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22(6); 2022 > Article
국가핵심기반 재난관리자원 비축체계 개선 연구: 발전시설을 중심으로

Abstract

As disasters are characterized by uncertainty, complexity, and diversity, it is necessary to secure proactive and systematic preparedness. In particular, disasters occurring in critical infrastructure can lead to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as well as secondary and tertiary damage. In Korea, there are six power plants, including Korea Hydro & Nuclear Power. These facilities play a crucial role in generating electric power, and the paralysis of power-generating functions due to disasters can cause damage to all industrial and economic areas. Therefore,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minimize the spread of damage by preparing an efficient early response system.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minimizing damage to important power plants during disasters by improving the system for storing disaster resources, which are crucial for the early response activities of power plants.

요지

재난은 불확실성, 복잡성, 다양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대비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국가핵심기반 중 발전시설은 국내 전력생산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재난으로 인해 발전시설의 기능이 마비되는 경우 모든 산업, 경제 분야까지 피해가 확대 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초동대응체계 마련을 통해 피해의 확산을 최소화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재난 발생시 피해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초기대응에 투입되는 재난관리자원의 적정량과 배치계획 등이 중요하며, 발전시설의 경우 피해가 확대될 수 있는 위험시설이 산재되어 있어 재난 특성 따른 재난관리자원의 체계적인 관리가 반드시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가핵심기반 중 ‘H 발전시설’을 중심으로 자체적인 초동대응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재난관리자원의 비축체계 개선을 통해, 재난 발생 시 국가중요시설인 발전시설의 피해를 최소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서 론

세계적인 이상기후 증가 및 급속한 사회변화에 따라 편안하고 안전한 일상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사회적 풍토가 확산되고, 정부는 재난에 대한 예방, 대비, 대응, 복구를 위해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중심으로 국가차원에서 재난을 예방 및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재정책을 추진하고 있다(Song and Yang, 2019).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상 국가핵심기반은 지정기준에 따라 재난 발생 시 타 국가핵심기반 등에 미치는 연쇄효과, 국가안전보장과 경제⋅사회에 미치는 피해 규모 및 범위를 고려하여 재난으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는 ‘국가핵심기반 보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국가핵심기반 중 발전시설은 한국수력원자력을 포함하여 총 6개의 시설이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해당 시설은 국내 전력생산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시설에서 생산되는 전기는 국민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만약 재난으로부터 발전시설의 기능이 마비되는 경우 모든 산업, 경제 분야까지 피해가 확대 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초동대응체계 마련을 통해 피해의 확산을 최소화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국가핵심기반 중 발전시설을 중심으로 자체적인 초동대응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재난관리자원의 비축체계 개선을 통해, 재난 발생 시 국가중요시설인 발전시설의 피해를 최소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선행연구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9)는 20년 동안 동원된 재난유형별 자원을 분석하여 자원 동원체계 문제점 및 개선방안, 지자체가 확바해야 하는 재난유형별 중점관리자원을 선정하고, 위험평가를 기반으로 재난관리자원의 비축기준 및 비축량을 도출하였다
Lee et al. (2015)은 재난관리자원의 비축과 동원에 대한 사례 분석 및 가이드라인 작성을 통해 실제적인 비축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Jung et al. (2013)은 중앙부처, 지자체, 군, 민간기업 등이 각각 관리하는 재난관리자원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내 재난관리자원의 운영 현황 분석 및 선진사례 조사를 통해 자원의 분류체계, 표준화, 통합정보시스템 필요성을 제시 하였다.
Lee (2020)는 주요 선진국(미국, 영국, 일본 등)의 재난관리자원 관리제도 간 비교법적 연구를 통해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Disaster Resource Sharing System, DRSS) 데이터베이스의 현행화 미흡, 민간단체 등과 협약을 통해 관리되고 있는 자원(장비)이 필요한 시점에 필요 수량만큼 동원(확보)되지 못하는 한계 등 재난관리자원의 관리의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Kim et al. (2020)은 재난관리자원 관리체계 실태조사를 통해 자원의 현행화에 따른 문제점 및 지자체의 재난관리자원 관리체계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20)은 풍수해, 화학재난, 감염병 등 재난 유형별 대응⋅수습 재난관리자원 목록을 작성하여 재난관리자원의 분류체계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에 수행되었던 재난관리자원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재난 발생 시 자원의 동원체계 및 활용 위한 관리체계 개선을 중심으로 추진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국가핵심기반의 특수성을 고려한 재난관리자원의 비축체계에 대한 연구는 수행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연구방법

국가기반시설 중 발전시설 역할을 고려하면, 국내 타 국가핵심기반 또는 재난관리책임기관보다 국민안전에 직결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재난 발생 시 발전시설 기능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난관리자원 비축체계 구축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 일부 발전시설에서는 터빈 및 변압기 화재, 수상 태양광 화재, Tripper room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되었으며, 최근 발전본부 시설의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지속적인 잠재적 위험요소가 나타나고 있으나, 발전시설에 특화된 재난관리자원의 적정수준 및 응원기준이 부재한 상황이며, 특히 국내 다수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발전본부별 재난관리자원은 지역적,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보유량이 한정적이므로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기업과의 협업 및 응원체계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가핵심기반중 발전시설을 중심으로 내⋅외부 재난관리자원 현황 조사 및 분석, 발전본부별 취약요인, 위험성 평가, 재난관리자원 평가 등을 바탕으로 발전시설의 재난관리자원 비축체계 구축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4. 재난관리자원 운영⋅관리 제도

4.1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과 동법 시행령은 각각 10장과 9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법 주요 내용은 재난관리 책임기관의 예방활동과 방재자원 비축, 동원, 응원 등에 관한 사항을 다루고, 시행령은 긴급구조지원 기관과 재난 상황관리를 위한 장비운영 및 관리 등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동법 시행규칙을 통해 긴급구조지원 기관의 세부 사항을 다루고 있다.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제25조의 2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의 재난예방조치 등)에서는 재난관리책임기관장으로써 재난 예방을 위한 재난관리자원 비축을 명시하고 있으며, 제 34조(재난관리자원의 비축⋅관리)에서는 재난대응을 위한 재난관리자원 비축 및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 운영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고 있다.
동법 제39조(동원명령 등) 및 제44조(응원)는 재난 발생 시 재난관리자원 동원 및 응원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고 있으며 제52조(긴급구조 현장지휘)에는 긴급구조 시 필요한 재난관리자원에 대한 사항을 명시하고 제55조(재난대비능력 보강)에는 재난관리자원 운영을 위한 재정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동법 시행령에서는 재난관리자원을 비축해야 하는 기관과 비축 자원에 대해서 명시하고 있음. 제4조(긴급구조지원기관)는 재난관리책임기관으로써 재난관리자원을 비축하고 있는 기관을 명시하고 있으며, 제43조(재난관리자원의 비축⋅관리 등)는 비축하고 있어야 하는 재난관리자원 물품을 명시하고 있다.

4.2 자연재해대책법

‘자연재해대책법’ 제 26조에서는 설해 대비용 재난관리자원 비축 및 관리, 제 35조는 부처별 긴급지원사항에서 재난관리자원 동원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동법 시행령에서는 긴급지원계획 수립 시 시설 응급복구에서 재난관리자원 동원사항을 포함하고, 시행규칙에서는 방재물자⋅동원장비의 확보⋅지정 및 관리에 관한 사항, 유관기관 및 민간단체와의 협조⋅지원에 관한 사항을 다루고 있다.

4.3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기준

2016년 국민안전처(현 행정안전부)는 재난관리책임기관이 보유한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DRSS)’을 통해 통합관리하고 재난현장에 신속하게 동원할 수 있도록 “재난관리자원의 공동활용 기준”을 개정하였다. 이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규칙’에 따라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 등 재난관리책임기관과 민간기관⋅단체 등이 개별적으로 보유 또는 관리하고 있는 재난관리자원의 업무처리와 활용범위⋅기준 등을 정하고 재난관리자원이 재난발생현장에 신속히 투입⋅지원할 수 있도록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운영관리를 표준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기준은 자재, 장비, 인력 등의 재난관리자원의 분류기준을 협업기능으로 단일화하여 평상시 자원관리와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자원동원에 혼란이 없도록 한다.

4.4 재난관리자원 통합관리시스템

행정안전부는 2021년부터 재난관리자원의 관리체계 부실로 인한 예산 낭비 및 재난 시 실제 필요한 자원의 과부족 및 동원지연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민간의 역량과 자원을 활용한 ‘재난관리자원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국가적 재난 발생시 재난 자원의 적시적소 투입 및 신속한 재난 수습을 지원하고, 재난관리자원의 소요량 예측, 시뮬레이션 등을 기능을 포함한다

4.5 재난관리자원의 분류 및 시스템 이용에 관한 규정

‘재난관리자원의 분류 및 시스템 이용에 관한 규정’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재난관리책임기관에서 비축⋅관리하거나 민간기관⋅단체에서 지정⋅관리하고 있는 재난관리자원의 공동활용을 위한 재난관리자원의 분류기준을 정하고,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 구축⋅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재난관리자원을 “장비”, “물자 및 자재”, “인력”으로 구분하고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을 활용하여 자원의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하는 사항을 포함한다.

4.6 재난관리자원 운영⋅관리의 제도적 문제점

현재 재난관리자원 운영⋅관리 제도는 재난관리자원의 동원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재난유형별 분류체계가 마련되지 못하고, 민간영역에서 보유하고 있는 재난관리자원을 동원할 경우 자원의 연계조항이 미비하며, 긴급재난 발생 시 즉각적인 상호지원에 한계점을 가진다. 또한, 현재 재난관리자원은 중앙부처, 지자체, 유관기관, 군, 민간기관 등의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긴급상황 발생 시 응원요청을 통해 자원을 운영하고 있으나, 재난 유형따라 적합한 자원을 체계적으로 배치 및 운영하는 시스템이 미흡하고, 민간영역에서 재난관리자원을 동원한 이후 적절한 보상체계가 부재하여, 지역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재난관리자원을 적극적으로 집중동원 및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5. 재난관리자원 대응사례 분석

재난관리자원의 신속한 동원을 통해 초동대응을 성공적으로 이행하는 것은 재난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대규모 피해로 확산될 수 있는 재난의 경우 인근지역의 재난관리자원을 1차적으로 동원하고, 해당 자원의 신속한 동원이 어려운 경우 즉시 광역단위의 재난관리자원을 요청하여 집중적으로 자원을 투입해야 한다. 다음 재난발생 사례는 재난관리자원 동원 및 효율적 투입시기의 중요성을 보여준다(Table 1).
Table 1
Case of Disaster Resources
Disaster Forest fire in Gangwon-do Province Fire accident in Daegu Metro Crude oil spill from the Hebei Spirit Dust collector fire at 00 Power Plant
Time of occurrence April 4, 2019 February 18, 2003 December 7, 2007 June 23, 2019
Response body Local government ->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 central government Responded by the power plant
Result of early response Succeeded Failed Failed Succeeded
Response procedure • Quickly identified available disaster control resources by keeping disaster control resources up-to-date
• Quickly mobilized disaster control resources around the nation (fire trucks, helicopters, etc.)
• Failed to suppress the fire in the early stage due to the lack of disaster control resources at the subway station
• Resulted in large-scale casualties due to delay in on-site entry as the emergency rescue agency also lacked disaster control resources
• Resulted in widespread of spilled oil due to the lack of disaster control resources for early action and emergency action
• Could not adequately allocate resources due to too many kinds of disaster control resources required in wide area
• Identified internal risk factors in advance and proactively stored necessary disaster control resources
• Prevented large-scale damage by quickly mobilizing disaster control resources required to suppress the dust collector fire
발전시설을 포함한 지자체, 공공기관 등 대부분의 기관에서 재난관리자원 비축량을 지침이나 별도의 기준 없이, 전년도 사용량을 비축량으로 적용하거나, 최근 10년간 사용량의 평균값을 도출하여 정수로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축량 산정은 재난의 발생빈도만을 고려한 방법이며, 위험성이 높은 재난유형 또는 잠재적 재난 발생 시 적정한 자원의 종류 및 수량을 동원하기 어렵다. 특히, 현재 지자체 중심으로 자연재난에 초점이 맞춰진 재난관리자원 분류체계를 사회재난의 위험성이 높은 발전시설에 그래도 적용하는데도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재난발생 시 효과적으로 재난관리자원을 동원하고 신속한 초동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발전시설의 특성을 반영한 재난관리자원 분류 및 비축량 산정이 필요하다.

6. 발전시설 재난관리자원 비축량 산정

본 연구는 국내 발전사 중 국가핵심기반에 포함된 ‘H발전(주)’의 재난관리자원 관리체계를 분석하고, 지역적, 지리적,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위험평가를 통해 선정된 중점관리 재난유형별 재난관리자원 비축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기관인 ‘H발전(주)’은 4개 발전소에서 유연탄, 무연탄, BC유, LNG 등을 원료를 사용하여 총 10,611.9 MW의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국내 전력공급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발전시설이다. 본 연구는 ‘H발전(주)’의 재난관리자원 비축량 적정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각 사업소별 위험평가, 발전본부별 내외부 위험요소 분석, 타 발전시설 대비 재난관리자원 비축량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사업소의 위험평가는 지리적, 기후적, 시설별 특성 등을 반영하였으며, 재난유형별 ‘발생가능성(빈도)’, ‘피해심각성(강도)’를 평가척도로 사용하고, 해당 사업소가 위치한 지리적 여건(내륙지역, 해안지역, 산지지역 등), 최근 20년간 기후정보(연평균기온, 강수량, 열대야일수, 폭염일수, 최대풍속 등), 지진발생 기록(최대계기진도) 등의 데이터를 취합하였다. 사업소별 지리적, 지형적 특성을 보면 전 사업소는 민간인 주거지역과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A사업소는 해안지역, B사업소는 내륙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C사업소는 고지대, 산지지형, D사업소는 개활지에 위치하고 있다.
위험평가로 도출된 중점관리 재난유형은 재난관리자원 비축항목 결정 시 반영하였다(Fig. 1). 이후 각 사업소별 내부 취약지역 및 외부 위험요소 분석은 각 지역별 현장조사 및 담당자 면담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재난 발생 시 재난관리자원의 집중투입 지역 및 재난피해의 외부적 확산요소를 파악하였다(Table 2).
Fig. 1
Focused Control Disaster Types Through Risk Assessment at Each Power Plants
kosham-2022-22-6-165gf1.jpg
Table 2
Internal and External Risk Factors at Each Power Plants
Division Internal Factors External Factors
A Power Plant • Machine/Equipment (fuel equipment, turbines, etc.), fuel storage tanks (kerosene, etc.), underground power facilities • Relatively distant from related agencies
• High risk of marine disasters due to coastal adjacency
B Power Plant • Machine/Equipment (fuel equipment, denitrification, turbines, etc.), hydrogen storages, harmful chemical (ammonia, hydrochloric acid, etc.) storage tanks, fuel supply pipes • High risk of marine disasters due to coastal adjacency
• Located nearby companies that handle harmful chemicals
C Power Plant • Fuel (decompressed oil, natural gas, etc.) storage tanks, harmful chemical (ammonia water, etc.) storage tanks, fuel supply pipes, underground power facilities • Large traffic volume due to location nearby city
• Relatively close to related agencies
D Power Plant • Fuel (fuel oil, hydrogen, etc.) storage tanks, fuel supply pipes, machine/equipment (fuel equipment, turbines, etc.), tank lorry unloading hoses • Area with large snowfall
• Located nearby coast
재난관리자원 비축량의 적정수준은 국내 발전시설을 지리적조건, 발전용량, 사용연료 등으로 구분하고 각 발전시설이 보유하고 있는 재난관리자원 비축량을 비교하여(Tables 3, 4), ‘H발전(주)’의 각 사업소가 비축하고 있는 재난관리자원의 적정수준 및 추가로 필요한 재난관리자원의 품목 및 수량을 파악하였다.
Table 3
Comparison of Disaster Resources Stockpile According to Generation Capacity (2,000 MW or Above-Below 5,000 MW)
Division Name of Resource Unit Other Power Plants H Power Generator U Office Mean Median (Max. +Min./2) Resource Rank Ranking
A Power Generator Y Office A Power Generator S Office N Power Generator S Office S Power Generator P Office J Power Generator B Office J Power Generator S Office
Common resources Equipment Emergency facility recovery Engine pump EA 4 5 3 2 0 0 2 2.3 2.5 4
Water pump EA 12 12 1 0 1 1 6 4.7 6 3
Caterpillar bulldozer EA 0 0 6 0 0 0 0 0.9 3 2
Sewer cleaner EA 0 0 1 0 0 0 0 0.1 0.5 2
Wheeled loader EA 0 0 1 0 0 0 0 0.1 0.5 2
Wheeled excavator EA 0 0 1 0 0 0 0 0.1 0.5 2
Medical quarantine Firefighting and chemical vehicle EA 0 0 1 1 1 1 1 0.7 0.5 1
Disaster site environment maintenance Road sweeper EA 1 0 1 0 0 0 0 0.3 0.5 3
Skid steer loader EA 0 0 1 0 0 0 0 0.1 0.5 2
Others Forklift EA 0 0 5 1 0 0 1 1 2.5 2
Wheeled crane EA 0 0 0 0 0 0 1 0.2 0.5 1
Cargo truck EA 0 0 1 0 0 0 1 0.3 0.5 1
Firefighting pump EA 0 0 3 0 0 0 0 0.4 1.5 2
Supply Traffic measure Calcium chloride Kg 0 5,000 250 5,000 0 0 0 1,464.3 2,500 4
Deicing chemical or defroster Kg 0 0 0 0 0 250 0 35.7 125 2
Medical quarantine Gas mask EA 10 100 260 0 0 0 35 57.9 130 3
Epidermal disinfectant 0 0 0 0 208 0 0 29.7 104 2
Quarantine and surgical mask for medical professionals EA 0 0 0 0 62 0 0 8.9 31 2
Mask or supplementary supply EA 0 0 0 0 8,000 1 0 1,143 4,000 3
Disaster site environment maintenance Oil fence m 300 0 1,000 840 580 0 960 525.7 500 2
Roll type oil absorbent Kg 10 0 0 0 0 0 0 1.7 5 2
Mat type oil absorbent Kg 100 92 0 750 920 11 500 338.9 460 3
Boom type oil absorbent Kg 60 0 0 0 0 0 0 8.6 30 2
Protective work clothes EA 0 0 0 4 800 0 0 114.9 400 3
Oil remover 0 0 0 0 396 180 342 131.1 198 2
Individual resource Equipment Energy recovery Diesel generator EA 2 0 0 0 0 0 0 0.3 1 2
Emergency communication Two-way radio EA 0 0 214 0 0 0 0 30.6 107 2
Supply Traffic measure Snow removal box EA 0 26 0 0 0 0 0 3.7 13 2
Table 4
Comparison of Disaster Resources Stockpile According to Main Fuel (LNG)
Division Name of Resource Unit Other Power Plants H Power Generator I Office Mean Median (Max. +Min./2) Resource Rank Ranking
A Power Generator S Office A Power Generator B Office A Power Generator Y Office A Power Generator A Office J Power Generator S Office J Power Generator I Office S Power Generator G Office
Common resource Equipment Emergency facility recovery Engine pump EA 2 3 2 2 0 0 2 2 1.6 1.5 2
Water pump EA 2 6 4 2 0 0 0 0 1.8 3 5
Traffic measure Truck-attached snowplow EA 0 0 1 0 0 0 0 0 0.1 0.5 2
Others Forklift EA 0 1 1 0 0 0 1 1 0.5 0.5 1
Cargo truck EA 1 1 1 1 0 0 1 1 0.8 0.5 1
Firefighting water tank vehicle EA 0 0 0 0 0 1 0 0 0.1 0.5 2
Supply Traffic measure Calcium chloride Kg 700 0 2500 375 250 0 0 1500 665.6 1,250 2
Rescue Heatproof clothes EA 0 2 0 0 0 10 0 0 1.5 5 3
Emergency living supply First aid supply EA 0 0 0 0 0 0 1 0 0.1 0.5 2
Medical quarantine Gas mask EA 0 2 161 19 70 110 10 10 47.8 80.5 5
Epidermal disinfectant EA 0 0 0 0 0 50 0 0 6.3 25 2
Quicklime Kg 0 0 480 0 0 0 0 0 60 240 2
Mask or supplementary supply EA 0 0 0 0 6,820 2000 0 0 1102.5 3,410 3
Disaster site maintenance Oil fence m 20 600 0 15 0 0 0 0 79.4 300 4
Mat type oil absorbent Kg 0 0 51.4 0 0 0 60 4 14.4 25.7 3
Boom type oil absorbent Kg 0 0 40 0 0 0 0 0 5.0 20 2
Protective work clothes EA 0 0 13 0 50 0 20 0 10.4 25 4
Oil remover 200 285 90 0 0 0 0 0 71.9 142.5 4
Individual resource Equipment Emergency communication Diesel generator EA 0 0 0 1 0 0 0 0 0.1 0.5 2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 EA 0 0 0 0 0 0 13 0 1.6 7.5 2
Two-way radio EA 0 0 0 0 0 0 0 5 0.6 2.5 1
Supply Medical quarantine Dangerous article protection clothes EA 0 0 0 0 50 0 0 0 6.3 25 2
각 사업소별 재난관리자원의 신규품목 및 필요수량은 위험평가 결과인 중점관리 재난유형의 필요자원 품목을 반영하였으며, 재난발생 시 초기대응 인력규모, 사고발생 예상 지역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Table 5). 또한, 유사규모의 타 발전시설 대비 부족한 일부 자원의 경우 시설 내 안전성을 향상시킨다는 측면에서 최소수량 이상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개선된 품목의 재난관리자원은 시설 내 재난 발생 시 사각지대 없이 재난 현장에 적정수준의 재난관리자원을 신속하게 동원할 수 있도록, 사고발생 예상지역 및 재난유형에 맞도록 배치하였다.
Table 5
Additional Quantity of Disaster Resources Required
Division Item Name Unit In Possession (A) Required Quantity (B) Difference (A-B) Remarks
A Power Plant Equipment Firefighting chemical vehicle EA 1 2 -1
Water pump EA 45 45 0
Engine pump EA 10 23 -13
Road sweeper EA 1 1 0
Forklift EA 1 2 -1
Cargo truck (2-ton) EA 1 3 -2
Wireless transceiver EA 5 10 -5
Satellite phone EA 0 1 -1 New
Flexible ladder vehicle EA 1 1 0
Fire pump vehicle EA 1 1 0
Portable fire pump EA 10 10 0
Supply Gas mask (for display) EA 30 30 0
Gas mask (for fire evacuation) EA 24 860 -836
Oil fence m 1,840 1,840 0
Oil absorbent kg 130 920 -790
Calcium chloride kg 3,000 3,000 0
Health mask (KF94) EA 3,000 3,000 0
Epidermal disinfectant EA 200 200 0
Protective work clothes (level D) Sets 200 300 -100
B Power Plant Equipment Firefighting chemical vehicle EA 1 2 -1
Water pump EA 6 15 -9
Engine pump EA 2 3 -1
Forklift EA 1 2 -1
Wheeled crane EA 1 1 0
Cargo truck EA 1 3 -2
Wireless transceiver EA 5 10 -5
Satellite phone EA 0 1 -1 New
Portable foam fire extinguisher Units 0 10 -10 New
Supply Gas mask (for display) EA 35 35 0
Gas mask (for fire evacuation) EA 0 270 -270
Protective work clothes (level D) Sets 100 150 -50
Health mask (KF94) Sheets 1,500 1500 0
Epidermal disinfectant EA 50 50 0
Oil fence m 960 1,000 -40
Oil remover 342 1,000 -658
Oil absorption mat kg 500 1,000 -500
C Power Plant Equipment Cargo truck (work vehicle) EA 1 3 -2
Forklift EA 1 2 -1
Engine pump EA 2 3 -1
Wireless transceiver EA 5 10 -5
Satellite phone EA 0 1 -1 New
Portable foam fire extinguisher EA 0 4 -4 New
Supply Gas mask (for display) EA 10 23 -13
Gas mask (for fire evacuation) EA 0 140 -140 New
Oil absorbent kg 4 75 -71
Calcium chloride kg 1,500 1,500 0
D Power Plant Equipment Cargo truck (work vehicle) EA 1 3 -2
Forklift EA 1 2 -1
Road sweeper EA 1 1 0
Engine pump EA 3 5 -2
Wireless transceiver EA 5 8 -3
Supply Oil absorbent kg 30 68 -38
Oil remover 198 446 -248
Gas mask (respirator) EA 154 154 0
Gas mask (for fire evacuation) EA 0 347 347 New
Calcium chloride kg 550 550 0
현재 ‘H발전(주)’에서 자체적으로 비축하는 재난관리자원은 분류체계에 따라 부족한 품목은 없으나, 중점관리 재난유형의 재난 발생 시 투입되는 비축자원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해당 자원을 보유한 민간기업(기관)과의 사전협업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경우 골든타임 이내 재난관리자원이 현장에 도착할 수 있도록 이동거리(시간)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속한 재난관리자원 동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각 사업소별 반경 20 km 이내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동원 가능한 민간자원 인벤토리를 구축하여 다음과 같이 재난관리자원 사업소별 비축량을 수립하였다(Table 6).
Table 6
Optimum Stockpile of Disaster Resources (A Power Plant)
Division Item Name Unit As Is To Be (Plan)
Equipment Firefighting chemical vehicle EA 1 1
Water pump EA 45 45
Engine pump EA 10 20
Road sweeper EA 1 1
Forklift EA 1 1
Cargo truck (2-ton) EA 1 1
Wireless transceiver EA 5 10
Satellite phone EA 0 1
Flexible ladder vehicle EA 1 1
Fire pump vehicle EA 1 1
Portable fire pump EA 10 10
Supply Gas mask (for display) EA 30 30
Gas mask (for fire evacuation) EA 24 660
Oil fence m 1,840 1,840
Oil absorbent kg 130 730
Calcium chloride kg 3,000 3,000
Health mask (KF94) EA 3,000 3,000
Epidermal disinfectant EA 200 200
Protective work clothes (level D) Sets 200 300

7. 결 론

본 연구는 국가핵심기반 중 발전시설을 중심으로 내⋅외부 재난관리자원 현황 조사 및 분석, 발전본부별 취약요인, 위험성 평가, 재난관리자원 평가 등을 바탕으로 발전시설의 재난관리자원 비축량 산정체계를 마련하였다.
현재 재난유형별에 따라 대응활동에 필요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수준의 자원을 자체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나, 대규모 재난으로의 확산을 초기에 차단하기 위해서는 지역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민간영역의 재난관리자원을 범정부 차원에서 빅데이터 수준의 인벤토리로 구축될 필요가 있다. 또한 단일 유형의 재난을 가정하고 구축된 재난관리자원 분류체계를 개선하여 복합재난(2개 이상의 재난유형이 복합적으로 연쇄되어 발생하는 재난 유형)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재난관리자원 항목 분류체계의 고도화, 그리고 재난의 피해범위 및 확대범위를 예측한 재난관리자원의 응원체계도 개선 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한 재난관리자원 비축량 산정방법은 다양한 특성을 가진 모든 국가핵심기반에 적용하는데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각 기관별 지리적, 지역적, 기관별 특수성 등을 반영하고, 중점관리 재난유형분석 및 피해영향분석을 통해 보다 실효적인 재난관리자원 비축체계를 구축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2022년도 광주대학교 대학 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Jung, W.Y, Lee, C.H, and Jang, D.W (2013) Strategy to improve operation system for systematic disaster resource mobilization. Crisisonomy, Vol. 9, No. 6, pp. 65-80.
crossref
2. Kim, J.H, Kim, T.H, and Jung, J.W (2020) A study on the management improvement of disaster recovery resources of municipality with field survey.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6, No. 1, pp. 155-162.
crossref
3. Lee, C.Y, Kim, T.H, and Park, G.J (2015) A study of the stockpile and mobilization framework for th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1, No. 3, pp. 376-384.
crossref
4. Lee, W (2020). A leg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resources. Ph.D.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crossref
5.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9). The development of disaster resources stockpile management technology foresight.
crossref
6.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20)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revisiting disaster resource management system:Focusing on the physical resource.
crossref
7. Song, C.Y, and Yang, B.S (2019) Proposal of an analysis technique for investment priority using disaster assess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9, No. 6, pp. 181-186.
crossref pd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