활요인에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셋째,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반영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한계는 향후 연구에 반영하여 새로운 결과와 시사점을 제시하는 바탕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지진 전문인력 양성 사업의 연구비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Fig. 1
The Model
kosham-20-2-163f1.jpg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Career in present work unit (yr) 1~5 66 (31.3)
6~10 78 (37.0)
11~15 57 (27.0)
16~20 6 (2.8)
20 < 4 (1.9)
Age (yr) 20~29 36 (17.1)
30~39 100 (47.4)
40~49 66 (31.3)
50~59 9 (4.2)
Work unit administration 68 (32.2)
fire suppression 50 (23.7)
emergency rescue 39 (18.5)
rescue 38 (18.0)
driving 14 (6.6)
the others 2 (0.9)
Gender female 161 (76.3)
male 50 (23.7)
Types of work desk job 66 (31.3)
outside duty 145 (68.7)
Educational level high school 15 (7.1)
college 79 (37.4)
dropping out of the university 32 (15.2)
university 84 (39.8)
graduate school 1 (0.5)
Marital status unmarried 87 (41.2)
married 107 (50.7)
the others 17 (8.1)
211 (100.0)
Table 2
Factor Analysis
Factor Item factor loading Eigen value Cron. ἁ
Job Characteristics Fear of life threats or injuries when working in the field. .726 3.063 .841
The site was dangerous and had been passive. .818
In order to get to the scene quickly, broken the traffic laws .815
Frequent dispatch and training are not good for health. .707
Field work is either an area of interest or an area of interest. .839
Workload There are many other tasks besides the ones I have been in charge of. .769 3.198 .861
There are times when I have to work in a different direction than I judged. .883
Sometimes we ignore rules or policies in order to perform a task. .797
Work intensity should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684
The scope for performing tasks and taking responsibility is not clear. .783
Organizational Conflicts Conflict with bosses forcing improper instructions .724 2.383 .741
Conflict with the boss who unfairly evaluated personnel evaluation. .686
My coworker does not encourage or respect me. .629
I think my colleague criticizes me unfairly. .642
I don’t think the standards or rules for doing business are clear. .787
Compensations Considering the nature of work, salary and income are appropriate. .622 3.013 .833
Work harder because treatment is getting better. .804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to develop skills. .811
I work hard because I think my situation will be better. .754
There is plenty of opportunity to demonstrate your ability. .868
Job Satisfaction Sometimes I want to quit a fire job. .710 3.244 .783
I am proud of my job. .850
I think the job helps me develop myself. .850
I really like my job as a firefighter. .757
When you think about firefighting, I may not want to go to work. .824
Table 3
Regression Results for Hypothesis
Depen. Variable Indepen. Variable beta t Adj. R2 F
Job Satisfaction Job Characteristics −.003 −.042 .490 51.371***
Workload .268 4.102***
Organizational Conflicts .257 4.231***
Compensations .544 9.625***

* p < 0.05

** p < 0.01

*** p < 0.001

References

Cha, US, Yoon, YS, and An, DS (2018)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olice officers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Vol. 42, No. 3, pp. 27-42.
crossref
Cheong, JO (2013)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onflic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 24, No. 2, pp. 461-482.
crossref
Choi, SS, Han, MA, Park, J, Ryu, SY, Choi, SW, and Kim, HR (2015) Impact of job-related characteristics and post-traumatic str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119 rescue crew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26, No. 4, pp. 286-296.
crossref
Gupta, N, and Beehr, TA (1979) Job stress and employee behavior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 23, No. 3, pp. 373-387.
crossref pmid
Hackman, JR, and Oldham, GR (1976)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 16, No. 2, pp. 250-279.
crossref
Hwang, CH (2015) A study on the type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Vol. 24, No. 1, pp. 223-251.
crossref
Jang, IJ (2019). The effect of job environment and compensation system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Ph.D.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crossref
Kim, H (2015) Job stress, coping type, and job satisfaction in firefight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4, No. 4, pp. 323-330.
crossref
Lee, JH (2011)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the police organization level: Difference analysis between GyeongBuk Provincial police agency and police station officials. 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e and Security Studies, Vol. 7, No. 4, pp. 103-126.
crossref
Lee, YB (2011). A study on the impacts of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h.D. dissertation. Kyungwon University.
crossref
Lim, CH (2014)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s among police officers. Korean Police Studies Review, Vol. 13, No. 3, pp. 239-272.
crossref
Lim, KY, and Kong, HS (2019) Effects of task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of fire protection management worker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3, No. 5, pp. 130-139.
crossref pdf
Min, KH (2010). Personal management. Seoul: Muyok pub.
crossref
Parker, DF, and DeCotiis, TA (1983)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 32, No. 2, pp. 160-177.
crossref
Reynolds, LG, Masters, SH, and Moser, CH (1978). Labor economics and labor relations. 7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crossref
Shin, WM (2015). The influence of leader’s conflict management style on leader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mong employees in professional dance company. Ph.D.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crossref
Son, YJ, Choi, EY, and Song, YA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18, No. 4, pp. 345-351.
crossref
Yu, YH (2011).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the maritime police officer.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The Research Institute of Social Science, Dongguk University, Vol. 18: No. 3, p 181-204.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