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Hazard Mitig Search

CLOSE


J. Korean Soc. Hazard Mitig. > Volume 23(1); 2023 > Article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화재 온도분포 특성에 관한 해석적 연구

Abstract

In petrochemical plant facilities handling highly inflammable and combustible substances, it is necessary to preferentially review the frame type (closed or open) of the facility with consideration to the various fire conditions that may arise depending on the substances being handled. Accordingly, a fire simulation was carried out in this study for different fire conditions by assuming three frame types, and the spatial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analyzed for each condition. Various temperature distribu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fire type, fire source, and frame type of the fac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petrochemical plant facilities handling diverse substances need to implement fire-resistant designs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the facility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arrangement and frame type of the facility and the fire conditions that are likely to arise.

요지

일반적인 시설물과 달리 높은 인화성 및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경우, 취급하는 물질에 따른 다양한 화재조건들과 더불어 시설물의 구조형태(밀폐형, 개방형 등)들을 우선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구조형태 3종을 가정하여, 화재조건별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각 조건별로 도출된 공간 온도분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화재유형 및 화원의 종류와 더불어 시설물 구조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온도분포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미뤄 볼 때, 생산 목적에 따라 다양한 물질을 취급하는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경우, 설비/시설물의 배치 및 구조적 형태와 더불어 화재 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조건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그에 상응하는 내화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 서 론

석유화학 플랜트는 일반 시설물과는 달리 생산과 제조를 목적으로 하는 산업용 시설물로서, 취급하는 물질이 갖는 높은 위험성으로 인해 화재/폭발에 대한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다. 특히 플랜트는 설비(저장탱크, 압력용기, 밸브, 배관, 펌프 등)와 시설물(제조소, 취급소, 저장소 등)들이 복잡하게 얽혀져 있고 설비가 시설물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화재 시 다양한 화재 양상을 보일 수 있다. Assael and Kakosimos (2010)는 석유화학 플랜트의 화재/폭발 및 유독가스 분산에 따른 위험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Lowesmith et al. (2007)은 석유 및 가스 산업에서 탄화수소 Jet fire의 위험성 계산 및 평가를 위한 프로세스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Ahmadi et al. (2019)은 CFD에 기초한 유류 저장고 Pool fire의 위험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처럼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화재조건들에 대한 위험성을 인지하고 이와 관련한 연구들이 현재까지도 다수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시설물은 화재 시 구조적인 붕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내화구조로 설계되고 있으나, 실사용 단계 시 취급 물질의 연소에서 발생하는 화재특성과 더불어 구획조건 등의 다양성을 고려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는 미흡한 편에 속한다. 이에 화재 및 구조공학을 중심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화재특성 및 구조안전성을 예측하는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Rajendram et al. (2015)는 시뮬레이션을 토대로 Jet fire, Pool fire, Ball fire가 발생했을 시 주변 구조물과 피난자에게 미치는 위험성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Lim et al. (2019)는 FDS를 이용하여 다양한 화재조건에 따라 내화구조가 받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Ryu et al. (2015)과 Lee et al. (2015)는 화재 후 구조부재의 잔존강도 실험 및 열해석과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구조부재의 조건별로 내화성능을 검토하였으며, Choi et al. (2012)은 화재로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거동을 설명하기 위해 변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열해석을 바탕으로 구조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사양적 제도하에서 다소 획일적인 내화설계 및 표준화재(ISO 834-1, 1999)를 기반으로 한 내화성능 평가 등을 실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고 화재위험 물질을 취급하면서도 다양한 구조적 형태를 가지는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경우에는 사양적인 내화설계 외에도 성능설계의 개념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합리적인 내화설계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Hwang (2014)은 화재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바탕으로 석유화학 플랜트의 내화구조 개선을 제안하였으며, Lee and Yoo (2018)은 화재 규모에 따른 화학 공장의 내화구조 적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현행 내화설계 기준에 대한 개선을 제안하였다. 또한 Choi and Byeon (2021)도 화재 유형에 따라 현행 내화설계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관련 제도의 개선을 촉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 플랜트와 같은 산업단지에서 통상적으로 활용되는 구조형태 3종(밀폐형-A, 밀폐형-B, 개방형)을 가정하여, 화재유형으로는 Jet fire나 Pool fire로, 화원으로는 프로필렌과 헵탄을 조건으로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각 조건에 따른 공간별 온도분포 특성을 검토하였다. 본 해석에 기초한 사례 연구는,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 주요 구조부재의 화재 시 잠재적인 위험성을 가늠해 보고자 함과 동시에 추후 성능설계를 유도하는 데 있어 한 가지 좋은 예시와 참고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2. 화재 시뮬레이션

본 연구에서 다루는 화재유형, 화원의 종류 등의 해석적 구현은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과 Navier-Stokes 방정식(저속 열유동장) 이론을 기본으로 하는 Fire Dynamic Simulator (이하, FDS)를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은 다수의 화재 시나리오들을 검토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도출된 결과들의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Kim et al. (2019)은 FDS의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목재 클립을 화원으로 한 시뮬레이션과 실제 실험 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그 유사함을 밝혔다. 또한 Wen et al. (2007)은 FDS의 결과값이 실제 화재 시의 공간 온도와 유사함을 밝혔으며, 본 저자인 Cho and Ahn (2021)은 단위구획 내 Pool fire을 구현한 FDS의 결과와 실제 실험의 결과를 비교하여 그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연구들에서 검증된 FDS의 신뢰성을 바탕으로 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FDS는 version 6.7.6이며, 메쉬조건은 cell size 0.32 m × 0.32 m × 0.28 m (number of cells for mesh 125,000)이다.

2.1 산업단지 시설물 구조형태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플랜트는 설비와 시설물들의 복합적인 구조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수 석유화학 산업단지 답사를 토대로 시설물 구조형태 3종(밀폐형-A, 밀폐형- B, 개방형)을 설정하였다. 밀폐형-A는 층으로 구획된 일반적인 건축 구조물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밀폐형-B는 실내 대공간을 가진 공장이나 창고 등의 형태로 생각될 수 있으며, 개방형의 경우 실외 기계식 주차장과 같은 형태로 생각해 볼 수 있다. Fig. 1은 본 화재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될 대표 시설물들의 구조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 1
Three Frame Types of Petrochemical Plant Facilities
kosham-2023-23-1-99gf1.jpg
본 연구에서 가정한 시설물의 규격은, 여수 석유화학 산업단지의 현장 답사 결과와 더불어 API PUBL 2218 (Fireproofing practices in petroleum and petrochemical processing plants)에서 내화구조 설계 대상 및 범위로 제시한 공통사항 「건축물의 기둥과 보는 지상 1층(지상 1층의 높이가 6 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6 m)까지가 내화범위이며, 석유화학공장 등 위험물의 보유량이 많거나, 공정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9 m 이상까지 내화구조로 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의 문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바닥면적 12 m × 12 m, 층고 높이는 4 m, 시설물의 최대높이는 12 m로 가정하였다.

2.2 화원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에서 주로 발생하는 대표적인 화재유형 2종(Jet fire, Pool fire)과 화원 2종(프로필렌, 헵탄)을 대상으로 하였다. Table 1은 본 화재 시뮬레이션에서 적용한 화재조건들을 정리한 것이며, Fig. 2는 시뮬레이션에 의한 Jet fire와 Pool fire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Jet fire는 노즐에서 분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Rosin-Rammler 분포함수를 활용하여 방사하는 조건이며, 위치 C지점에서 발생하여 D지점으로 분사되는 것(Fig. 3 참조)으로 하였으며. 유속량은 0.9934 L/min, 분출압은 1 bar, 속도는 500 m/s로 가정하였다. Pool fire는 Burner type으로 프로필렌과 헵탄을 화원으로 하고, 화원의 크기는 4.0 (L) × 4.0 (W)로, 화원의 질량감소율을 0.01 kg/m2⋅s으로 설정하였다.
Table 1
Fire Conditions
Fire Conditions
Fire Type Fire Source Leakage Conditions Fire Location/Direction
Leakage Source Flow Rate (L/min) Pressure (bar) Velocity (m/s) Location Direction
1 Jet fire Propylene Point 0.9934 1 500 Point C C to E
2 Heptane
3 Pool fire Propylene Area (4 m × 4 m) - - - Center -
4 Heptane
Fig. 2
Appearance of Each Fire Type (Jet Fire & Pool Fire)
kosham-2023-23-1-99gf2.jpg
Fig. 3
Fire Location and Temperature Measurement Points (Floor Plan View)
kosham-2023-23-1-99gf3.jpg

2.3 공간별 온도 측정 방법

Fig. 3은 온도를 측정하는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화재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출되는 공간 온도의 측정은 각 높이별(2 m, 6 m, 10 m)로 6개 지점(A~F)에서 측정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의해 도출된 온도 데이터를 각 층별로 6개 지점의 전체 평균값(Avg.)과 6개 지점 중 최대값(Max)으로 분석하였으며, 밀폐형-A와 밀폐형-B의 데이터에 한해서는 회귀에 의한 유연화 과정을 추가 진행하였다.

3. 결과 및 분석

Figs. 45는 시설물 구조형태별로 화재유형을 각각 Jet fire와 Pool fire로 했을 시의 공간 온도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시설물 구조형태별 비교 결과(Figs. 4(a), (d), 5(a), (d)), 밀폐형-A에서 화재발생 위치에 인근한 공간이 가장 높은 평균온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벽(수직 구획부재)과 슬래브(수평 구획부재)로 실내공간이 구획되어 있는 경우에서는 화재 발생 시, 해당 구획을 형성하고 있는 구조부재들에 미치는 화해가 매우 심각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층간 구획으로 인해 1층에 비해 3층에서는 낮은 평균온도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비춰볼 때 밀폐형-A와 같은 플랜트 시설물은, 1층에 위치한 구조부재의 내화설계를 2, 3층에 비해 강화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수평 구획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밀폐형-B의 경우(Figs. 4(b), (e), 5(b), (e))에는 화재발생 위치에 가까운 높이 2 m 지점 보다는 오히려 6 m, 10 m의 위치에서의 온도가 더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API PUBL 2218에서 제시하고 있는 1층(최대 6 m)까지의 내화구조 설계 대상 범위에서 일부 벗어나는 것으로 보이며, 밀폐형-B와 같은 구조형태로 건설되는 플랜트 시설물은 저층 부분 이외에도 상층 부분의 내화구조 적용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수평 구획부재는 존재하나 외벽이 없는 개방형 구조형태의 경우 해석결과(Figs. 4(c), (f), 5(c), (f)), 자연 유출(실내공기 유동조건 배제)로 초기에 급격한 성장단계 이후 일정한 온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볼 때, 개방형 구조형태는 외부 환경(공기 유동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며, 해당 시설물의 배치 위치를 설계할 때 그 지역의 기상환경 조건에 대한 검토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개방형은 수평 구획부재가 존재하는 이유로 밀폐형-A에서와 같이 화재발생 위치 인근의 공간이 타 층수에 비해 높은 온도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 4
Temperature Distribution of Each Facility Frame Type (Jet Fire)
kosham-2023-23-1-99gf4.jpg
Fig. 5
Temperature Distribution of Each Facility Frame Type (Pool Fire)
kosham-2023-23-1-99gf5.jpg
Jet fire와 Pool fire의 화재유형을 비교했을 시, 개방형을 제외한 시설에서는 일반적인 형태의 성장, 지속, 감쇠단계로 이어지는 화재성상을 보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진행한 시뮬레이션 조건에서의 결과만을 바탕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는, Jet fire는 분출압과 분출속도가 존재함으로 인해 평균온도과 최고온도 사이에 다소 높은 온도 편차를 보이고 있으며 그에 비해 Pool fire는 안정적인 온도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Jet fire에서의 최고 온도분포가 매우 높게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특정한 방향성을 갖는 Jet fire가 발생 시 이를 조기에 진압하고 대응할 수 있는 내화구조 외에도 소방/소화시설의 적절한 상호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프로필렌과 헵탄의 화원 차이에 따라서도 온도분포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필렌이 헵탄에 비교해 평균온도뿐만 아니라 최고온도도 전반적으로 높은 값으로 형성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과 같이 다양한 물질을 취급하는 산업용 시설에서는 취급하는 물질의 종류 및 취급량 등을 감안한 잠재적인 화재특성을 구조물 내화설계 시 감안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금까지의 시뮬레이션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볼 때, 현행 시설물 구조부재의 내화설계는 표준화재에 비롯한 다소 획일적인 내화성능(시간)을 요구하고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듯이 다양한 화재 시나리오들의 검토를 통해서 합리적인 내화성능을 요구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특히, 표준화재의 경우 60분 이내에 927 ℃ (1,700F)에 도달하는 조건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초 이내에 1,000 ℃에 도달하는 경우가 많아 잠재적 화재강도가 높은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내화구조는 이를 감안하여 보다 요구 내화성능의 다양성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화재의 상황 즉, 화재의 유형 및 시설물의 형태(수직, 수평 구획조건) 등이 내화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시설물 주요 구조부재의 내화성능 취약요인을 설정할 때는 다양한 화재 시나리오 및 구조부재 조건(구조형식, 규격, 위치, 화재노출면 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과 같이 제품 생산을 목적에 둔 산업시설의 경우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구획화가 가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시뮬레이션을 적극 활용하여 화재확산 및 공간 온도분포를 고려해 구조부재의 내화 위험성을 미리 가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 플랜트와 같이 산업단지에서 통상적으로 활용되는 시설물 구조형태 3종을 대상으로 Jet fire와 Pool fire를 가정한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공간 온도분포 분석을 바탕으로 시설물 주요 구조부재의 잠재적 위험성을 가늠해 보고자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 1) 시설물 구조형태 3종(밀폐형-A, 밀폐형-B, 개방형)의 화재 시뮬레이션 결과, 외벽과 수평구획부재의 존재에 따라 층별 또는 높이별 온도분포가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다.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은 제품의 생산 목적 및 방식에 따라 유동적인 구조형태를 갖는 특징이 있으므로, 시설물 전체에 걸친 일률적인 내화설계 방식 보다는 사전 위험도평가 등을 반영한 상대적인 내화설계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 2) 화재유형(Jet fire, Pool fire)별 조건을 분석한 결과, Jet fire의 경우 Pool fire에 비해 평균온도와 최고온도 사이의 편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특정한 압력과 방향성을 갖는 Jet fire가 발생 시에는 이를 조기에 진압/대응할 수 있는 내화구조 외에도 소방시스템의 적절한 상호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화원의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한 온도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취급물질별 화재특성에 대한 고려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3) 우리나라의 현행 내화 설계 및 평가 기준에 따르면, 석유화학 플랜트는 산업시설의 공장 또는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로 구분되며 소요 내화성능(시간)의 충족을 위해 철골구조에 내화용 피복재를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표준화재(ISO 834-1, 1999)를 화재조건으로 하는 것으로서, 석유화학 플랜트와 같이 취급물질의 높은 가연/인화성으로 인해 표준화재 보다 더욱 심각한 화재에 노출될 수 있는 시설물일 경우, 이를 감안한 내화 설계 및 평가 기준의 변화가 필요하다.

  • 4) 시설물의 용도와 구조형태가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화재 시나리오를 검토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설비 및 시설물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일 경우, 실사용 단계에서의 발생 가능한 화재 시나리오들을 분석하는 사례연구가 더 많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며, 누적된 사례연구들은 시뮬레이션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근거로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과제번호 RS-2021-KA163162).

References

1. Ahmadi, O, Mortazavi, S.B, Pasdarshahri, H, and Mohabadi, H.A (2019) Consequence analysis of large-scale pool fire in oil storage terminal based on computational fluid dynamic (CFD). Process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Vol. 123, pp. 379-389.
crossref
2. Assael, M.J, and Kakosimos, K.E (2010) Fires, explosions, and toxic gas dispersions:Effects calculation and risk analysis. CRC Press.
crossref
3. Cho, G, and Ahn, J (2021) A case study on the prediction of temperature in compartment considering fire conditions in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21, pp. 61-68.
crossref
4. Choi, J.H, Haj-Ali, R.M, and Kim, H.S (2012) Integrated fire dynamic and thermomechanical modeling of a bridge under fire.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Vol. 42, pp. 815-829.
crossref
5. Choi, J.Y, and Byeon, S.H (2021) Overview of the legal design basis for passive fire protection in Korea and the direction of further development. Sustainability, Vol. 13, No. 4, pp. 1674.
crossref
6. Hwang, J.H (2014) The study of improvement of domestic safety statute of passive fire protection system and passive explosion protection system on petrochemical plants.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
crossref
7. ISO 834-1 (1999) Fire-resistance tests - El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 - Part 1:General requirements (1st ed.).
crossref
8. Kim, J, Lee, J, and Min, S (2019) Study of the reliability of the fds fire model by verification experi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9, No. 1, pp. 197-203.
crossref pdf
9. Lee, D, and Yoo, B (2018) A study on fireproofing application by fire magnitud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22, No. 5, pp. 46-52.
crossref
10. Lee, Y.K, Min, H.W, Kang, J.Y, Kim, H.S, and Shin, Y.S (2015)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fire damaged and rehabilitated normal strength concrete beams. International Scholarly and Scientific Research &Innovation, Vol. 9, No. 7, pp. 855-861.
crossref
11. Lim, J.W, Baalisampang, T, Garaniya, V, Abbassi, R, Khan, F, and Ji, J (2019) Numerical analysis of performances of passive fire protections in processing facilities.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Vol. 62, pp. 103970.
crossref
12. Lowesmith, B.J, Hankinson, G, Acton, M.R, and Chamberlain, G (2007) An overview of the nature of hydrocarbon jet fire hazards in the oil and gas industry and a simplified approach to assessing the hazards. Process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Vol. 85, No. 3, pp. 207-220.
crossref
13. Rajendram, A, Khan, F, and Garaniya, V (2015) Modelling of fire risks in an offshore facility. Fire Safety Journal, Vol. 71, pp. 79-85.
crossref
14. Ryu, E.M, An, A.H, Kang, J.Y, Shin, Y.S, and Kim, H.S (2015) Investigation of rehabilitation effects on fire damaged high strength concrete beams. International Scholarly and Scientific Research &Innovation, Vol. 9, No. 7, pp. 898-904.
crossref
15. Wen, J.X, Kang, K, Donchev, T, and Karwatzki, J.M (2007) Validation of FDS for the prediction of medium-scale pool fires. Fire Safety Journal, Vol. 42, pp. 127-138.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10 New Bldg.,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67-6311    Fax: +82-2-567-6313    E-mail: master@kosham.or.kr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